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테라리아/아이템)][include(틀:테라리아)][목차] == 개요 == 재료(Materials)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 가구|작업 가구]]에서 [[테라리아/조합법|조합법]]을 통해 다른 아이템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템으로, 주로 설명란에 재료(Material)라고 적혀 있다. 그 자체로서는 아무 의미 없고, 팔거나 조합을 해야 한다. 광물들이나 보석, 영혼들이 여기에 속한다. 각자의 사용처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테라리아/조합법|조합법]] 문서에서 F3를 누르고 해당 재료의 이름을 적어서 찾아보자. 단순한 장식용 가구면서 재료로 사용되는 아이템들도 여기에 서술되어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나무|나무]], 돌,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발광 버섯|발광 버섯]] 등 게임 내에서 주요한 재료로 사용되는 아이템들이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 문서에 서술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서 또한 참조하는 것을 권장한다. == 분류 == {{{#!folding 재료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테라리아/아이템/재료)]}}} ===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광물]][anchor(광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 === 보석 === 보석은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돌 블록|돌 블록]] 사이에 끼여있거나 돌 블록에 붙어있는 상태로 발견되며, 채집 시 보석을 떨어뜨린다. 공통적으로는 주로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보라색 페이즈블레이드|페이즈블레이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횃불|횃불]]과 조합하여 색상을 가진 횃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보석 15개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거대한 보석|거대한 보석]]을 제작할 수 있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1.2]] 버전 업데이트로 보석의 쓰임새가 다양해졌다. 보석을 이용해 마법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자수정 스태프|스태프]]를 만들거나, 일반 갈고리보다 길이가 긴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자수정 갈고리|보석 갈고리]]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보석 갈고리의 길이는 보석의 희귀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치장용 의류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로브|로브]]와 보석 10개를 조합하면 마법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장비가 된다. 갈고리를 만들 때, 몬스터들에게 얻는 [[#갈고리|갈고리]](재료)가 필요 없어 빨리 갈고리를 만들 수 있으므로 처음 테라리아를 시작했으면 보석을 열심히 모아보자. 일단 보석은 되는데로 모아두는게 좋다.돈벌이가 짭짤하기때문. 유리 벽면 20개와 보석 1개로 스테인드글라스 20개를 만들수 있는데 20개에 1골드에 팔리고 보석 수십개와 모래 300개정도를 다 스테인드글라스로 만들어 행복도가 높은 npc에게 팔면 40~50골드 가량을 순식간에 모을수 있다.잎사귀 날개,자동망치,티키 갑옷,클린태미네이터등 비싼 물건을 살때 판매 npc의 행복도를 올린 뒤 이 방법을 쓰면 사기 쉽다. 보석의 종류는 깊이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즉, 지하로 들어가자마자 [[#다이아몬드|다이아몬드]]를 채취할 수도 있으며, 계속 땅을 파도 겨우 [[#자수정|자수정]]만 나올 수 있다. 대신 깊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더욱 많은 양의 보석을 찾을 수 있다. 단, [[테라리아/지형#지옥|지옥]] 구간부터는 보석을 찾을 수 없다. [[파일:테라리아/소형보석바이옴.png]] [[파일:테라리아/보석바이옴.png]] 위 사진처럼 한 종류부터 여러 가지 종류까지 대량의 보석이 붙어있는 보석 광맥을 발견할 수 있다. 잘만 해서 초반에 [[:파일:Diamond_Gemstone_Cave.png|다이아몬드 광맥]]을 발견하면 일확천금을 하는 셈. [[파일:테라리아/자수정보석씨앗.png]] [[파일:테라리아/토파즈보석씨앗.png]] [[파일:테라리아/사파이어보석씨앗.png]] [[파일:테라리아/에메랄드보석씨앗.png]] [[파일:테라리아/루비보석씨앗.png]] [[파일:테라리아/다이아몬드보석씨앗.png]] [[파일:테라리아/호박보석씨앗.png]] [anchor(보석 나무)] '''보석 나무''' (Gem Trees) [[파일:테라리아/보석나무묘목.png]] [[파일:Terraria/AllGemTreesInCave.png]] 1.4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나무들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도토리|도토리]]와 보석을 조합해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보석 도토리|보석 도토리]]를 만들 수 있으며 지하[* 지상에서는 자라지 않으니 유의.]의 돌 블록 위에 심으면 이후 자라나서 보석을 수확할 수 있다. 다 자란 모습은 투박한 돌 색상의 나무 기둥에 사이사이에 해당 보석이 박혀있으며, 나뭇잎이 해당 보석의 색깔로 이루어져있다. 보석 나무를 베면 돌 블록 몇 개가 확정적으로 나오고, 보석과 보석 도토리는 확률적으로 나온다. {{{+1 '''모습/가격'''}}} ---- 아래는 각 보석의 모습과 가격. 가격이 비싸면 비쌀수록 그 보석은 매우 희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보석''' || '''가격''' || '''돌에 박혀있을 때''' || '''숨겨져 있을 때''' || '''배치된 모습''' || ||[[파일:Terraria/호박.png]] [[#호박|호박]]|| 30 [[파일:Terraria/SilverCoin.png]]|| [[파일:Terraria/Amber(Placed).png]][br][* 다만 이 형태는 자연적으로 찾을 수 없다.] || - || [[파일:Terraria/Amberplaced.png]] || ||[[파일:Terraria/다이아몬드.png]] [[#다이아몬드|다이아몬드]]|| 30 [[파일:Terraria/SilverCoin.png]]|| [[파일:Terraria/Diamond(Placed).png]] || [[파일:Terraria/Diamondrock.png]] || [[파일:Terraria/Diamondplaced.png]] || ||[[파일:Terraria/루비.png]] [[#루비|루비]]|| 22 [[파일:Terraria/SilverCoin.png]]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 [[파일:Terraria/Ruby(Placed).png]] || [[파일:Terraria/Rubyrock.png]] || [[파일:Terraria/Rubyplaced.png]] || ||[[파일:Terraria/에메랄드.png]] [[#에메랄드|에메랄드]]||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 [[파일:Terraria/Emerald(Placed).png]] || [[파일:Terraria/Emeraldrock.png]] || [[파일:Terraria/Emeraldplaced.png]] || ||[[파일:Terraria/사파이어.png]] [[#사파이어|사파이어]]|| 11 [[파일:Terraria/SilverCoin.png]]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 [[파일:Terraria/Sapphire(Placed).png]] || [[파일:Terraria/Sapphirerock.png]] || [[파일:Terraria/Sapphireplaced.png]] || ||[[파일:Terraria/토파즈.png]] [[#토파즈|토파즈]]||<)>7 [[파일:Terraria/SilverCoin.png]]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 [[파일:Terraria/Topaz(Placed).png]] || [[파일:Terraria/Topazrock.png]] || [[파일:Terraria/Topazplaced.png]] || ||[[파일:Terraria/자수정.png]] [[#자수정|자수정]]||<)>3 [[파일:Terraria/SilverCoin.png]]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 [[파일:Terraria/Amethyst(Placed).png]] || [[파일:Terraria/Amethystrock.png]] || [[파일:Terraria/Amethystplaced.png]] || {{{+1 '''목록'''}}}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자수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methyst, 한=자수정, 스택=999, v=1.0, ID=18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자수정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3333%)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15%)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토파즈|토파즈]]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자수정 토끼|자수정 토끼]]/[[테라리아/몬스터#자수정 다람쥐|자수정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보라색 보석. 가치가 가장 낮으며, 블록 모양은 보라색 돌이 끼여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토파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opaz, 한=토파즈, 스택=999, v=1.0, ID=18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토파즈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3333%)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15%)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사파이어|사파이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토파즈 토끼|토파즈 토끼]]/[[테라리아/몬스터#토파즈 다람쥐|토파즈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노란색 보석. 두 번째로 가치가 낮으며, 토파즈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모래총|모래총]]을 만들 수 있어 총을 모으려는 사람에겐 더욱 귀중한 보석이다. 블록 모양은 노란색 돌이 끼여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파이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apphire, 한=사파이어, 스택=999, v=1.0, ID=177,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사파이어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3333%)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15%)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에메랄드|에메랄드]]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사파이어 토끼|사파이어 토끼]]/[[테라리아/몬스터#사파이어 다람쥐|사파이어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란색 보석. 