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png|width=100%]]}}} || || {{{#ffffff '''CORONA'''}}} || [목차] '''TOYOTA Corona''' == 개요 == [[토요타]]에서 1957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한 차량으로 국내에서는 [[신진 코로나]]로 판매된 적이 있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1~5세대 한정으로 [[토요페트점|토요페트]] 코로나(トヨペット・コロナ)라 불렸다. == 모델별 개요 == === 1세대 (T10, 1957~1960) === ||<:><#ffffff>[[파일:1세대 코로나.png|width=100%]]|| === 2세대 (T20/T30, 1960~1964) === ||<:>
<#ffffff>[[파일:1960_Toyopet_Corona_01.jpg|width=100%]][br][[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4654310|출처]]|| === 3세대 (T40/T50, 1964~1970) === ||<:>
<#ffffff>[[파일:3세대 코로나.png|width=100%]]|| 1964년 9월에 출시되었으며 이듬해인 1965년 11월에는 일본 최초의 해치백인 코로나 5도어 해치백도 출시되었다. 내구성 및 신뢰성 문제가 여전해서 닛산(닷슨) 블루버드에 완패했던 선대 모델들을 교훈 삼아 정말 와신상담하면서 만들었는데, 개통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메이신고속도로]]에서 자신있게 10만km 연속 고속주행 공개테스트를 실시하여 뛰어난 성능과 내구성 및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널리 알리면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당시 일본 내수 판매 1위를 달성하여 [[닛산 블루버드]]와의 경쟁(BC전쟁)에서 처음으로 압승을 거두었다. ||<:>
<#ffffff>[[파일:2세대 코로나.png|width=100%]][br]3세대 중기형[* 3세대 후기형은 전조등과 라디에이터 그릴 주위를 두르는 곡선적인 사각형 테두리가 없어지고, 수평선 2개가 전조등 베젤 상하를 관통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 일본 내수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크게 성공하면서 일본 자동차 수출 1위도 이 차종이 차지하였다. 1966년에는 전세계적으로 따져도 [[폭스바겐 비틀]](1,295,834대) 다음으로 많이 생산된 차종(252,492대)으로 단일 차종 생산량 2위를 기록했었다.[* 당시에 3위를 했던 차종은 [[포드 코티나]](243,384대)로 9,108대 차이로 포드 코티나를 제쳤다. 포드 코티나는 1968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되면서 공교롭게도 대한민국에서 코로나와 정면으로 대결하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주은래 3원칙으로 토요타가 철수하기 이전까지는 코로나가 코티나를 상대로 압승을 거뒀었다.] 한마디로 2년 후에 등장한 [[토요타 코롤라|코롤라]]와 함께 지금의 토요타를 만든 1등 공신이었다. ||<:>
[[파일:신진 코로나.png|width=100%]]|| || 1966년부터 1972년까지 국내에서 [[신진자동차]]의 이름으로 판매된 코로나. || 국내에서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신진 코로나로 판매된 적이 있었으며 1960년대 중반~1970년대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한 승용차로 당시 대한민국의 도로 사진을 보면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승용차들 가운데 십중팔구는 코로나였다. 특히 택시로도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지금도 나이 지긋하신 분들 중에는 코로나를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1960년대 후반에 T60/T70형이라는 후속 모델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기존의 3세대 코로나도 여전히 수요가 있다보니 후속 모델로 준비했던 차종은 따로 코로나 윗급 차종인 [[토요타 마크 Ⅱ|코로나 마크 Ⅱ]]로 1968년에 출시하였으며 코로나 마크 2는 이후 [[토요타 마크 Ⅱ]]라는 코로나와는 별개의 독자적인 차종으로 발전하였다. 1968년에 코로나 마크 2가 출시 이후에도 기존 3세대 코로나도 여전히 인기가 있다 보니 상위 트림은 단종시키고 1500cc 4도어 세단 및 밴 같은 염가 트림만 남아서 1970년까지 꾸준히 생산되다가 4세대 T80형 코로나에게 바톤을 넘겨주고 단종되었다. === 4세대(T80/T90, 1970~1973) === ||<:>
