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oyota harrier.jpg|width=100%]]}}} || || [[파일:해리어 로고.png|width=20%]] || [목차] '''TOYOTA HARRIER / [[토요타 벤자|VENZA]][* 해외명(4세대)]''' '''[[렉서스 RX|LEXUS RX]][* 해외명(1~2세대)]''' == 개요 == 1997년부터 [[일본]]의 자동차 회사인 [[토요타]]에서 생산하고 있는 중형 [[SUV]]로, 1~2세대는 [[렉서스 RX]]와 동형이고 4세대는 해리어를 먼저 출시하고 이후에 [[토요타 벤자|벤자]]로 뱃지 엔지니어링을 했다. 차명의 유래는 일본에서는 [[혼슈]] 지역의 북부와 [[홋카이도]]에 많이 서식하는 [[개구리매]]의 명칭에서 따왔으며, 3세대까지 쓰인 전용 엠블럼의 모티브가 됐다.[* 단, 1~2세대는 해외 수출형 제외. [[렉서스 RX]]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해외에서는 전용 엠블럼 대신 [[렉서스]] 로고가 적용됐다. 일본에서는 내수에서 전용 엠블럼을 쓰는 차량들이 해외에서는 일반 제조사 로고로 바뀌는 것이 다반사다. 대한민국에서는 [[기아 오피러스|오피러스]]와 [[기아 스팅어|스팅어]], [[기아 모하비|모하비]] 그리고 [[현대 제네시스|제네시스]]가 내수형은 전용 로고를 사용했지만 수출형은 일반 [[현대자동차그룹|현대기아]] 로고를 달았던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 세대별 일람 == === 1세대 (XU10, 1997~2003) === || [[파일:1997 토요타 해리어_(1).jpg|width=100%]] || [[파일:1997 토요타 해리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7 토요타 해리어_(3).jpg|width=100%]] [[파일:1997 토요타 해리어_(4).jpg|width=100%]]}}} || ||<-2> {{{#ffffff '''전기형'''}}} || || [[파일:1세대 해리어.png|width=100%]] || [[파일:2000 토요타 해리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0 토요타 해리어_(3).jpg|width=100%]]}}} || ||<-2> {{{#ffffff '''후기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렉서스 RX, 앵커=1세대)] === 2세대 (XU30, 2003~2013) === || [[파일:2003 토요타 해리어_(1).jpg|width=100%]] || [[파일:2003 토요타 해리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3 토요타 해리어_(3).jpg|width=100%]] [[파일:2003 토요타 해리어_(4).jpg|width=100%]]}}} || ||<-2> {{{#ffffff '''해리어'''[* 350G, 300G는 각각 RX 350, RX 300이라는 명칭으로 수출되었으며, 240G는 RX 대응모델이 없다.]}}} || || [[파일:2005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1).jpg|width=100%]] || [[파일:2005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5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3).jpg|width=100%]]}}} || ||<-2> {{{#ffffff '''2005년식 해리어 하이브리드[* 해외에서는 RX 400h라는 명칭으로 판매되었다. ]'''}}} || || [[파일:2006 토요타 해리어 자가토_(1).jpg|width=100%]] || [[파일:2006 토요타 해리어 자가토_(2).jpg|width=100%]] || ||<-2> {{{#ffffff '''해리어 자가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렉서스 RX, 앵커=2세대)] === 3세대 (XU60, 2013~2020) === || [[파일:2013 토요타 해리어_(1).jpg|width=100%]] || [[파일:2013 토요타 해리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3 토요타 해리어_(3).jpg|width=100%]] || [[파일:2013 토요타 해리어_(4).jpg|width=100%]] ||}}} || ||<-2> {{{#ffffff '''전기형'''}}}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4 토요타 해리어 엘레강스 G's_(1).jpg|width=100%]] || [[파일:2014 토요타 해리어 엘레강스 G's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4 토요타 해리어 엘레강스 G's_(3).jpg|width=100%]] || [[파일:2014 토요타 해리어 엘레강스 G's_(4).jpg|width=100%]] ||}}} || ||<-2> {{{#000000 '''해리어 엘레강스 G's'''}}} ||}}} || ||<-2> {{{#ffffff '''2013~2017 해리어'''}}} ||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_(3).