세 번째로 가치가 낮으며, 블록 모양은 파란색 돌이 끼여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에메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merald, 한=에메랄드, 스택=999, v=1.0, ID=17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에메랄드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3333%)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15%)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루비|루비]]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에메랄드 토끼|에메랄드 토끼]]/[[테라리아/몬스터#에메랄드 다람쥐|에메랄드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초록색 보석. 세 번째로 가치가 높으며, 블록 모양은 초록색 돌이 끼여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루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uby, 한=루비, 스택=999, v=1.0, ID=17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루비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3333%)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15%)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다이아몬드|다이아몬드]]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루비 토끼|루비 토끼]]/[[테라리아/몬스터#루비 다람쥐|루비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빨간색 보석. 두 번째로 가치가 높으며, 루비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금 왕관|왕관]]을 만들 수 있어 쓰임새가 더 있다. 블록 모양은 빨간색 돌이 끼여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다이아몬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iamond, 한=다이아몬드, 스택=999, v=1.0, ID=182,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다이아몬드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3333%)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15%)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다이아몬드 토끼|다이아몬드 토끼]]/[[테라리아/몬스터#다이아몬드 다람쥐|다이아몬드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밝은 파란색 보석. 가장 가치가 높은 보석이다. 블록 모양은 하늘색 돌이 끼여있다. 돌에 박힌 스프라이트와 블록에 붙어 있는 스프라이트의 색이 다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호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mber, 한=호박, 스택=999, v=1.2, ID=99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사막 지하|사막 지하]]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호박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 나무|보석 나무]] (0-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0.9598%)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실트 블록|실트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창눈 블록|진창눈 블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7629%) (1-16)[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호박 토끼|호박 토끼]]/[[테라리아/몬스터#호박 다람쥐|호박 다람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주황색 보석.[*주의 식물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호박|호박]]이 아니다.] 가치는 [[#다이아몬드|다이아몬드]]와 동일하다. [[테라리아/지형#사막 지하|사막 지하]]에서 채굴할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추출기|추출기]]에서도 자주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까지만 해도 지하 채굴이 불가능한 보석이었고 쓰임새도 다른 보석들보다 많지 않은 편이었으나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1.4]] 버전에 호박 관련 아이템이 대거 추가되어 호박 아이템의 수가 다른 보석들과 동등해졌다. === 전리품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el, 한=젤, 스택=999, v=1.0, ID=23, 희소=white, 유형=재료\, 탄약)][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파란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100%) (1-2 / {{{#E80 1-3}}} / {{{#red 1-2}}})[br][include(틀:t캡션, 이름=초록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새끼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얼음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발광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어미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래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슬라임링,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오염된 슬라임.png, 이름=슬라이머, 문서=몬스터, h=16px)] (날개가 없을 때) / [include(틀:t캡션, 이름=가시 박힌 얼음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가시 박힌 정글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100%) (1-2 / {{{#E80 1-3}}})[br][include(틀:t캡션, 사진=UmbrellaSlime.png, 이름=우산 슬라임, 문서=이벤트, h=16px)] (97.78%) (2-5)[br][include(틀:t캡션, 이름=오염된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진홍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100%) (2-4)[br][include(틀:t캡션, 이름=검정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보라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빨강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노랑 슬라임, 문서=몬스터, h=16px)] (100%) (2-5)[br][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슬라임, 문서=보스,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천상의 슬라임, 문서=보스,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탄력있는 슬라임, 문서=보스,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유독성 슬러지, 확장자=gif, 문서=몬스터, h=16px)] (100%) (1-2)[br][include(틀:t캡션, 사진=SpikedSlime.png, 이름=가시 슬라임, 문서=보스,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슬라임 좀비, 문서=몬스터, h=16px)] (100%) (1-3)[br][include(틀:t캡션, 확장자=gif, 이름=무지개 슬라임, 문서=이벤트, h=16px)] (100%) (1-20)[br][include(틀:t캡션, 이름=복족류, 문서=몬스터, h=16px)] (100%) (5-10)}}} 초반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횃불|횃불]]을 만드는 재료이며 게임 전반에 걸쳐서도 중요해 자주 사용되는 아이템이다. 횃불 외에도 [[테라리아/아이템/무기#폭발물|폭발물]]이나 [[테라리아/아이템/도구#형광봉|형광봉]]과 조합하여 블록에 쩍 달라붙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설치된 병]]에서 버섯과 유리병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소형 치유 포션|소형 치유 포션]]을, 응고기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슬라임 블록|슬라임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1.4.4 이후 원래는 아래의 분홍 젤을 요구했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화염병|화염병]]을 만드는 데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 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Gel, 한=분홍 젤, 스택=999, v=1.3.0.1, ID=311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핑키, 문서=몬스터, h=8px)] (100%) (25-50)}}}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평화 양초|평화 양초]]의 재료가 되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분홍빛 횃불|분홍빛 횃불]]을 만들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무기#폭발물|폭발물]]이나 [[테라리아/아이템/도구#형광봉|형광봉]]과 조합하여 지면에 통통 튀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설치된 병]]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버섯|버섯]]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유리병]]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복합 포션|복합 포션]]을, 응고기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분홍 슬라임 블록|분홍 슬라임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테라리아/아이템/장비#분홍 젤 염료|분홍 젤 염료]]의 재료로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수정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ens, 한=수정체, 스택=99, v=1.0, ID=3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악마의 눈,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방황하는 눈, 확장자=gif, 문서=몬스터, h=16px)] (33%)}}}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눈|크툴루의 눈]]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수상해 보이는 눈|수상해 보이는 눈]]을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악마의/진홍색 제단|악마의/진홍색 제단]]에서 만들 수 있으며, 2개를 조합하면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고글|고글]]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궁수의 포션|궁수의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하드모드에서는 [[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눈|기계 눈]]의 재료로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검은 