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새크라멘토 리버캐츠/로스터)] ||
'''{{{#d2b887 토마스 자퍼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63번}}}''' || || [[팀 피터슨]][br](2018~2019) || {{{+1 →}}} || '''토마스 자퍼키[br](2021~2022)''' || {{{+1 →}}} || [[랍 자스트리즈니]][br](2022)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61번}}}''' || || [[스튜어트 페어차일드]][br](2022) || {{{+1 →}}} || '''토마스 자퍼키[br](2022)''' || {{{+1 →}}} ||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자퍼키.webp|width=100%]]}}} || ||<-2> '''새크라멘토 리버캐츠 No.''' || ||<-2> '''{{{#ffffff {{{+2 토마스 자퍼키}}}[br]Thomas Szapucki}}}''' || || '''본명 ''' ||토마스 매튜 자퍼키[br]Thomas Mathew Szapucki[* za-PUCK-ee로 발음된다.] || ||<|2> '''출생''' ||[[1996년]] [[6월 12일]] ([age(1996-06-12)]세) || ||[[뉴저지|뉴저지 주]] 톰스 리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윌리엄 T. 뒤어 고등학교 || || '''신체''' ||188cm / 9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우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49번, [[뉴욕 메츠|NYM]]) || || '''소속팀''' ||[[뉴욕 메츠]] (2021~2022)[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2) || || '''SNS''' ||[[https://www.instagram.com/tomszapuck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omasSzapucki)] || [목차] [CLEARFIX] == 개요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마이너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뉴욕 메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퍼키.jpg|width=100%]]}}} || 2022년 5월 25일 샌프란시스코전에서 [[에반 롱고리아]], [[작 피더슨]],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에게 홈런 4방을 맞으며 1⅓이닝 9실점으로 멸망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8월 2일, [[다린 러프]]를 상대로 [[J.D. 데이비스]], 마이너 리그 유망주 닉 즈왁, 카슨 시모어와 함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2년|2022 시즌]] ==== 8월 12일 [[유니오르 마르테]]가 마이너로 내려가며 콜업되었고, 당일 피츠버그전에서 7회초 등판했으나 [[그렉 앨런]]에게 홈런을, [[투쿠피타 마르카노]]에게 안타를 맞고 폭투까지 저질렀다. 그나마 [[제이슨 딜레이]]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내려왔고, [[존 브레비아]]가 위기를 넘기며 추가 실점은 늘어나지 않았다. 8월 18일 애리조나전에서 5회초 [[로건 웹]]의 뒤를 이어 올라와 2⅓이닝 4피안타 무실점 4K의 인생투구를 펼쳤다. 평균자책점도 54.00에서 22.50으로 내려갔다. 8월 26일 [[샘 롱]]이 콜업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다. 9월 13일 [[잭 라텔]]이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콜업되었다. 9월 16일 다저스전에서 5회초부터 올라와 2⅓이닝 1피안타 무실점 3K로 다저스 타선을 틀어막았다. 다만 시즌 첫 경기의 임팩트가 워낙 컸던지라 평균자책점은 여전히 11.74이다. 9월 18일 다저스전에서 [[존 브레비아]]가 불을 질러 3:2로 뒤진 연장 10회초 2사 만루 위기에 올라왔으나 [[맥스 먼시]]에게 치명적인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고 말았다. 그나마 [[트레이스 탐슨]]을 삼진으로 잡아 이닝을 끝냈고, 팀은 10회말 [[윌머 플로레스]]의 적시타에 이어 2사 만루를 만드는 등 끝까지 버텼지만 결국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가 1루 땅볼로 물러나 4:3으로 지고 다저스 3연전 스윕을 당했다. 9월 24일 애리조나전에서 6회말 등판해 2이닝을 무실점 1K로 막아내며 평균자책점을 9.00까지 낮췄다. 10월 2일 애리조나전에서 2회초부터 등판해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평균자책점을 7.20까지 내렸다. 샌프란시스코에 온 이후로는 1.98이다. 10월 3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2023년에는 왼쪽 팔 신경병증으로 60일 부상자 명단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고 결국 등판없이 시즌아웃되었다. 시즌 후인 11월 17일 논텐더 FA가 되었고, 이후 11월 18일 다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토마스 자퍼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 [[뉴욕 메츠|NYM]] || 1 || 0 || 0 || 0 || 0 || 3⅔ || 14.73 || 7 || 2 || 3 || 0 || 4 || 2.727 || 30 || -0.1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 [[뉴욕 메츠|NYM]]/[[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11 || 0 || 1 || 0 || 1 || 15 || 7.20 || 19 || 6 || 7 || 0 || 18 || 1.733 || 58 || -0.3 || 0.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12 || 0 || 1 || 0 || 1 || 18⅔ || 8.68 || 26 || 8 || 10 || 0 || 22 || 1.929 || 49 || -0.5 || 0.0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톰스리버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우타]][[분류:뉴욕 메츠/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