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요타 크라운 컴포트 택시_(1).jpg|width=100%]]}}} || || {{{#ffffff '''CROWN COMFORT'''}}} || [목차] '''Toyota Crown Comfort'''' '''トヨタ・クラウンコンフォート''' == 개요 == [[일본]] [[토요타]]에서 1995년부터 2018년 2월까지 생산했던 [[FR(자동차)|후륜구동]] [[중형차|중형]] 상용 [[세단]]이다. [[일본인]]들이 '''[[택시]]'''하면 가장 먼저 생각날 차종이다. [[대한민국|한국]]의 [[현대 쏘나타|쏘나타]], [[미국]]의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크라운 빅토리아]]와 같은 위상이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세 차종의 또 다른 공통점은 [[경찰차]]로도 많이 쓰였다. 시내를 중심으로 장시간 운행하고 택시나 법 집행기관용은 별다른 편의장비가 장착되지 않는다는 면에서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름은 '크라운'이지만 사실 [[토요타 크라운|크라운]]과 별개의 차종으로, 당시 [[토요타]]의 라인업에는 승용차 크라운과 업무용차 크라운 세단형,[* 여기서 '세단'은 [[기아 엔터프라이즈]] 등에서 채용했던 창틀 없는 문인 '하드탑'이 아니라는 의미다. 5세대까지는 크라운 베이스이지만 사양과 외관이 일부 달랐다. 6세대는 크라운 컴포트 베이스다.] 택시 크라운 컴포트가 따로 존재했다. 오히려 설계의 기본은 크라운보다 한 단계 아랫급인 [[토요타 마크 Ⅱ|X80계 마크2]]에서 따왔다. 토요타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초대 크라운이 택시 시장을 노리고 만들었다는 상징성이 있기에 동일한 목적을 가진 택시 전용 모델에 크라운의 이름을 따왔다. 크라운 컴포트 자체도 택시 모델로 팔렸지만, 아랫급으로 소형 택시 규격(전장 4,590mm)의 '컴포트'가 따로 있었다. 크라운 컴포트와 마찬가지로 1995년~2018년 사이에 판매됐다. 정확히 말하면 크라운 컴포트가 컴포트의 휠베이스를 105mm 늘린 파생형으로, 차급 차이가 있지만 폭과 높이는 같다.[* 일본에서는 전장 4.7m 이상이거나 전폭 1.7m 이상 또는 배기량 2,000cc 이상인 차는 '3넘버 카'라고 불려 번호판의 분류번호 첫자리가 3으로 시작되는 번호판이 배부되고, 전장이 4.7m 미만이며 전폭이 1.7m 미만인 차는 '5넘버 카'라고 불려 분류번호가 5로 시작하는 번호판이 배부된다.] [[대한민국]]의 택시와 마찬가지로 택시 전용모델인 만큼 편의사양을 대폭 간소화한 덕분에 가격이 150~180만엔으로 매우 저렴했다. 최신 디자인과 편의사양으로 무장한 크라운의 약 1/4 가격이었다. 주요 차이점으로는 크라운 등 일반 중형차에 비해 길이는 짧지만 휠베이스는 길어 실내 공간을 최대한 늘리고,[* 출시 시점에 9세대 크라운은 전장 4,800mm, 휠베이스 2,730mm이다. 크라운 컴포트는 전장 4,695mm에 휠베이스가 2,785mm로 오히려 길다. 이는 엔진룸과 트렁크 오버행을 가능한한 줄였기 때문. 단 [[FR(자동차)|후륜구동]]이기 때문에 휠베이스가 비슷한 [[FF(자동차)|전륜구동]] 중형차인 [[현대 쏘나타/6세대|YF 쏘나타]]의 휠베이스 2,795mm에 비하면 훨씬 좁게 느껴질 것이다. 사실 전장 4.7m면 요새는 웬만한 컴팩트카와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실제로 [[현대 아반떼/7세대|아반떼 CN7]]은 전장 4,650mm에 휠베이스가 2,720mm이니 이제는 [[준중형차]]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셈이다.] 택시 장비 설치 공간을 확보한 것. 아울러 차체 수명을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섀시|차체]] [[강성]]을 낮췄다. 일본에서 택시를 탈 때 이상하게 승차감이 삐그덕거리는 건 그런 이유다. 경쟁 차량으로 소형 [[닛산 크루]][* 택시 전용모델로 1993~2009년까지 생산됐다.]와 [[닛산 세드릭#s-2.7|세드릭 영업차]]가 있'''었'''고,[* 중형차 세드릭의 파생모델로, 최종모델은 1987~2014년까지 생산했다.] 싱글 머플러는 주유구랑 같이 붙어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1995년 출시된 이래 22년간 판매를 이어온 크라운 컴포트와 소형 컴포트는 2017년 5월 25일 부로 신규 판매를 종료하고 [[토요타]] 사이트에서 삭제됐으며, 수주 잔량의 생산은 2018년 2월에 종료됐다. 토요타는 크라운 컴포트와 컴포트를 대체하는 [[FF(자동차)|전륜구동]] 기반의 소형 [[MPV]] [[토요타 시엔타|시엔타]]를 베이스로 한 신차이자, LPG [[하이브리드 자동차|하이브리드]] 택시인 [[토요타 JPN 택시|재팬 택시]]를 2017년 10월 23일 부로 출시했다. 