수정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ack Lens, 한=검은 수정체, 스택=99, v=1.0.3, ID=236,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악마의 눈,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방황하는 눈, 확장자=gif, 문서=몬스터, h=16px)] (1%)}}} 2개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선글라스|선글라스]]를 만들 수 있으며, 1개가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안구 스태프|안구 스태프]] 재료로 들어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갈고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ook, 한=갈고리, 사진=Terraria/Hook.png, 스택=99, v=1.0, ID=11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켈레톤,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장갑 보병,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언데드 광부, 문서=몬스터, h=24px)] (4%)[br][include(틀:t캡션, 이름=피라냐, 문서=몬스터, h=16px)] (3.3%)}}}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등반 갈고리|등반 갈고리]]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지만 이 외의 용도는 없고 효율성이 더 좋은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자수정 갈고리|보석 갈고리]]가 있어서 얻으면 대부분 상점 아니면 쓰레기통행.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방귀 쿠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hoopie Cushion, 한=방귀 쿠션, 사진=Terraria/WhoopieCushion.png, 스택=1, v=1.0, ID=215, 희소=gree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GiandWormHead.png, 이름=거대 지렁이, 문서=몬스터)] / [include(틀:t캡션, 사진=DiggerHead.png, 이름=디거, 문서=몬스터, h=24px)] (2% / {{{#E80 4%}}})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좀비 팔|좀비 팔]]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사용하면 [[방귀]] 뀌는 것과 비슷한 효과음을 낸다. 이를 이용해 [[테라리아/시스템#멀티플레이|멀티플레이]]에서 상대방에게 짜증을 유발하게 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땜장이의 작업장|땜장이의 작업장]]에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병 속의 구름|병 속의 구름]]과 합쳐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병 속의 방귀|병 속의 방귀]]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썩은 덩어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otten Chunk, 한=썩은 덩어리, 스택=99, v=1.0, ID=6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영혼을 먹는 자, 문서=몬스터, h=3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커럽터, 문서=몬스터, 확장자=gif, h=36px)] (33.33%)[br][include(틀:t캡션, 이름=디바워러,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33.33%) (1-2)}}}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벌레 먹이|벌레 먹이]]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악마의/진홍색 제단|악마의/진홍색 제단]]에서 만들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5개를 조합하면 [[#가죽|가죽]]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전투 포션|전투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하드모드에서는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벌레|기계 벌레]]의 재료로도 쓰인다. 아이템 설명에는 '맛있어 보인다!'고 적혀있는데, 1.4.3 업데이트로 썩은 덩어리 8개를 요리 냄비에 삶아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몬스터 라자냐|몬스터 라자냐]]를 만들어 먹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전까지는 영혼을 먹는 자들이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햄버거|햄버거]]를 드롭한다는 점을 감안해서 [[패스트푸드]]와 관련된 드립이 아닌가 추측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척추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ertebra, 한=척추뼈, 스택=99, v=1.2, ID=133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블러드 크롤러,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리메라, 문서=몬스터, h=3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얼굴 괴물,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플로티 그로스, 문서=몬스터, h=24px)] (33.33%)}}}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피투성이 등뼈|피투성이 등뼈]]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악마의/진홍색 제단|악마의/진홍색 제단]]에서 만들 수 있으며, 기타 조합법은 [[#가죽|가죽]]을 만들 수 없는 것만 빼고 위의 [[#썩은 덩어리|썩은 덩어리]]와 동일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벌레 이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m Tooth, 한=벌레 이빨, 사진=Terraria/WormTooth.png, 스택=99, v=1.0, ID=6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디바워러,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100%) (3-8)}}} 주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나무 화살|나무 화살]]을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부정한 화살|부정한 화살]]로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그림자 비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adow Scale, 한=그림자 비늘, 스택=999, v=1.0, ID=86,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EaterofWorldsHead.png, 이름=세상을 먹는 자, 문서=보스, h=24px)] (100%) (10-19)[br][include(틀:t캡션, 사진=EaterofWorldsHead.png, 이름=세상을 먹는 자, 문서=보스, h=24px)] (각 마디) (50%) (1-2 / {{{#E80 2-3}}})}}} [[#데모나이트|데모나이트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데모나이트 도구와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그림자 갑옷|그림자 갑옷]] 세트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조직 샘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issue Sample, 한=조직 샘플, 스택=999, v=1.2, ID=1329,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Creeper.png, 이름=크리퍼, 문서=보스, h=16px)] (66.67%) (2-5 / {{{#E80 4-10}}})[br][include(틀:t캡션, 사진=BrainofCthulhu(R).png, 이름=크툴루의 뇌, 문서=보스)] ({{{#E80 100%}}}) ({{{#E80 10-19}}})}}} [[#크림테인|크림테인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크림테인 도구 및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미트볼|미트볼]](철퇴)과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진홍색 갑옷|진홍색 갑옷]] 세트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깃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eather, 한=깃털, 스택=99, v=1.0.5, ID=32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하피, 문서=몬스터, h=24px)] (50%)}}}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중력 포션|중력 포션]]과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가벼움의 포션|가벼움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밖에 용도가 없으나, 하드모드 이후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악마의 날개|악마의 날개]]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천사의 날개|천사의 날개]]를 만드는 데에도 10개씩 쓰인다. 악마의 날개와 천사의 날개의 성능이 다른 날개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라 쓸모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악마의/천사의 날개는 판매가가 금화 8닢으로 재료를 전부 합한 것보다 비싸니 필요없다고 그냥 팔지말고 날개를 만들어 파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플링스 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linx Fur, 한=플링스 털, 스택=99, v=1.4.1, ID=5070,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노우 플링스, 사진=SnowFlinx.png, 문서=몬스터, h=24px)] (100%) (1-2 / {{{#E80 1-3}}})}}} 극초반 서머너용 무기와 장비를 만드는 데에 사용되며, [[테라리아/보스#외눈사슴|외눈사슴]]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사슴 비슷한 무언가|사슴 비슷한 무언가]]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망가진 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attered Cloth, 한=망가진 천, 사진=Terraria/TatteredCloth.png, 스택=99, v=1.0.6, ID=362,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정찰병, 문서=몬스터, h=24px)] (100%) (1-2)}}}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부대|고블린 부대]]를 소환하는 [[테라리아/이벤트#고블린 전투 휘장|고블린 전투 휘장]]을 만들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뼈다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ne, 한=뼈다귀, 스택=999, v=1.0, ID=154, 희소=white, 유형=재료\, 원거리 무기)][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성난 해골, 