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 여배우]][[분류:1963년 출생]][[분류:웨스트우드(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배우 자녀]][[분류: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영국계 미국인]][[분류:유대계 미국인]]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상|{{{#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여우조연상|{{{#e5d85c '''여우조연상'''}}}]] || || '''제45회[br]([[1972년]])''' || {{{+1 → }}} || '''제46회[br]([[1973년]])''' || {{{+1 → }}} || '''제47회[br]([[1974년]])''' || || 아일린 해커트[br](나비의 외출) || {{{+1 → }}} || '''테이텀 오닐[br](페이퍼문)''' || {{{+1 → }}} || [[잉그리드 버그만]][br]([[오리엔트 특급 살인]]) || ||<-5> || ||<-2> '''{{{+1 테이텀 오닐}}}[br]Tatum O'Neal''' || || '''본명''' ||Tatum Beatrice O'Neal[br]테이텀 비어트리스 오닐 || ||<|2> '''출생''' ||[[1963년]] [[11월 5일]] ([age(1963-11-05)]세) ||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웨스트우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70cm || || '''직업''' ||배우, 작가 || || '''활동''' ||1973년 ~ 현재 || || '''부모''' ||아버지 [[라이언 오닐]][br]어머니 조애너 무어 || || '''배우자''' ||[[존 매켄로]]^^(1986년~1994년)^^ || || '''자녀''' ||아들 케빈 매켄로^^(1986년생)^^[br]아들 션 매켄로^^(1987년생)^^[br]딸 에밀리 매켄로^^(1991년생)^^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tatum__one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 생애 == [[아카데미 시상식]] 역사상 최연소[* 10년 148일.]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 수상자. 아버지인 [[라이언 오닐]]과 함께 출연한 [[피터 보그다노비치]]의 영화 <페이퍼 문>(1973)에서 맡은 역할로 트로피를 안았다. 어머니인 조애너 무어 또한 배우이다. <페이퍼 문>에서 보여준 천연덕스러운 연기와, 영화의 우수한 완성도로 [* 이 영화는 [[아메리칸 뉴웨이브 시네마]]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아직도 회자될 정도. 이렇게만 보면 배우로서 최고의 환경을 가진 행운아로 보이지만, 어린 시절은 매우 불우했다. 부모가 어린 시절 이혼하여 어머니와 함께 생활했으나, 어머니는 약물중독자여서 테이텀을 돌보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남자 친구는 테이텀을 구타했다. 그때 아버지인 라이언 오닐이 영화를 같이 찍자고 데려갔을 때 테이텀은 아버지가 구원자라 생각했다. 하지만 [[라이언 오닐]] 문서에도 언급되듯, 그는 젊은 시절 난봉꾼으로 유명하여 어린 테이텀의 보호자 역할을 제대로 못 했으며 [* 심지어 테이텀이 조역상을 받자 질투까지 했다고 한다. <페이퍼 문>에서 라이언이 맡은 모세는 날라리 사기꾼이긴 했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어른으로써 애디를 챙겨주는 인물이었는데, 자기가 맡은 인물만도 못한 셈.], 어른들이 문란하게 노는 파티장에 데려가기까지 하여, 성추행의 위험에까지 노출됐다. 결국, 그녀는 십대 시절부터 약물에 손을 대게 된다. 그래도 [[마이클 잭슨]]과의 짧았던 데이트는 나름 풋풋한 추억이었다고 한다. 이후 20대 초반에 테니스 스타 [[존 매켄로]]의 팬이 되어 그와 결혼하고, 세 자녀를 낳는다. 이미 부모와는 의절한 상태여서 결혼식에 관련한 모든 일을 시어머니가 처리해 줬다 한다. 그러나 매켄로의 바람과는 달리 그녀의 마약 문제는 점점 심각해져 결국 1993년에 이혼하고 만다.[[https://www.nbcnews.com/id/wbna6254612|링크]] 다행히도 임신했을 때는 약물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매켄로는 당시 코트의 악동으로 유명했고, 파티에서는 당시 상류층 사이에서 유행하던 코카인을 즐기기까지 했지만, 자신이 아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 믿었었다고 한다. 그래도 [[1999년]]부터는 마약을 끊고 2005년엔 자서전도 내며 재기를 꿈꿨지만, [[2008년]]에 마약을 구입하는 현장에서 긴급 체포됐다. 이후엔 다시 마약을 끊고 아버지인 [[라이언 오닐]]과도 화해의 손길을 내밀며, 자녀들과의 관계도 개선하였으나, [[2020년]]에 투신 자살을 시도했다. [[2021년]]에는 다시 회복하여 인스타그램으로 근황을 전하는 듯. 전 남편인 [[존 매켄로]]와도 원만히 지내고 있다고 한다. == 출연작 == * 페이퍼 문(Paper Moon), 1973 * 꼴찌 야구단(The Bad News Bears), 1976 [[버트 랜캐스터]]의 아들 빌 랜캐스터가 대본을 썼다. * [[녹원의 천사#s-5|인터내셔널 벨벳]], 1978 - 새러 벨벗 브라운(Sarah Velvet Brown)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주연했던 흥행작 <[[녹원의 천사]]>(1944)의 속편이다. [[크리스토퍼 플러머]], [[안소니 홉킨스|앤터니 홉킨즈]] 출연. * 화가와 소녀(Circle Of Two), 1980 [[리처드 버튼]] 출연. * [[장미셸 바스키아|''''''바스키아]](Basquiat), 1996 [[베니시오 델 토로]], [[데이비드 보위]], [[데니스 호퍼]] 출연. * 런어웨이즈(The Runaways), 2010 [[다코타 패닝]], [[크리스틴 스튜어트]], [[마이클 섀넌]]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