단, 신차의 수출명은 계속 컴포트로 유지한다.[* 2018년 5월 홍콩에서 발표됐다.] [[일본]]의 택시를 대표하는 차량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일본인]]들에게 있어서는 여러모로 [[애증]]의 차량이었다고도 하는데, 여러 이유가 있긴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실내공간이 현대 일본인의 체격을 기준으로 보자면 다소 좁은 편이라서 승객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있었다는 점이다. 한편 [[택시 기사]]들의 입장에서는 엔진 출력이 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개인택시의 경우 택시 전용 모델보다는 최신형 모델을 구입해서 운행하는 편이다. [[현대자동차]]가 일본에서 승용차를 판매했던 시절[* 2010년부터 판매 부진으로 인하여 승용차 부문에 한해 철수했고 [[현대 유니버스]]만 계속 판매했으나, 2022년 [[현대 넥쏘|넥쏘]], [[현대 아이오닉 5|아이오닉 5]] 등의 전동화 모델을 필두로 승용차 부문에 재진출했다.]에는 [[현대 그랜저/3세대|그랜저 XG]]나 [[현대 그랜저/4세대|그랜저 TG]]가 넓은 차체로 좁은 골목길을 통행하는데 애로가 있는 것도 감수하고 운행하기도 했었다. 택시같은 영업용으로 쓰일차량이라서 그런지 모르겠으나 민수용인 크라운 세단의 경우 일렉트로 멀티비전이 아닌 2DIN 내비게이션을 넣어줬다. == 목적 ==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toyota_crown_sedan_10.jpg|width=450]]||[[파일:external/car-pricenet.com/9945_large.jpg|width=450]]|| || 크라운 로얄(S130) || 크라운 컴포트 || 오리지널 [[토요타 크라운|크라운]]의 목적인 택시 모델로 회귀하려는 의도에서 생산됐다. 특징은 그 당시의 로열 시리즈보다 외관은 작지만 좀 더 높아졌다. 실내공간은 작아진 외관에도 불구하고 높아진 전고 덕분에 더 넓어졌다. 고급차에서 택시 모델로 변경인만큼 편의장비가 빠지고 재질 변경을 통해서 원가절감이 들어갔다. 대신 그만큼 가격이 많이 저렴해져서 가격에 비해서는 꽤 고급차의 감성을 느낄 수 있다. == 스펙 == [[일본]]에서는 2.0L LPG 엔진(YXS10/YXS10H)를, [[홍콩]]과 [[싱가포르]]에서는 2.0L [[디젤 엔진]][* [[홍콩]]은 3C, [[싱가포르]]에서는 5L과 LXS10]을 사용하며 변속기는 5단 [[수동변속기]]/4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도어미러 대신 펜더미러를 사용한다. 다만 고급형인 세단 모델과 수출형에는 도어미러가 장착된 차량도 있다. == 사용 예시 == || [[파일:토요타 크라운 컴포트 택시_(1).jpg|width=100%]] || [[파일:external/c3.staticflickr.com/5694393817_b24beff540.jpg|width=100%]] || || [[택시]] || [[경찰차]] || 거의 모든 모델은 택시로 사용하나 일부 모델들은 [[경찰차]]나 [[운전학원]]의 연수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의외로 일반인이 구매할 수 있었다. 현재는 단종. == 파생형 == === GT-Z [[과급기#s-3.1|슈퍼차저]] === || [[파일:external/e3c8695070cd0a32e3c6a598860f47456143497e368985c1cc87046dd425f5e9.jpg|width=100%]] || [[파일:TRD 토요타 크라운 컴포트 GT-Z 슈퍼 차져_(2).jpg|width=100%]] || ||<-2> {{{#ffffff '''크라운 컴포트 GT-Z 슈퍼차저'''}}} || 2003년 6월부터 11월까지 토요타의 모터스포츠/튜닝 자회사인 [[TRD]]에 의해 생산된 크라운 컴포트의 고성능 모델로, 이름처럼 슈퍼차저가 장착된 모델이다. 개발 컨셉이 '1980년대 스포츠 세단을 2000년대에 재현하는' 것이었던 특이한 모델. 자세한 건 [[http://minkara.carview.co.jp/smart/userid/1569569/blog/31987868/|여기]] 참고. === 크라운 세단(BS10/XS10)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요타 크라운 세단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요타 크라운 세단_(2).jpg|width=100%]]}}} || ||<-2> {{{#ffffff '''크라운 세단'''}}} || 크라운 컴포트의 차체를 기반으로 했으나 별도의 코드명을 부여받았으며(BS10/XS10) 범퍼와 후미등, 휠 디자인을 다르게 적용하고 옵션을 추가한 고급형 모델이다.컴포트가 [[토요타 마크 II|마크 II]]와 밑받침을 공유하는 반면, 차체는 후방 승객의 편안함을 강조하며 내부 공간을 늘리기 위해 철저하게 재설계됐다. 