문서=몬스터/던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암흑 소환사, 문서=몬스터/던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두개골, 문서=몬스터/던전, h=24px)][br](98.07% / {{{#E80 100%}}}) (1-3 / {{{#E80 2-6}}})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at캡션, 사진=Bone_Block_Wall.png, 이름=뼈다귀 블록 벽면,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24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뼈 용접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뼈 플랫폼,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2) @ 손}}}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뼈다귀|무기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독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inger, 한=독침, 스택=99, v=1.0, ID=20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말벌, 문서=몬스터, h=24px)] (66% / {{{#E80 100%}}})[br][include(틀:t캡션, 이름=가시 박힌 정글 슬라임, 문서=몬스터, h=24px)] (50% / {{{#E80 100%}}})}}} 각종 정글 무기들과 정글 셔츠, 그리고 탄약 아이템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독 다트|독 다트]]의 제작에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덩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ne, 한=덩굴, 스택=99, v=1.0, ID=21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맨 이터, 문서=몬스터, h=24px)] (50%) (1-2)}}}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넝쿨 채찍|넝쿨 채찍]](갈고리)과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아마존|아마존]](요요), 정글 바지 제작에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개미귀신 아래턱)][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ntlion Mandible, 한=개미귀신 아래턱, 사진=Terraria/AntlionMandible.png, 스택=99, v=1.0.5, ID=323,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개미귀신 돌격병,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사진=Antlion.png, 이름=개미귀신,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개미귀신 날벌레, 문서=몬스터, h=16px)] (33.3%) (1-2)[br][include(틀:t캡션, 이름=개미귀신 유충, 문서=몬스터, h=16px)] (16.67%)}}}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모래총|모래총]]과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채광 포션|채광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상어 지느러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ark Fin, 한=상어 지느러미, 스택=99, v=1.0.5, ID=31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Shark.png, 이름=상어, 문서=몬스터, h=24px)] (98%)[br][include(틀:t캡션, 사진=SandShark.png, 이름=모래 상어,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BoneBiter.png, 이름=뼈를 깨무는 자,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FleshReaver.png, 이름=살덩이 약탈자,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CrystalThresher.png, 이름=수정 환도상어, 문서=이벤트, h=16px)] (12.5%)}}}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수상 보행 포션|수상 보행 포션]]과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사냥꾼의 포션|사냥꾼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하드모드에선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메가샤크|메가샤크]]의 제작 재료로 쓰인다.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나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에 지배된 바다에선 상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하드모드 이전에 많이 모아두자. 지하에서 상어 조각상을 입수했다면 상어 지느러미를 얻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하드모드 이후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에서 [[테라리아/이벤트#모래폭풍|모래폭풍]]이 불면 등장하는 모든 [[테라리아/이벤트#모래 상어|모래 상어]]들이 드랍하는 상어 지느러미의 색은 각 상어의 색에 맞추어서 바뀌게 되는데, [[#젤|젤]]처럼 서로 겹칠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도 상어 지느러미가 필요하다면 노려보자.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밀랍)][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ee Wax, 한=밀랍, 스택=99, v=1.2.4, ID=243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여왕벌, 문서=보스, 파생=축소)] (100%) (16-26 / {{{#E80 17-29}}})}}} 서머너용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꿀벌 갑옷|꿀벌 갑옷]] 세트,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말벌 스태프|말벌 스태프]]의 제작에 쓰인다. 이외에도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벌류탄|벌류탄]]의 제작에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요정의 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xie Dust, 한=요정의 가루, 과정=ⓗ, 스택=99, v=1.1, ID=501,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픽시, 문서=몬스터, h=24px)] (100%) (1-3)}}} 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대형 치유 포션|대형 치유 포션]]''', [[테라리아/아이템/도구#성수|성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요정의 종|요정의 종]],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요정의 날개|요정의 날개]],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운석 스태프|운석 스태프]],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무지개 막대|무지개 막대]]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니콘의 뿔)][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nicorn Horn, 한=유니콘의 뿔, 과정=ⓗ, 스택=99, v=1.1, ID=526,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유니콘, 문서=몬스터, h=24px)] (100%)}}} 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슈퍼 마나 포션|슈퍼 마나 포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신성한 화살|신성한 화살]],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무지개 막대|무지개 막대]]의 재료로 사용된다. 자연 스폰된 유니콘은 뿔을 반드시 한 개 드롭하지만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유니콘 조각상|조각상]]으로 소환된 유니콘은 겨우 5% 확률로 하나를 드롭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저주받은 불꽃)][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ursed Flame, 한=저주받은 불꽃, 과정=ⓗ, 스택=99, v=1.1, ID=522,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월드 피더,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클링어, 문서=몬스터, h=16px)] (100%) (2-5)[br][include(틀:t캡션, 이름=불쾌한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33.3%) (1-3)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더럽혀진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50%) (2-5)}}} 이 아이템으로 만든 횃불, 탄약, 무기는 물속에서도 불이 꺼지지 않는 특징을 보이며, 일정 시간 동안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불이야!|불이야!]] 디버프보다 훨씬 강한 피해를 주는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저주받은 불길|저주받은 불길]] 디버프를 걸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이코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chor, 한=이코르, 과정=ⓗ, 스택=99, v=1.2, ID=1332,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이코르 스티커, 문서=몬스터, h=24px)] (100%) (2-5)[br][include(틀:t캡션, 이름=부패한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33.3%) (1-3)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핏빛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50%) (2-5)}}} 이 아이템으로 만든 횃불, 탄약, 무기는 방어력을 대폭 깎아먹는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이코르|이코르]] 디버프를 걸 수 있다. 이때 공격받은 몬스터는 노란색으로 물든다. 