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width=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8 토요타 벨타_(1).jpg|width=100%]]}}} || || {{{#ffffff '''BELTA'''}}} || [목차] '''Toyota Belta[* 'bella gente', 이탈리아어로 '아름다운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한다.] / Yaris / Limo[* 택시 모델 한정.]''' == 개요 == [[토요타]]가 [[토요타 플라츠|플라츠]]의 후속으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한 소형차이다. 북미와 호주에서는 [[토요타 야리스]]로, 아시아 시장에서는 [[토요타 바이오스]]로 판매되었다. == 상세 == === 1세대(KSP/SCP/NCP9#,2005~2012) === || [[파일:2005 토요타 벨타_(1).jpg|width=100%]] || [[파일:2005 토요타 벨타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5 토요타 벨타_(3).jpg|width=100%]]}}} || ||<-2> {{{#ffffff '''전기형'''}}} || || [[파일:2008 토요타 벨타_(1).jpg|width=100%]] || [[파일:2008 토요타 벨타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8 토요타 벨타_(3).jpg|width=100%]]}}} || ||<-2> {{{#ffffff '''후기형'''}}} || [[토요타 플라츠]]의 후속으로 출시되었으며, 차량의 크기가 커졌는데, 2000년에서 2007년까지 생산된 [[토요타 코롤라]]보다 조금 더 커졌다고 한다. 2005년 11월 28일 일본에서 시판되었다고 한다. 차량은 1.0L 1KR-FE 직렬 3기통 엔진~1.3L 2NZ-FE/2SZ-FE 엔진을 장착했으며 [[토요펫]] 딜러망을 통해서 판매되었다. 수출형은 2006년부터 판매를 시작했으며, 1.5L 1NZ-FE 엔진을 장착해 판매했다고 한다. 대한민국[* 여긴 현기차의 천국이라 토요타의 가격정책으로 내놔도 폭망했을 가능성이 높고, 브랜드가 런칭되기도 전이었다.], 일본, 홍콩 및 마카오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시아 시장에서는 [[태국]]과 [[필리핀]]에서 조립생산을 해 판매하기도 하였다. [[이스라엘]], [[모로코]], [[영국]], [[러시아]] 및 [[유럽]] 국가들에서 판매된 차량들은 일본에서 제조되었다. [[토요타 비츠]]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있지만, 디자인은 [[프랑스]]에서 제작된 비츠와 달리 일본의 디자인센터에서 제작된 소형차인데 다른 제조사에서 비슷한 급의 차량을 내놓지 않은 탓에 [[블루오션]] 상태를 유지하기도 했다. === 북미 시장 === || [[파일:2007 토요타 야리스 S_(1).jpg|width=100%]] || [[파일:2007 토요타 야리스 S_(2).jpg|width=100%]] || ||<-2> {{{#ffffff '''야리스 S 세단'''}}} || 2006년에 2007년형을 출시를 해 판매하였다. 표준형 차량으로 야리스 S로 판매하기도 했다. 옵션으로 알로이 휠을 제공했고, 측면 에어백은 선택 사양으로 적용되었다고 한다. 초기에는 3도어 해치백 차량을 팔기도 했으나, 2009년 이후에는 5도어 해치백만 판매하였다. [[캐나다]] 버전은 야리스 S를 기반으로 차를 판매했지만, 14인치 타이어가 적용되었다. 트림은 에어로, B, C, D로 판매되었다고 한다. 에어로 트림은 알로이 휠, 리어 스포일러, 바디 킷 등이 적용되었으나, 에어컨과 측면 에어백은 적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B 트림은 15인치(380mm) 올 시즌 타이어, 크롬 트림, 전후면 스플래쉬 가드와 파워 도어록 등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C 트림은 ABS, 파워 윈도우, 에어컨, 파워 미러 등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D 트림에서는 측면 커튼 에어백이 적용되었다. 