핸들은 [[토요타 캠리|캠리]]의 핸들을 사용하였다. === 마일드 하이브리드 (GBS12) === [[파일:1545px-Toyota_Crown_Super_Deluxe_Mild_Hybrid_rear_view.jpg]] 크라운 세단의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사진속 차량은 영국에 병행수입된 차량. == 사진들 == [[파일:external/www.imcdb.org/i082855.jpg]] 1995년식 [[홍콩]] 택시 버전. [[파일:external/www.imcdb.org/i189880.jpg]] 2006년식 [[홍콩]] 택시 버전. 달라진 것이 거의 없다. 홍콩 수출 모델은 5인승 차량도 존재하며 5인승 모델의 변속기 형식이 칼럼식 기어이다. 홍콩 전용 모델은 휠 디자인 모양이 다르다. [[파일:external/plamoya.com/3f66578f7047e60b1abb24ecc0938850.image.500x277.jpg]] [[토미카]]로도 나왔는데, 유일하게 뒷좌석 문이 열리는 모델이다.[* 일본 택시들은 전형적으로 뒷좌석 문이 자동문이라 운전사가 운전석에 설치된 레버를 당겨서 열어 준다. 그걸 토미카에 반영한 것.] 국내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파일:external/kakanow.com/Japan-Kyoto-yellow-taxi-photo-kakanow.com-500x360.jpg]] [[일본]]의 [[도쿄도]] 택시 버전 1. 도쿄 히노마루교통그룹(日の丸自動車グループ) 소속 차량으로, 홍콩 버전과 다르게 펜더에 거울이 달려 있다. [[파일:unnamed-3.png]] [[일본]]의 [[도쿄도]] 택시 버젼 2. 도쿄무선협동조합(東京無線協同組合) 이라는 택시회사협동조합 소속 미타카교통(三鷹交通) 차량이다. 또한 이 차량은 각종 옵션, 라인업이 다양하다. 최근까지 생산됐음에도 일명 '''[[현대 쏘나타/6세대|쏘나타]] 쇼크'''로 일컬어지는 2010년대 일본차 디자인의 과격화와 대비되는 90년대 느낌 물씬 나는 클래식한 외관을 가지고 있고, 일본 제일의 스테디셀러로 언제 어디서나 부품의 조달과 수리가 용이하며, 영업용으로 뛰던 차량이라 중고 가격도 저렴해 일본 클래식카 덕후들이 애용하는 차종이기도 하다. == 매체에서 크라운 컴포트 == 택시로 흔한 유명한 차량인만큼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의외로 나온다 * [[빅 히어로]]에서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주토피아]]에서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명탐정 코난]]에서 택시로 크라운 컴포트와 크라운 세단 모델이 자주 나온다. * [[절체절명도시 시리즈]]에서 [[절체절명도시|1편]]에서 컴포트 모델이 방치된 택시로 나오고 [[절체절명도시 2|2편]]에서 주인공중 한명이자 택시기사인 츠게 아키라가 모는 택시로 나온다. * [[리코리스 리코일 시리즈]]에서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극장판 애니 시리즈에서 나온다 * [[언어의 정원]]에서 S170 계열 [[토요타 크라운]]과 같이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너의 이름은.]]에서 [[토요타 셀시오]]와 S170 계열 [[토요타 크라운]]과 같이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날씨의 아이]]에서 [[토요타 셀시오]] 그리고 [[토요타 JPN 택시]]와 같이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토요타 셀시오]] 그리고 [[토요타 JPN 택시]]와 S170계열 [[토요타 크라운]]과 같이 택시로 나온다. * [[5등분의 신부]]에서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슬리핑 독스]]에서 운전가능한 차량으로 나오는데, 차명은 625 MHC이며 토요타 크라운 컴포트를 변형했다. 종류가 일반 세단과 택시(승객으로 택시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성능 모델까지 다양한 편. * [[용과 같이 시리즈]]에서 컴포트 모델이 택시로 나온다. * [[도쿄 택시]]라는 영화에서 이 택시를 타고 서울까지 가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대한민국 도로에서 이 택시가 달리는 모습이 보인다. * [[드리프트 스피리츠]]에서 GT-Z 모델이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 크라운 시리즈)]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넷츠점의 판매 차량)] [[분류:토요타 크라운]][[분류:1995년 출시]][[분류:2018년 단종]][[분류:중형 세단]][[분류: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