툴팁을 보면 '신의 피'라고 적혀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어둠의 조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ark Shard, 한=어둠의 조각, 과정=ⓗ, 스택=99, v=1.1, ID=527, 희소=gree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부패한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불쾌한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6.67%)[br][include(틀:t캡션, 이름=피의 미라,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어둠의 미라, 문서=몬스터, h=24px)] (10%)[br][include(틀:t캡션, 사진=BoneBiter.png, 이름=뼈를 깨무는 자,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FleshReaver.png, 이름=살덩이 약탈자, 문서=이벤트, h=16px)] (4%)}}} 적에게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혼란|혼란]]을 거는 철퇴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다오 오브 파우|다오 오브 파우]], 하드 초중반까지 훌륭한 성능을 자랑하는 샷건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오닉스 블래스터|오닉스 블래스터]]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빛의 조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ght Shard, 한=빛의 조각, 과정=ⓗ, 스택=99, v=1.1, ID=528, 희소=gree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몽상가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6.67%)[br][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미라, 문서=몬스터, h=24px)] (10%)[br][include(틀:t캡션, 사진=CrystalThresher.png, 이름=수정 환도상어, 문서=이벤트, h=16px)] (4%)}}} 적에게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혼란|혼란]]을 거는 철퇴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다오 오브 파우|다오 오브 파우]],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하늘의 균열|하늘의 균열]]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대의 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ncient Cloth, 한=고대의 천, 과정=ⓗ, 스택=999, v=1.3.3, ID=3794,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구울,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불쾌한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부패한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몽상가 구울, 문서=몬스터, h=24px)] (10%)}}} 치장용 의류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고대의 세트|고대의 세트]]의 제작에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막의 영혼 램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sert Spirit Lamp, 한=사막의 영혼 램프, 사진=Terraria/DesertSpiritLamp.png, 과정=ⓗ, 스택=99, v=1.3.3, ID=3795, 희소=orang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사막의 영혼, 문서=몬스터, h=24px)] (2.5%)}}} 마법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영혼의 불길|영혼의 불길]]의 재료로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서리 코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rost Core, 한=서리 코어, 과정=ⓗ, 스택=999, v=1.2.3, ID=2161,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얼음 골렘, 문서=이벤트, h=36px)] (100%)}}} 워리어와 레인저의 공통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서리 갑옷|서리 갑옷]] 세트의 제작에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금지된 파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orbidden Fragment, 한=금지된 파편, 과정=ⓗ, 스택=999, v=1.3.3, ID=3783,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모래 정령, 문서=이벤트, h=36px)] (100%)}}} 소서러와 서머너의 공통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금지된 갑옷|금지된 갑옷]] 세트, 마법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영혼의 불길|영혼의 불길]]의 제작에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미의 독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ider Fang, 한=거미의 독니, 과정=ⓗ, 스택=99, v=1.2.4, ID=2607, 희소=lightcoral,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블랙 레크루즈, 문서=몬스터, h=24px)] (50% / {{{#E80 90%}}}) (1-3)}}} 서머너용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거미 갑옷|거미 갑옷]] 세트,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거미 스태프|거미 스태프]],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여왕 거미 스태프|여왕 거미 스태프]]의 제작에 쓰인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1.4]] 패치로 거미 가구의 재료가 되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거미집 블록|거미집 블록]]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북 등딱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urtle Shell, 한=거북 등딱지, 과정=ⓗ, 스택=99, v=1.2, ID=1328, 희소=lim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거대 거북이, 문서=몬스터, h=24px)] (8.33%)}}} [[#녹조류|녹조류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워리어용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거북 갑옷|거북 갑옷]] 세트의 제작에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딱정벌레 껍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eetle Husk, 한=딱정벌레 껍질, 사진=Terraria/BeetleHusk.png, 과정=ⓗ, 스택=99, v=1.2.3, ID=2218, 희소=yellow,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골렘, 문서=보스, 파생=축소)] (100%) (4-8 / {{{#E80 18-23}}})}}}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거북 갑옷|거북 갑옷]] 세트와 같이 조합하여 워리어용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딱정벌레 갑옷|딱정벌레 갑옷]] 세트의 제작에 쓰이며,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딱정벌레 날개|딱정벌레 날개]]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심령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ctoplasm, 한=심령체, 과정=ⓗ, 스택=99, v=1.2, ID=1508, 희소=yellow,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던전 정령, 문서=몬스터/던전, h=16px)] (100%) (1-2)}}} [[#녹조류|녹조류 주괴]]와 같이 조합하여 [[#유령의 주괴|유령의 주괴]]로 만들어서, 소서러용 장비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유령의 갑옷|유령의 갑옷]] 세트와 범위가 세 칸 증가한 유령의 도구들을 제작할 수 있다. 한때 던전에서 조각상으로 던전 정령을 인위적으로 소환해 심령체 농장을 만들 수 있었으나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업데이트에서 막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부서진 영웅의 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roken Hero Sword, 한=부서진 영웅의 검, 과정=ⓗ, 스택=99, v=1.2, ID=1570, 희소=yellow,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모스론, 문서=이벤트, h=24px)] (25% / {{{#E80 43.75%}}})}}} 줄여서 부영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진정한 엑스칼리버|진정한 엑스칼리버]]와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진정한 밤의 칼날|진정한 밤의 칼날]]을 융합한 루나 이벤트 이전 최종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테라 블레이드|테라 블레이드]]의 제작에 들어간다.[* 1.2 때는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엑스칼리버|엑스칼리버]]를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진정한 엑스칼리버|진정한 엑스칼리버]]로 만드는 데 하나,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밤의 칼날|밤의 칼날]]을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진정한 밤의 칼날|진정한 밤의 칼날]]로 만드는 데 하나씩 총 2개가 필요했지만 1.4에서는 진정한 엑스칼리버와 진정한 밤의 칼날의 재료가 녹조류 주괴와 기계 보스 영혼으로 바뀌고 부영검은 테라블레이드의 재료가 되면서 최종적으로 1개만 요구되게 바뀌었다.] 콘솔과 모바일에서는 [[테라리아/이벤트#프랑켄슈타인|프랑켄슈타인]]과 [[테라리아/이벤트#늪지대 괴물|늪지대 괴물]]이 0.4% 확률로 드롭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태양의 석판 조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lar Tablet Fragment, 한=태양의 석판 조각, 사진=Terraria/SolarTabletFragment.png, 과정=ⓗ, 스택=99, v=1.3.0.1, ID=2766, 희소=yellow,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리자드,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 날아다니는 뱀, 문서=몬스터, h=24px)] (14.29%) (1-2)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의 [[파일:Terraria/리자드 상자.png|height=14px]] 리자드 상자[br](80%) (3-7)}}}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미스릴/오리칼쿰 모루|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8개를 조합해 [[테라리아/이벤트#일식|일식]]을 강제로 발생시키는 [[테라리아/이벤트#태양의 석판|태양의 석판]]을 만들 수 있다. 만약 일식이 일어나지 않아서 뒷목을 잡을 지경이라면 이걸 모아서 일식을 시작하자. ==== 영혼 ==== 영혼은 하드모드에서 갑옷과 장비를 제작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재료로 사용되는 아이템이다. 하드모드 몬스터와 보스를 사냥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 내에서 [[#파편|천체의 파편]]과 함께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아이템이므로, 몬스터가 죽은 지점의 공중에서 드롭한다. 따라서 [[테라리아/보스|보스]]나 [[테라리아/몬스터#와이번|와이번]]이 땅속에서 잡혔을 땐 일일이 뚫고 들어가서 먹어줘야 하며, 오프 스크린 영역에서 잡혔을 땐 먹을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스를 처치하는 지점은 가능한 지상과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의 사이인 것이 좋다. 