[[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일:Toyota at WEC.jpg]] [목차] == 개요 ==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르망 24시]]를 포함한 [[WEC]]에 참가한 도요타의 레이스카, 세계 최초의 가솔린 하이브리드 LMP1이며 2012 시즌 르망 24시가 데뷔전이다. 2012, 2013 시즌은 TS030 하이브리드, 2014,2015 시즌은 TS040 하이브리드, 2016 시즌 부터는 TS050 하이브리드를 통해 출전했고 2012~2015 시즌은 토요타 레이싱, 2016 시즌 부터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으로 참가 했다. 2014년과 2018-19, 2019-20 시즌에는 WEC 드라이버 & 매뉴팩처러 챔피언을 획득했다. == LMP1 == === TS030 하이브리드 === ==== 2012 시즌 ==== [[파일:154383474F1F1C9540.jpg]] (초기 프로토타입 버젼) 7번 차량은 3~8전을 출전 했고 드라이버는 니콜라스 라피에르, 알렉산더 부르츠, [[나카지마 카즈키]][* [[슈퍼 GT]]로 인하여 3,4,7전만 참가]이다. 8번은 3전인 르망 24시만 출전했고 드라이버는 앤토니 데이비드슨, [[세바스티앙 부에미]], 스테판 사라진이다. [[파일:A128E357-3302-4E39-A918-3F74C4E1261F.jpg]] ([[스파 프랑코샹]] 프레젠테이션 버젼) [[파일:39423CDF-8CFD-45FD-A33B-E5D4CF89A83E.png]] (르망 24시 부터 참가한 버젼) 르망에서 앤토니 데이비드슨이 탄 8번 차량은 82랩째 뮬산코너에서 81번 AF 코르세와의 출돌 후 공중으로 차가 뜨는 사고를 당해 리타이어 했다. 이때 앤토니는 갈비뼈에 금이 갔다. 7번 차량은 엔진 문제로 134랩을 돌고 리타이어 했다. 7번 차량은 남은 5경기에서 폴투윈 3번[* [[호세 카를로스 파시 서킷|상파울루]], [[후지 스피드웨이|후지]],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상하이]] 6시간 내구레이스], 2위 한번[* [[실버스톤 서킷|실버스톤]] 6시간 내구레이스]을 기록하며 매뉴팩처러 챔피언십 2위와 드라이버 챔피언십 3위를 기록했다. ==== 2013 시즌 ==== [[파일:Toyota-TS030-Hybrid-12842.jpg]] 7번은 아메리칸 라운드(4,5)전을 결장했고[* 그 기간동안 나카지마는 슈퍼 포물러에 참가하고 남은 두 드라이버는 14년 차량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드라이버는 [[니콜라스 라피에르]], 알렉산더 부르츠, [[나카지마 카즈키]][* 슈퍼 포뮬러로 인한 1전, 7전 결장]이다. 8번 차량은 전 경기를 출전 했고, 드라이버는 드라이버는 앤토니 데이비드슨, [[세바스티앙 부에미]], 스테판 사라진이다. === TS040 하이브리드 === ==== 2014 시즌 ==== [[파일:ua1xxwux46t41.jpg]] 7번 차량의 드라이버는 알렉산더 부르즈, 스테판 사라진, [[나카지마 카즈키]][* 슈퍼포물러로 인해 1~3,5,6전 참가], 마이크 콘웨이[* 나카지마를 대신해 4,7,8전 참가] 8번 차량의 드라이버는 앤토니 데이비드슨, [[세바스티앙 부에미]], 니콜라스 라피에르이다. 시즌이 끝나고 토요타는 도합 289포인트를 얻어 2위인 아우디보다 약 45포인트 정도의 비교적 큰 격차로 일본 국적 최초의 매뉴팩처러 챔피언이 되었으며, 8번 차량의 앤토니 데이비드슨과 세바스티앙 부에미가 드라이버 챔피언이 되었다.[* 드라이버 3명중 나머지 한명인 니콜라르 라피에르는 4라운드까지만 참여했기 때문에 챔피언 인정X.] ==== 2015 시즌 ==== [[파일:toyota-ts040-hybrid-wec-2015.jpg]] 1번 차량의 드라이버는 앤토니 데이비드슨, [[세바스티앙 부에미]], [[나카지마 카즈키]][* 2전 [[스파 프랑코샹]] 6시간 내구레이스의 연습경기 도중 허리 부상으로 인해 레이스 불참]이다. 2번 차량의 드라이버는 알렉산더 부르즈, 스테판 사라진, 마이크 콘웨이. 