6L로 100 km를 주행할 수 있었고 도시에서는 7L로 100km 주행이 가능했으나, [[EPA]]의 계산법의 변화로 주행가능 거리가 바뀌기도 하였다. 수출형 벨타에 적용되던 1.5L 엔진이 적용되었다. 2009년형부터는 새로운 그릴, 알로이 디자인, 섬유 인테리어, 안티 록 브레이크 등이 적용되었다. 가죽 스티어링 휠과 변속기, 위성 안테나 등도 적용되기도 하였다. === 호주 시장 === || [[파일:2006 토요타 야리스 세단_(1).jpg|width=100%]] || [[파일:2006 토요타 야리스 세단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 토요타 야리스 세단_(3).jpg|width=100%]]}}} || ||<-2> {{{#ffffff '''야리스 세단'''}}} || [[토요타 야리스]]로 판매되고 있었고, [[토요타 비츠]]는 야리스 해치백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수출형 차량에 적용되던 1.5L 엔진이 적용되었다. YRS, YRX 트림이 존재했고, 그 중 YRX 트림에는 라운드 바디 킷과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호주에서는 오렌지색 깜빡임 렌즈 대신에 맑은 색의 오렌지색을 내는 전구 형태를 적용해 판매했다고 한다.[* 내수형과 북미 수출형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보면 이해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 === 안전성 === 차량은 에어백, 앞좌석 벨트 프리텐셔너, 모든 좌석에 머리 받침대를 적용하였다. 측면 충돌 에어백과 측면 커튼 에어백은 2007년~2008년에는 옵션으로 적용되었으며, 전후측면 커튼 에어백과 안티 록 브레이크가 적용된 2009년 차량부터는 기본으로 장착되었다고 한다. 안정성 제어 장치는 2010년까지 적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 NHTSA 등급 ==== ||||<#FF8400> {{{#ffffff NHTSA 테스트 결과(2008년)}}}[* 측면 에어백이 존재하지 않던 시기] || || 운전자(전면부) || {{{#0000FF 5점}}} || || 승객(전면부) || {{{#0000FF 5점}}} || || 운전자(측면부) || {{{#FFCA08 3점}}} || || 승객(측면부) || {{{#0000FF 3점}}} || || 롤오버 || {{{#008000 4점}}} || ||||<#FF8400> {{{#ffffff NHTSA 테스트 결과(2009년)}}}[* 측면 에어백 장착] || || 운전자(전면부) || {{{#0000FF 5점}}} || || 승객(전면부) || {{{#0000FF 5점}}} || || 운전자(측면부) || {{{#008000 4점}}} || || 승객(측면부) || {{{#008000 4점}}} || || 롤오버 || {{{#008000 4점}}} || === 단종 === 2012년 6월 단종되었으며 [[일본]] 시장에서는 E160 [[토요타 코롤라]]가 대체하였고, [[멕시코]]와 [[호주]] 시장에서는 2016년까지 생산되기도 하였다. [[미국]]에서는 2017년부터 야리스 iA로 불리고 있는 [[사이언 iA]] 차량으로 대체되었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시장을 점령한 [[대한민국]] 시장을 포함한 일부 아시아 국가들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토요타 바이오스]]가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바이오스는 왜 안나오지--[* 바이오스는 대만 및 중국과 동남아시아, 일부 남미 시장에 특화된 모델이라 대한민국에 발매될 가능성이 없다.] == 여담 == [youtube(bmDgfbI7_Hg)] 토요타의 'Human Touch' 광고에서 등장하는 주인공이 타는 차량으로 등장하는데 자동차의 구성요소들이...모두 양복쟁이 아저씨들로 광고에 나온 다른 차량에도 등장하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요타의 차량)] [include(틀:토요페트점의 판매 차량)] [include(틀:코롤라점의 판매 차량)] [[분류:토요타/생산차량]][[분류:2005년 출시]][[분류:2012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