각 영혼의 영문명은 모두 Soul of -ight로 끝나는 규칙이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행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Flight, 한=비행의 영혼, 사진=Terraria/SoulofFlight.gif, 과정=ⓗ, 스택=999, v=1.1, ID=575,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와이번,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100%) (5-40 / {{{#E80 10-50}}})}}} 제작으로 얻는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날개|날개]] 종류 장신구에는 반드시 들어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빛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Light, 한=빛의 영혼, 사진=Terraria/SoulofLight.gif, 과정=ⓗ, 스택=999, v=1.1, ID=520,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테라리아/몬스터#신성지대|신성지대 지하의 몬스터]] (20% / {{{#E80 36%}}})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성스러운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50%) (2-5)}}} 신성지대 지하에서만 소환되는 몬스터만이 아닌 신성지대 지하에서 처치하는 모든 적이 드랍한다. 무기,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날개|날개]], [[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테라리아/보스#보스 소환 아이템|소환 아이템]] 등 하드모드에서 광범위하게 재료로 쓰인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빛의 열쇠|빛의 열쇠]],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천사의 날개|천사의 날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논리 센서|낮 센서]],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다오 오브 파우|다오 오브 파우]](철퇴),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빛의 원반|빛의 원반]](부메랑),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치크|치크]](요요),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요정의 종|요정의 종]],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무지개 막대|무지개 막대]](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운석 스태프|운석 스태프]](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수정 폭풍|수정 폭풍]](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하늘의 균열|하늘의 균열]](마법), [[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눈|기계 눈]],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두개골|기계 두개골]]의 재료로 쓰인다. 모바일에선 어째선지 신성지대 지상에서도 얻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밤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Night, 한=밤의 영혼, 사진=Terraria/SoulofNight.gif, 과정=ⓗ, 스택=999, v=1.1, ID=521,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테라리아/몬스터#오염지대|오염지대]] / [[테라리아/몬스터#진홍지대|진홍지대의 몬스터]] (20% / {{{#E80 36%}}})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더럽혀진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핏빛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br](50%) (2-5)}}} 오염/진홍지대 지하에서만 소환되는 몬스터만이 아닌 오염/진홍지대 지하에서 처치하는 모든 적이 드랍한다. 무기,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날개|날개]], [[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테라리아/보스#보스 소환 아이템|소환 아이템]] 등 하드모드에서 광범위하게 재료로 쓰인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밤의 열쇠|밤의 열쇠]],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악마의 날개|악마의 날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논리 센서|밤 센서]],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다오 오브 파우|다오 오브 파우]],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저주받은 불꽃|저주받은 불꽃]](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골든 샤워|골든 샤워]](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마법의 하프|마법의 하프]](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영혼의 불길|영혼의 불길]](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오닉스 블래스터|오닉스 블래스터]](총),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벌레|기계 벌레]],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소환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기계 두개골|기계 두개골]]의 재료로 쓰인다. 모바일에선 어째선지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지상]]에서도 얻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시야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Sight, 한=시야의 영혼, 사진=Terraria/SoulofSight.gif, 과정=ⓗ, 스택=999, v=1.1, ID=549,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TheTwins(R).png, 이름=쌍둥이, 문서=보스)] (100%) (25-40)}}}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곡괭이 도끼|곡괭이 도끼]]와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드랙스|드랙스]]를 만드는 데 1개씩,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복수자의 휘장|복수자의 휘장]]을 만드는 데 5개씩 들어가고,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요정의 종|요정의 종]](광원 펫),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무지개 막대|무지개 막대]](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마법의 하프|마법의 하프]](마법),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안구 스태프|안구 스태프]](소환),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논리 센서|플레이어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힘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Might, 한=힘의 영혼, 사진=Terraria/SoulofMight.gif, 과정=ⓗ, 스택=999, v=1.1, ID=548,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파괴자, 문서=보스, 파생=머리, h=24px)] (100%) (25-40)}}}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곡괭이 도끼|곡괭이 도끼]]와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드랙스|드랙스]]를 만드는 데 1개씩,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복수자의 휘장|복수자의 휘장]]을 만드는 데 5개씩 들어가고,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메가샤크|메가샤크]],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빛의 원반|빛의 원반]]을 제작할 수 있다. 모바일 한정으로 [[테라리아/보스#레퍼스|레퍼스]]가 1% 확률로 3개를 드롭하기도 해서 하드모드 이전에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메가샤크를 만들려면 하드모드에 진입해야만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공포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Fright, 한=공포의 영혼, 사진=Terraria/SoulofFright.gif, 과정=ⓗ, 스택=999, v=1.1, ID=547,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켈레트론 프라임, 문서=보스, 파생=축소)] (100%) (25-40)}}}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곡괭이 도끼|곡괭이 도끼]]와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드랙스|드랙스]]를 만드는 데 1개씩,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복수자의 휘장|복수자의 휘장]]을 만드는 데 5개씩 들어가고,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화염방사기|화염방사기]], [[테라리아/이벤트#프로스트 문|프로스트 문]] 이벤트 발생 아이템인 [[테라리아/이벤트#장난스러운 선물|장난스러운 선물]]을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재앙의 영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ul of Blight, 한=재앙의 영혼, 과정=ⓗ, 스택=999, v=, ID=5017(한정),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Ocram(R).png, 이름=오크람, 문서=보스)] (100%) (15-25)[* 3DS 한정] / (5-16)[* 구세대 콘솔 한정]}}} 콘솔판 전용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티조나|티조나]],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톤보기리|톤보기리]],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드래곤 갑옷|드래곤 갑옷]]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모바일은 1.3으로 업데이트되면서 보스와 함께 사라진 영혼이다. ==== 파편 ==== [[테라리아/이벤트#루나 이벤트|루나 이벤트]] 때 [[테라리아/이벤트#천체의 기둥|각각의 기둥]]을 부수면 나오는 아이템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고대의 머니퓰레이터|고대의 머니퓰레이터]]에서 조합해 강력한 무기를 만들거나 최종 보스가 떨어뜨리는 [[#루미나이트|루미나이트]]를 가공한 주괴와 합쳐 최종 갑옷과 도구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기둥 제거 시 1~3개씩 흩어져서 공중에 떠있으며 한 번에 12-60개 / {{{#E80 24-100}}}개 정도 나온다. 