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images.wrc.com/6556_makinen-portrait-finland-2015_555_896x504.jpg|width=449]] || ||<-2> '''{{{#ffffff 토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랠리팀 감독}}}''' || ||<-2> '''{{{#000000 토미 매키넨(Tommi Mäkinen)}}}''' || || 생년월일 || [[1964년]] [[6월 26일]] || || 출신지 || [[핀란드]], 이배스킬래 || || [[WRC]] 데뷔 || 1987년 1000 레이크 랠리 || || 활동 기간 || 1987년~2003년 || || 코드라이버 || 티모 한투넨(1987~1989, 2001) [br] 세포 하르야네(1990~1997) [br] 리스토 마니센마키(1998~2001) [br] 카이 린드스트롬(2001~2003) || || 소속팀 || [[닛산]](1992) [br] [[란치아]](1993)[* Astra Racing이라는 개인 팀 소속이었다.] [br]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1995~2001) [br] [[스바루(자동차)|스바루]](2002~2003) || || 감독 || [[토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 랠리 팀(2017~2020) || || 주요 경력 || 월드 챔피언 : 4회(1996년~1999년) [br] 랠리 우승 : 24회 [br] 포디엄(시상대) : 45회 [br] 단일 스테이지 우승 : 362회 [br] 랠리 참가 : 139회 || ||<-5> '''[[1999년]]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네이션스 컵 우승팀''' || ||<-5><#000> [[파일:Race of Champions logo.jpg|width=20%]] || || 초대 경기 || → || '''1999 - 그란 카나리아 [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핀란드]] 팀 [br] 토미 매키넨 [br] J.J. 레토 [br] 카리 티아이넨''' || → || 2000 - 그란 카나리아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프랑스]] 팀 [br] 리지스 라코니 [br] 이반 뮐러 [br] 질 파니치 || ||<-5> '''[[2000년]]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우승자''' || ||<-5><#000> [[파일:Race of Champions logo.jpg|width=20%]] || || 1999 - 그란 카나리아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디디에 오리올]] || → || '''2000 - 그란 카나리아 [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토미 매키넨''' || → || 2001 - 그란 카나리아 [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해리 로반페라 || ||<-5> '''[[1996년]]~[[1999년]] [[WRC|월드 랠리 챔피언십]] 드라이버 챔피언''' || ||<-5><#fff> [[파일:external/lh4.googleusercontent.com/wrc-logo.jpg|width=20%]] || || 1995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콜린 맥레이]] ||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토미 매키넨''' || → || 2000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마르쿠스 그뢴홀름]] || 토미 매키넨은 핀란드 출신의 [[WRC]] 레이서이며, 미쓰비시의 WRC 드라이버로 출전해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내었다. 특히 [[랜서 에볼루션]] 시리즈의 2기에 해당하는 5세대와 6세대 때가 그의 최전성기로, 6기를 기반으로 미쓰비시의 자체 튜닝 브랜드인 랠리아트가 시그니칭한 T.M.E.[* Tommi Mäkinen Edition의 약자.]가 한정 생산되었다. 공도용이다 보니 실제 랠리 사양보다는 많이 디튠되어 있지만, 엔진과 서스펜션은 WRC 당시 출전한 그 사양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1998년 가장 드라마틱한 우승은 랠리 팬에게서 회자되고 있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미쓰비시 소속이었던 매키넨은 오른쪽 뒷바퀴를 날려먹어 일찍 리타이어했고, 우승 경쟁권이었던 [[디디에 오리올]], [[콜린 맥레이]]도 리타이어해서 당시 2위를 달리고 있었던 토요타의 [[카를로스 사인츠]]가 우승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당시 사인츠도 내가 이길 확률은 99%, 1% 정도가 매키넨이 이길 확률이라고 했다. 그렇게 우승컵이 토요타에게 넘어가는가 했는데, '''불과 300m를 남기고 사인츠가 [[엔진블로우]]로 리타이어했다.''' 사인츠는 물론, 토요타도 그대로 절망했으며, 반면 매키낸은 이 기적으로 3연패에 성공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liBLqmeHht8|#]] 2017년에는 18년만에 WRC로 돌아온 [[토요타 가주 레이싱]]의 총감독[* 팀의 등록은 2016년이지만, 경기 참가는 2017년.]을 맡았고, 개막전인 몬테카를로 랠리에서부터 2위로 포디엄에 올라가는 등, 사령탑으로서도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도 역시나 총감독으로 토요타 팀을 진두지휘하면서 컴백 2년만에 팀을 매뉴팩처러 우승으로 이끌었다. 2019년에 팀에서 2년차인 [[오트 태나크]]의 포텐이 터지면서 드라이버 챔피언에 등극시키며 [[디디에 오리올]]이후 25년만에 드라이버즈 챔피언 트로피를 안겼다. 이후 태나크가 [[현대 모터스포트|]]로 이적하며 전력 손실이 우려되기도 했지만 [[시트로엥]]의 WRC 철수로 자유의 몸이 된 [[세바스티앙 오지에]]를 곧바로 영입하며 2020년 드라이버즈 챔피언으로 만들었다. 2020년 시즌을 끝으로 같은 핀란드 출신이며 토요타에서 함께 했던[[ 야리마티 라트발라]]에게 총감독을 물려주고 물러났다. [[분류:모터스포츠/관련 인물]][[분류:1964년 출생]][[분류: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