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_(4).jpg|width=100%]] ||}}} || ||<-2> {{{#ffffff '''후기형'''}}}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2> {{{#000000 '''해리어 하이브리드'''}}} || || [[파일:2018 토요타 해리어 "스타일 블루쉬"_(1).jpg|width=100%]] || [[파일:2018 토요타 해리어 "스타일 블루쉬"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8 토요타 해리어 "스타일 블루쉬"_(3).jpg|width=100%]] || [[파일:2018 토요타 해리어 "스타일 블루쉬"_(4).jpg|width=100%]] ||}}} || ||<-2> {{{#000000 '''해리어 "스타일 블루쉬"'''}}} ||}}} || ||<-2> {{{#ffffff '''2017~2020 해리어'''}}} || 이전 모델은 [[렉서스 RX]]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었지만, 3세대는 독자적인 차량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차급]]이 준대형 SUV에서 중형 SUV로 내려갔으며, 2013년 12월 2일에 일본에서 가솔린 모델이 먼저 출시되고, 뒤이어 2014년 1월 15일 하이브리드 차량이 출시됐다. 3세대 해리어는 이전의 해리어와 [[토요타 뱅가드|뱅가드]]를 대체하는 통합 후속격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다. 1~2세대는 토요타의 [[토요타 K 플랫폼|K 플랫폼]]을 사용한 것과는 달리 XU60 해리어는 [[토요타 라브4|RAV4]] 및 [[렉서스 NX|NX]]와 같이 [[토요타 MC 플랫폼|MC 플랫폼]]을 사용했다. 또 생산지도 3세대부터 일본 [[아이치현]]의 타카오카 토요타 공장으로 옮겼으며 역대 해리어 모델 중 유일하게 좌핸들 모델이 없고 우핸들로만 생산된 모델이다. 일본에서는 휘발유 및 하이브리드 차량 모두가 프리미엄, 엘레강스와 그랜드 트림뿐만 아니라 차량의 바디 키트와 서스펜션을 낮추며 다른 트림보다 커진 바퀴 및 브레이크 및 새로운 스포츠 시트가 포함된 엘레강스의 스포티한 면에서 더 상위 버전인 엘레강스 G 트림이 존재한다. 최고급 프리미엄 고급 트림에는 내비게이션 및 감지 기능이 있는 T-Connect 8 "터치 스크린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존재하는 [[JBL]] Greenedge 오디오가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도 Style Mauve 스페셜 에디션과 그 후 Style Ash 스페셜 에디션이 출시됐다. 1~2세대와 달리 [[북아메리카|북미]]와 [[유럽]]에는 수출하지 않고 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의 [[동남아시아]] 위주로 수출했다. 2017년 6월 8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그랜드 바리안트 트림이 사라지고 엘레강스 트림이 기본형이 됐다. 프로그레스 트림이 새로 생겨 이전의 프리미엄 트림을 대체하게 됐다. 2.0T 엔진(8AR-FTS)과 6단 ECT 변속기가 장착된 해리어 터보 모델도 출시됐다. 그럼에도 2.0L 엔진 및 2.5L 하이브리드 엔진은 그대로 유지됐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자동 하이빔 등의 기술들이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P 안전 기능이 제공됐고 새로워진 실내 색상도 적용됐다. 