각각의 파편들은 얻고자 하는 파편 한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세 종류의 파편을 재료로 써서 얻고자 하는 파편 하나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의 파편 하나를 만들고자 하면 성운, 소용돌이, 소성단의 파편 하나씩을 써야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태양의 파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olar Fragment, 한=태양의 파편, 과정=ⓗ, 스택=999, v=1.3.0.1, ID=3458, 희소=cya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SolarPillar(R).png, 이름=태양의 기둥, 문서=이벤트)] (100%) (12-60 / {{{#E80 24-100}}})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강력한 성능의 워리어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 속에 우주의 격노가 담겨 있다."라고 적혀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성운의 파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Nebula Fragment, 한=성운의 파편, 과정=ⓗ, 스택=999, v=1.3.0.1, ID=3457, 희소=cya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NebulaPillar(R).png, 이름=성운의 기둥, 문서=이벤트)] (100%) (12-60 / {{{#E80 24-100}}})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강력한 성능의 소서러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 속에 은하의 힘이 머물고 있다."라고 적혀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소용돌이의 파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ortex Fragment, 한=소용돌이의 파편, 과정=ⓗ, 스택=999, v=1.3.0.1, ID=3456, 희소=cya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VortexPillar(R).png, 이름=소용돌이의 기둥, 문서=이벤트)] (100%) (12-60 / {{{#E80 24-100}}})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성단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강력한 성능의 레인저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에서 소용돌이치는 에너지가 뿜어져 나온다."라고 적혀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소성단의 파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ardust Fragment, 한=소성단의 파편, 과정=ⓗ, 스택=999, v=1.3.0.1, ID=3459, 희소=cyan,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StardustPillar(R).png, 이름=소성단의 기둥, 문서=이벤트)] (100%) (12-60 / {{{#E80 24-100}}}) [[파일:290px구분선.png]] [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태양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성운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 + [include(틀:t캡션, 이름=소용돌이의 파편, 문서=아이템/재료)][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강력한 성능의 서머너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툴팁을 보면 "파편을 중심으로 황홀한 입자가 돌아가고 있다."라고 적혀있다. === 구매품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 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Thread, 한=분홍 실, 스택=99, v=1.2, ID=98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의류상,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설원 갑옷|설원 갑옷]]을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분홍 설원 갑옷|분홍 에스키모 갑옷]]으로 바꿀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검정 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ack Thread, 한=검정 실, 사진=Terraria/BlackThread.png, 스택=99, v=1.0, ID=254,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의류상,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턱시도|턱시도 셔츠/바지]]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불법 총기 부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llegal Gun Parts, 한=불법 총기 부품, 스택=99, v=1.0.5, ID=324,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2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밤일 때)}}}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모래총|모래총]],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메가샤크|메가샤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화염방사기|화염방사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색종이 조각)][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nfetti, 한=색종이 조각, 사진=Terraria/Confetti.png, 스택=99, v=1.2, ID=1345, 희소=white, 유형=재료\, 탄약)][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빈 총알|빈 총알]]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파티용 총알|파티용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파티의 플라스크|파티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색종이 대포|색종이 대포]]의 탄약으로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주문 마법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ll Tome, 한=주문 마법서, 과정=ⓗ, 스택=99, v=1.1, ID=531,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하드모드의 마법서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에 던져 [[테라리아/아이템/소비#고급 전투 기법: 2편|고급 전투 기법: 2편]]을 얻는 데에도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종)][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ell, 한=종, 사진=Terraria/Bell.png, 과정=ⓗ, 스택=1, v=1.1, ID=507,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사,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요정의 종|요정의 종]]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마우스로 클릭하면 종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arp, 한=하프, 사진=Terraria/Harp.png, 과정=ⓗ, 스택=1, v=1.1, ID=508,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사,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마법의 하프|마법의 하프]]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마우스로 클릭하면 소리가 난다. 거리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주가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빈 스포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mpty Dropper, 한=빈 스포이드, 사진=Terraria/EmptyDropper.png, 과정=ⓗ, 스택=999, v=1.3.0.1, ID=3186,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사,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마법의 스포이드|마법의 스포이드]]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빈 총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mpty Bullet, 한=빈 총알, 사진=Terraria/EmptyBullet.png, 과정=ⓗ, 스택=999, v=1.2, ID=1432,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총포상,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다른 NPC들에게 구매할 수 있는 전용 재료와 함께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조합하여 각각 특성이 다른 6가지의 총알을 만들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톱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g, 한=톱니, 과정=ⓗ, 스택=999, v=1.2, ID=1344, 희소=white, 유형=재료\, 블록)][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7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톱니 벽면,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24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크 플랫폼,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2) @ 손}}}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톱니|블록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나나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Nanites, 한=나나이트, 과정=ⓗ, 스택=99, v=1.2, ID=1346,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빈 총알|빈 총알]]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나노 총알|나노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나나이트의 플라스크|나나이트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나나이트(Nanite)는 [[나노머신]]을 뜻하는 은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폭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xplosive Powder, 한=폭약, 과정=ⓗ, 스택=99, v=1.2, ID=1347,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폭파 전문가, 문서=NPC, h=24px)] (1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빈 총알|빈 총알]]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폭발성 총알|폭발성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다른 용도는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금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 Dust, 한=금가루, 사진=Terraria/GoldDust.png, 과정=ⓗ, 