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스터)] ---- ||
'''{{{#FFFFFF 토미 에베리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MLB 타격코치)] ---- ||
'''{{{#FFFFFF 토미 에베리지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1번}}}''' || || 스콧 헤어스턴[br](2009) || {{{+1 →}}} || '''{{{#003831 토미 에베리지[br](2009)}}}''' || {{{+1 →}}} || [[라이언 스위니]][br](2010)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52번}}}''' || || [[에릭 마틴스]][br](2020~2021) || {{{+1 →}}} || '''{{{#003831 토미 에베리지[br](2022~)}}}''' || {{{+1 →}}} || [[현역#s-2]]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ttyimages-1239342826-2048x2048.jpg|width=100%]]}}}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No.52''' || ||<-2> '''{{{#003831 {{{+2 토미 에버리지}}}[br]Tommy Everidge}}}''' || || '''본명''' ||토머스 제임스 에버리지[br]Thomas James Everidge || ||<|2> '''출생''' ||[[1983년]] [[4월 20일]] ([age(1983-04-20)]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산타 로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조건''' ||183cm, 124kg || || '''포지션''' ||[[1루수]], [[3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학력''' ||소노마 밸리 고등학교 - 소노마 주립대학교 || || '''프로입단''' ||2004년 드래프트 10라운드 (전체 307번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09)[br][[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마이너 (2010)[br][[휴스턴 애스트로스]] 산하 마이너 (2010)[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마이너 (2010)[br]랜케스터 반스토머스[* 독립리그 [[애틀란틱 리그]] 소속팀] (2011~2012) || || '''지도자''' ||버몬트 레이크 몬스터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로우A 팀] 타격코치 (2014~2015)[br][[스톡턴 포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싱글A 팀] 타격코치 (2016~2017)[br][[미들랜드 락하운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AA 팀] 타격코치 (2018~2020)[br][[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AAA 팀] 타격코치 (2021)[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타격코치 (2022~)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ankthemachoman,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타격코치. == 선수 시절 == [youtube(5J-is0afDSE)] * [[CC 사바시아]]를 상대로 때려낸 홈런. 체구에서 알 수 있듯 선수 시절에는 거포형 1루수였다. 2004년 드래프트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10라운드 전체 307번으로 지명받으면서 프로에 입단했고, 2009년에는 AAA에서 229타석 .368/.429/.632의 좋은 성적을 기록하면서 빅리그로 콜업되었다. 2009년 빅리그에서는 24경기 97타석에서 .224/.302/.365, 19안타 2홈런을 기록하으나 이는 처음이자 마지막 빅리그 시즌이었다. 2009시즌 이후 웨이버 공시되었고, [[시애틀 매리너스]]의 클레임으로 이적하였다. 2010년 6월에는 [[휴스턴 애스트로스]]로 트레이드되었으나 한달 후인 7월 29일 방출되었다. 동년도 8월에는 친정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돌아왔으나 마이너에서만 머물다가 방출되었고, 이후 다른 빅리그 구단들과 계약을 맺지 못하고 독립리그로 향했다. 2012년까지 독립리그 [[애틀란틱 리그]] 소속 랜케스터 반스토머스에서 뛰었고, 2012시즌 종료 후 은퇴하였다. == 지도자 시절 == 은퇴 이후 2014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숏시즌 싱글A팀인 버몬트 레이크 몬스터스의 타격코치로 임명되었고, 2016년에는 싱글A팀인 [[스톡턴 포츠]]의 타격코치로 이동하였다. 2018년에는 더블A 팀인 [[미들랜드 락하운즈]]의 타격코치로 일했고, 2021시즌부터는 AAA팀인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에서 타격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2022시즌을 앞두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메인 타격코치로 승격되었다. 첫 시즌인 2022년 초반 지난 시즌에 득점권에서 매우 약했던 오클랜드 타선이 상당히 높은 클러치능력으로 낮은 OPS에 비해 높은 득점을 만들어내자 신규 타격코치인 에베리지에게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초반 반짝 후 리그 최하위권으로 전락한 타선을 개선시키지 못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 여담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토미 에베리지의 역대 MLB 기록'''}}} || || 년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 2009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24 || 97 || 19 || 6 || 0 || 2 || 13 || 7 || 0 || 8 || 17 || .224 || .302 || .365 || .667 || ||<-2> '''[[MLB]] 통산[br](1시즌)''' || 24 || 97 || 19 || 6 || 0 || 2 || 13 || 7 || 0 || 8 || 17 || .224 || .302 || .365 || .667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1983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샌타로자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