일본 [[도쿄도]] [[오다이바]]의 메가웹에도 한 대 정도 전시되어 있었다. ==== 해리어 GR 스포트 ====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 GR 스포트_(1).jpg|width=100%]]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 GR 스포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토요타 해리어 GR 스포트_(3).jpg|width=100%]]}}} || ||<-2> [[파일:해리어 로고.png|width=15%]] [[토요타 가주 레이싱#s-4.3|[[파일:gr_sport.png|width=7%]]]] || === 4세대 (XU80, 2020~현재) === || [[파일:2020 토요타 해리어_(1).jpg|width=100%]] || [[파일:2020 토요타 해리어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 토요타 해리어_(3).jpg|width=100%]] [[파일:2020 토요타 해리어_(4).jpg|width=100%]]}}} || ||<-2> {{{#ffffff '''해리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토요타 해리어 모델리스타 아반트 이모셔널 스타일_(1).jpg|width=100%]] || [[파일:토요타 해리어 모델리스타 아반트 이모셔널 스타일_(2).jpg|width=100%]] || ||<-2> {{{#000000 '''모델리스타 아반트 이모셔널 스타일'''}}} ||}}} || || [[파일:2021 중국형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1).jpg|width=100%]] || [[파일:2021 중국형 토요타 해리어 하이브리드_(2).jpg|width=100%]] || ||<-2> {{{#ffffff '''중국형 해리어 하이브리드'''}}} || 2020년 6월에 선보였다. 3세대와 달리 북미와 [[중국]]에서도 판매하며 수출명으로 단종됐던 [[토요타 벤자|벤자]]의 이름을 부활시켰다. 일본에서는 해리어, 해외 국가에서는 해리어나 벤자로 판매된다.[* 예외로, 중국에서는 합작사가 여러 곳이라 해리어와 벤자 두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또, 해리어 전용 엠블럼이 삭제되고 토요타 엠블럼이 붙었다. 12.3인치의 내비게이션이 탑재된다. 플랫폼은 [[토요타 캠리|캠리]], [[토요타 라브4|RAV4]], [[토요타 하이랜더|하이랜더]] 등과 마찬가지로 [[토요타 TNGA 플랫폼]](TNGA-K)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차체 크기는 4,740 x 1,855 x 1,660mm로 기존 모델보다 전장이 15mm 길어지고 전폭은 20mm 넓어졌으며 전고는 30mm 낮아졌다. 휠베이스는 30mm 길어진 2,690mm이다. 파워트레인은 최신 2.0L 직렬 4기통 다이나믹포스 엔진과 다이렉트 시프트 CVT가 조합된다. 기존에는 4WD에만 있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2WD에도 적용했다. 2022년 10월 31일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사양인 해리어 Z 모델의 판매를 시작했다. ==== 해리어 GR 파츠 ==== || [[파일:토요타 해리어 GR 파츠.jpg|width=100%]] || || [[파일:해리어 로고.png|width=15%]] [[토요타 가주 레이싱#s-4.4|[[파일:gr parts.png|width=5%]]]][* 화이트 펄 크리스탈 샤인.] || == 매체에서 == * [[사쿠라다 리셋]] 애니메이션 : 사쿠라다 시 소속 초능력 관리 요원들이 타고 다니는 관용차로 검은색상의 3세대 해리어가 나온다. == 경쟁 차량 == * [[현대자동차]] - [[현대 싼타페|싼타페]] * [[기아]] - [[기아 쏘렌토|쏘렌토]] * [[KG모빌리티]] - [[KGM 토레스|토레스]] * [[쉐보레]] - [[쉐보레 블레이저|블레이저]] * [[르노코리아자동차]] - [[르노코리아 QM6|QM6]] * [[혼다]] - [[혼다 패스포트|패스포트]] * [[닛산]] - [[닛산 무라노|무라노]] * [[미쓰비시 자동차]] - [[미쓰비시 아웃랜더|아웃랜더]] * [[GMC(자동차 제조사)|GMC]] - [[GMC 터레인|터레인]] * [[포드 모터 컴퍼니]] - [[포드 엣지|엣지]] * [[폭스바겐]] - [[폭스바겐 테라몬트 X|아틀라스 크로스 스포츠]] * [[마쓰다]] - [[마쓰다 CX-60|CX-60]] * [[스바루(자동차)|스바루]] - [[스바루 아웃백|아웃백]]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토요타 GR의 차량)] [include(틀:토요페트점의 판매 차량)] [[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1997년 출시]][[분류:준대형 SUV]][[분류:중형 SUV]][[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GR 파츠]][[분류:GR 스포트]][[분류: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