<#ffffff>[[파일:4세대 코로나.png|width=100%]]|| 4세대 코로나로 계획되었던 T60/70이 코로나 마크 2라는 별개의 라인 업으로 출시되면서, 기존의 노후화 된 3세대 코로나를 대체하는 T60/T70의 아랫급 차종으로 다시 새로 개발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신진자동차에서도 생산했으며 역시나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었던 차종이었으나, [[저우언라이]]의 [[저우 4원칙]] 때문에 중국 진출에 뜻이 있었던 토요타 자동차가 신진자동차와의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한민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바람에 대한민국에서는 1972년에 갑자기 단종되는 불운을 맞이하였다. 그로 인하여 한때 코로나 덕분에 돈 방석에 앉았던 신진자동차는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여담으로 단종 1년 전인 1971년에는 [[진로(브랜드)|진로]]에서 "집집마다 두꺼비의 幸運(행운)을!"이라는 문구와 함께 당시 26세였던 인기 탤런트 [[노주현]]을 모델로 내세워 경품 행사를 벌였는데 이 회사에서 내건 경품이 금두꺼비(1등, 3마리)가 당시 최신 승용차였던 4세대 코로나였으며, 은두꺼비(2등, 10마리)가 금성사 전기 냉장고, 복(福)두꺼비(3등, 20마리)가 같은 금성사의 흑백 텔레비전 수상기였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108020032920102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1-08-02&officeId=00032&pageNo=1&printNo=7948&publishType=00020|당시 신문 지면 광고]] === 5세대 (T100/T110/T120, 1973~1979) === ||<:>
<#ffffff>[[파일:5세대 코로나.png|width=100%]]|| 마지막으로 '토요페트' 브랜드를 정면으로 내세운 코로나. === 6세대 (T130, 1978~1983) === ||<:>
<#ffffff>[[파일:6세대 코로나.png|width=100%]]|| 이때부터 일본 국내에서도 그냥 '토요타 코로나'로 불린다. === 7세대 (T140[* 후륜구동 차량의 코드명.]/T150[* 전(前)륜 구동 차량의 코드명]/T160[* 코로나 쿠페의 코드명], 1982~1987[* 전륜구동 차량의 경우 1983년 출시되었고, 코로나 쿠페는 1985년 출시되어 1989년에 단종되었다.]) === ||<:>
<#ffffff>[[파일:7세대 코로나.png|width=100%]][br]참고로 사진 속 차량은 T150 전륜구동형 차량이다.|| === 8세대 (T170, 1987~1992) === ||<:>
<#ffffff>[[파일:8세대 코로나.png|width=100%]]|| [[싱가포르]]의 택시형이다. === 9세대 (T190/T200, 1992~1996) === ||<:>
<#ffffff>[[파일:9세대 코로나.png|width=100%]]|| === 10세대 (T210, 1996~2001) === ||<:>
<#ffffff>[[파일:10세대 코로나.png|width=100%]]|| 이때부터 서브명인 프레미오가 붙여졌으며 단종 이후에는 [[토요타 프레미오|후속 차량]]의 정식 명칭으로 승격된다. 특이하게도 이 차량은 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굉장히 많이 수출되었는데, 이 지역의 돌아다니는 일본 내수 중고차 10대 중 2대가 이 차량이다. 대부분 패밀리카나 택시로 사용된다. == 미디어에서 == 1987년 영화 [[영웅본색 2]]에서 용사, 자호, 켄이 최종 보스 고영배와 결전을 벌일 때 타고 온 차량이 6세대 코로나였다.[* 참고로,이 때 계속 나오는 음악은 [[분향미래일자]]다.] 영화 [[하나비(영화)|하나비]]에서 니시([[기타노 다케시]])가 10세대 코로나를 타고 다닌다.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vivid]]에 등장하는 [[코로나 티밀]]의 이름의 유래가 이 토요타 코로나다. [[오드 택시]]에서 주인공인 오도카와의 개인택시로 3세대 코로나가 나온다. 연식이 오래된 이 차를 개인택시로 쓴게 대단할 따름이다. == 기타 == 2019년 12월부터 생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유행 때문에 일본인들 사이에서 재조명된 차종인데, 유튜브에 올라온 해당 차량 광고 영상 댓글마다 코로나 관련 농담으로 뒤덮인다. 만약 이 차량이 단종되지 않고 현재에도 계속 생산되었으면 전세계의 비난이 쏟아졌을지도 모르는 일. 웃긴건 해당 단어의 파생형인 [[토요타 코롤라|코롤라]]는 아직도 판매되고 있다. == 전시 목록 == [[인천광역시]] [[송도 센트럴파크]] 내에 있는 인천도시역사관(구 컴팩스마트시티) 1층 로비에 신진 크라운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아마 신진자동차 공장이 인천에 있기 때문[* 이후 GMK, [[새한자동차]], [[대우자동차]], [[GM대우]]를 거쳐 현 [[GM 한국사업장]] 부평 공장.]으로 추정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토요페트점의 판매 차량)] [include(틀:넷츠점의 판매 차량)] [include(틀:대우자동차의 차량)] [include(틀:현대전/자메이카 기갑차량)] [[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신진자동차/생산차량]][[분류:1957년 출시]][[분류:2001년 단종]][[분류:나무위키 자동차 프로젝트]][[분류:중형 세단]][[분류:중형 쿠페]][[분류:인터넷 밈/자동차]][[분류:인터넷 밈/교통/일본]][[분류: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