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카고 불스/선수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28470.png|width=100%]]}}} || ||<-2> '''시카고 불스 No. 13''' || ||<-2> {{{#ffffff '''{{{+2 토리 크레이그}}} [br] Torrey Craig'''}}} || || '''생년월일''' ||[[1990년]] [[12월 19일]] ([age(1990-12-1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컬럼비아(사우스캐롤라이나 주)|컬럼비아]] || || '''출신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 '''신체''' ||201cm, 100kg || || '''포지션''' ||[[스몰 포워드]] || || '''등번호''' ||케인즈 타이팬스 - 2번[br]웰링턴 세인츠 - 3번[br]브리즈먼 불리츠 - 2번[br]골드코스트 롤러스 - 1번[br][[덴버 너기츠]] - 3번[br]수폴스 스카이폴스 - 5번[br][[밀워키 벅스]] - 3번[br][[피닉스 선즈]] - 12번[* 2020-21 시즌], 0번[* 2021-22 시즌][* 선즈 복귀 과정에서 12번을 달고 싶어했으나, 해당 번호의 주인인 이쉬 웨인라이트가 12번을 계속해서 달고 싶어했기 때문에 0번을 골랐다.][br][[시카고 불스]] - 13번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14년도|2014 NBA 드래프트 언드래프티]]''' || || '''소속 팀''' ||케인즈 타이팬스 (2014~2016)[br]'''웰링턴 세인츠 (2015~2016)'''[br]'''브리즈번 불리츠 (2016~2017)'''[br]골드코스트 롤러스 (2017)[br] [[덴버 너기츠]] (2017~2020)[br]→ 수폴스 스카이폴스 (2017~2018)[br][[밀워키 벅스]] (2020~2021)[br][[피닉스 선즈]] (2021)[br][[인디애나 페이서스]] (2021~2022) [br][[피닉스 선즈]] (2022~2023) [br] [[시카고 불스]] (2023~) || || '''계약''' ||2023-24 ~ 2024-25 / $5,373,575 || || '''연봉''' ||2023-24 / $2,528,233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Craig_23,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tcraig3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리 크레이그는 [[미국]] 국적의 [[포워드(농구)|포워드]]이다. 언드래프티 출신으로 27세라는 늦은 나이에 데뷔하여 NBA에서 살아남는 데에 성공했다. == 커리어 == === NBA 데뷔 이전 === === NBA 데뷔 이후 === ==== [[덴버 너기츠]] ==== ==== [[밀워키 벅스]] ==== 자유계약으로 밀워키에 합류했다. 하지만 18경기 평균 11.2분 출전에 그치며 자리를 잡지 못하던 와중 [[피닉스 선즈]]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 [[피닉스 선즈]] ==== 트레이드 이후에는 32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20분 가까이 뛰며 감초와 같은 역할을 했고, 팀도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덴버 너기츠]],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를 차례로 꺾으며 [[2021 NBA 파이널]] 진출에 성공했다. 파이널 상대팀인 [[밀워키 벅스]]에서도 시즌초 18경기를 뛰었기 때문에 한 시즌에 파이널 두 팀을 모두 경험하게 되었다. 2015-16 시즌의 [[앤더슨 바레장]]과 비슷한 사례.[* 이 시즌 바레장의 파이널 당시 소속팀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는 원소속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게 파이널에서 패배했고, 클리블랜드는 바레장의 클리블랜드에서의 공헌도를 고려해 반지를 수여하겠다고 했으나 바레장은 반지를 고사했다.] 파이널에서 [[다리오 사리치]]의 부상으로 공백이 된 팀의 백업 빅맨 역할을 수행하는 등 궂은 일을 수행했으나 팀은 파이널 우승에 실패하였다. ==== [[인디애나 페이서스]] ==== 2021-22 시즌 5m으로 페이서스와 계약. 선수의 허슬이나 수비력은 여전했으나 공격력이 약하고 핸들링이 안 되는 특성상 중심 조각이 되긴 어려웠다. 팀에 부상자가 많아 적게 뛰지는 않았지만, 인디애나가 리빌딩을 선언하면서 거의 모든 선수들을 다 셀링하려 하자 크레익도 매물로 올라왔고, 지난 시즌 좋은 활약을 보여줬던 선즈에서 관심을 가졌다. ==== [[피닉스 선즈]] ==== ===== 2021-22 시즌 ===== 유망주 제일런 스미스와 트레이드. 경기당 40분 넘게 출장하는 미칼 브리지스의 백업 윙디펜더가 절실했던 피닉스에서 넘쳐나는 빅맨을 보내고 데려왔다. ===== 2022-23 시즌 ===== 지난 시즌에 비해 비약적으로 발전한 코너 부근 캐치앤 슛을 바탕으로 공격 기여가 늘어났다. 또한 [[크라우더]]와 팀의 갈등, [[캠 존슨]]의 장기부상으로 인해 주전으로 나오는 일이 잦아지기도 하였다. [[듀란트]]의 선즈 합류 시점 이후부터는 락다운 디펜스가 뛰어나고 림어택까지 기대할 수 있는 [[조쉬 오코기]]가 주전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플레이오프에 들어와서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다. 무서운 3점 득점력과 나쁘지 않은 수비력으로 클리퍼스와의 1라운드에서 큰 힘을 보태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허슬과 수비력이 좋은 3&D 윙디펜더. 본래 공격옵션이 없다싶이 한 수비 전문 선수였으나, 선즈에 합류한 이후 캐치앤 슛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쏠쏠한 공격력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다만 볼 핸들링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캐치앤 슛 이상의 공격 옵션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한편 이 선수의 진면목은 수비에서 나온다. 뛰어난 피지컬과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상대팀 2번, 3번, 4번은 물론이고 때때로 스몰볼의 센터로서의 수비도 가능하다. 전형적인 컨텐더팀의 조각으로 안성맞춤인 유형.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컬럼비아(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출신 인물]][[분류: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신]][[분류:1990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스몰 포워드]][[분류:덴버 너기츠/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벅스/은퇴, 이적]][[분류:피닉스 선즈/은퇴, 이적]][[시카고 불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