지난 시즌과 비교해서 차량의 외관 형상은 눈에 띄게 바뀐 점이 없으나 기존에 흑색이던 헤드라이트 내부를 리버리와 이어지게끔 소소한 변화를 주었다. === TS050 하이브리드 === ==== 2016 시즌 ==== [[파일:TOYOTA_GAZOO_Racing_-_Toyota_TS050_Hybrid_-5_(27726936021).jpg]] 5번 드라이버는 [[세바스티앙 부에미]], [[나카지마 카즈키]], 앤토니 데이비드슨[* 5전 멕시코 불참] 6번 드라이버는 마이크 콘웨이, 스테판 사라진, [[코바야시 카무이]]이다. TS050 부터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가주 레이싱]] 리버리로 변경하여 참가하였다. ==== 2017 시즌 ==== [[파일:E91I0131.jpg]] 7번 레이스카의 드라이버는 마이크 콘웨이, [[코바야시 카무이]], 호세 마리아 로페즈[*A 1,4~9전은 7번, 3전은 9번 차량으로 출전], 스테판 사라진[*B 2전은 9번, 3전은 7번, 6전은 8번으로 참가] 8번 차량의 드라이버는 [[세바스티앙 부에미]], [[나카지마 카즈키]], 앤토니 데이비드슨[* 6전 불참], 스테판 사라진[*B ] 9번은 2전 [[스파 프랑코샹]] 6시간 내구레이스와 3전 [[르망 24시]]만 참가했으며 드라이버는 유지 쿠니모토[*C 2,3전만 참가], 니콜라스 라피에르[*C], 스테판 사라진[*B], 호세 마리아 로페즈이다.[*A ] ==== 2018-19 시즌 ==== [[파일:Toyota_lemans2018.jpg]] 7번 레이스카의 드라이버는 마이크 콘웨이, [[코바야시 카무이]], 호세 마리아 로페즈 8번 레이스카의 드라이버는 [[페르난도 알론소]], [[세바스티앙 부에미]], [[나카지마 카즈키]]이다. 8번 레이스카의 드라이버들이 드라이버 챔피언이 됐고, 같은해 매뉴팩처러 챔피언이 되었다. 그리고 18 시즌부터 도요타가 1992년 WEC 그룹 C, 1998년 LMGTP(GT1)클래스에 이어서 그렇게 오랫동안 고대하던 르망 24시 종합 우승을 했다.~~비록 경쟁자는 아무도 없었지만~~ ==== 2019-20 시즌 ==== [[파일:THE-TOYOTA-THE-24-HOURS-OF-LE-MANS-2.jpg]] 7번 레이스카의 드라이버는 마이크 콘웨이, [[코바야시 카무이]], 호세 마리아 로페즈 8번 레이스카의 드라이버는 [[세바스티앙 부에미]], [[나카지마 카즈키]], [[브랜든 하틀리]]이다. 핸디캡을 많이 받아 차량의 성능이 18-19 시즌보다 급격히 약화되어 일반 논하이브리드 팀들과 대등한 랩타임 뽑게되면서 19-20 시즌부턴 독주가 아닌 경쟁을 하게 되었다. 실버스톤에서 우승을 했지만 예상대로 느려진 차량은 상하이에서는 초반부터 지네타에게 따이는가 싶더니, 지네타가 패널티를 받아 순위가 떨어진 사이, 리벨리온에게 선두를 뺏기고, COTA에서도 역시 리벨리온에게 우승을 넘겨주게 되었다. 그러다 스파에서 드디어 우승을 하고[* 비가 오는 상황에 리벨리온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바이콜레스도 차량 트러블로 순위가 떨어진 원인이 컸다.], 결국 르망에서도 387랩을 달리며 우승을 했다. 참고로 나카지마, 부에미는 3핏인데, 역사상 르망 24시 3핏 우승은 다음과 같다. 1926~28 : [[울프 바르나토]] 1960~62 : [[올리비에 겐데비엔]] 1970~74 : [[헨리 피스카롤로]] 1975~77 : [[재키 익스]] 2000~02 : [[프랭크 비엘라]], [[엠마누엘 피로]] 2000~05 : [[톰 크리스텐센]] 2018~20 : [[세바스티앙 부에미]], [[나카지마 카즈키]] WEC에서 LMP1이 폐지 수순을 밟으면서 토요타 LMP1 역사도 우승이라는 최고의 결과를 내며 막을 내린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