스택=99, v=1.2, ID=134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17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빈 총알|빈 총알]]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금빛 총알|금빛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금의 플라스크|금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맹독의 물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al of Venom, 한=맹독의 물약, 과정=ⓗ, 스택=99, v=1.2, ID=133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주술사, 사진=WitchDocto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 처치 후)}}}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나무 화살|나무 화살]]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맹독 화살|맹독 화살]]을, [[#빈 총알|빈 총알]]과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맹독 총알|맹독 총알]]을 만들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맹독의 플라스크|맹독의 플라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 날개 제작 재료 === 장신구 종류 중 하나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날개|날개]]를 만들기 위한 재료이며, 일반적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미스릴/오리칼쿰 모루|미스릴/오리칼쿰 모루]]에서 [[#비행의 영혼|비행의 영혼]] 20개와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날개|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대한 하피의 깃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iant Harpy Feather, 한=거대한 하피의 깃털, 스택=99, v=1.2, ID=1516,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하피, 문서=몬스터, h=24px)] (0.67%)}}}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하피의 날개|하피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하드모드 이전에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날개 제작 재료라서 하드모드 이전에 얻었을 경우 대부분 첫 날개로 하피의 날개를 택하게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얼음 깃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ce Feather, 한=얼음 깃털, 사진=Terraria/얼음 깃털.png, 과정=ⓗ, 스택=99, v=1.2, ID=1519,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얼음 골렘, 문서=이벤트, h=24px)] (33.3%)}}}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얼어붙은 날개|얼어붙은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염 깃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re Feather, 한=화염 깃털, 과정=ⓗ, 스택=99, v=1.2, ID=1518,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붉은 악마, 문서=몬스터, h=24px)] (2%)}}}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화염의 날개|화염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뼈 깃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ne Feather, 한=뼈 깃털, 과정=ⓗ, 스택=99, v=1.2, ID=1517,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 무장 해골, 문서=몬스터/던전, 확장자=gif,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파란 무장 해골, 문서=몬스터/던전, 확장자=gif,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녹슨 무장 해골, 문서=몬스터/던전, 확장자=gif, h=24px)] (0.33%)}}}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뼈 날개|뼈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망가진 벌의 날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attered Bee Wing, 한=망가진 벌의 날개, 과정=ⓗ, 스택=99, v=1.2, ID=1521,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이끼 말벌, 문서=몬스터, h=24px)] (1%)[br]([[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중 하나를 격파 이후)}}}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벌의 날개|벌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나비의 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tterfly Dust, 한=나비의 가루, 과정=ⓗ, 스택=99, v=1.2, ID=1611,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나방, 문서=몬스터, h=24px)] (50%)[br]([[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중 하나를 격파 이후)}}}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나비의 날개|나비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찢어진 박쥐의 날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roken Bat Wing, 한=찢어진 박쥐의 날개, 과정=ⓗ, 스택=99, v=1.2, ID=1520,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흡혈귀, 사진=Vampire.png, 문서=이벤트, h=24px)] (2.5%)}}}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박쥐의 날개|박쥐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으스스한 잔가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ooky Twig, 한=으스스한 잔가지, 사진=Terraria/SpookyTwig.png, 과정=ⓗ, 스택=99, v=1.2.1, ID=1831,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MourningWood(R).png, 이름=탄식하는 나무, 문서=이벤트)] (2-20% / {{{#E80 5-20%}}})}}}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으스스한 날개|으스스한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흑요정의 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ack Fairy Dust, 한=흑요정의 가루, 사진=Terraria/BlackFairyDust.png, 과정=ⓗ, 스택=99, v=1.2.1, ID=1811, 희소=pink,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펌킹,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1.56-12.5% / {{{#E80 6.25-12.5%}}})}}}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망가진 요정의 날개|망가진 요정의 날개]]를 제작할 수 있다. === 염료 제작 재료[anchor(염료 제작 재료)][anchor(염료 제작 식물)] === 장비 아이템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염료|염료]]를 만들기 위한 재료이다. 염료장에서 각 색깔에 맞는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채집해 얻는 재료라면 다시 설치할 수도 있다. 각 염료 제작 재료로 염료를 두 개씩 만들 수 있으며, 염료 제작 재료와 염료 제작 재료로 만들어진 염료의 가격은 색상과 관계없이 개당 은화 20닢이다. 염료 제작 재료 하나당 은화 40닢인 셈인데 이는 염료 제작 재료들의 희귀도에 비하면 상당한 금액이므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에 별 관심없더라도 염료 제작 재료는 보이는대로 채취해서 염료로 만들어 행복도가 높은 [[테라리아/NPC|NPC]]에게 파는 게 좋다. 특히 노란색 홍황초와 파란색 열매는 극초반부터 숲에서 자주 볼 수 있기 때문에 초반 돈벌이에 큰 도움이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빨간색 겉껍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Husk, 한=빨간색 겉껍질, 스택=99, v=1.2, ID=1115,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코치닐 딱정벌레, 문서=몬스터, h=16px)] (100%)}}} 드랍 몬스터인 [[테라리아/몬스터#코치닐 딱정벌레|코치닐 딱정벌레]]는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에서 가끔 출현한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빨간색 염료|빨간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주황색 혈근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range Bloodroot, 한=주황색 혈근초, 스택=99, v=1.2, ID=1114,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주황색 혈근초(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흙 천장에 위의 사진처럼 붙어있는 식물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주황색 염료|주황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노란색 홍황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Yellow Marigold, 한=노란색 홍황초, 스택=99, v=1.2, ID=1110,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숲|숲]]}}}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노란색 홍황초(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지형#숲|숲]]이나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꽃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노란색 염료|노란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원래는 조금 쭈글쭈글한 편이었는데 1.4에서 스프라이트가 리뉴얼되면서 동글동글해졌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라임색 해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me Kelp, 한=라임색 해초, 스택=99, v=1.2, ID=1112,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의 액체 속}}}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라임색 해초(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의 액체 속[* 일반적으로 수중에서 발견된다.]에서 위의 사진처럼 자라나는 해초를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주로 [[테라리아/지형#설원 지하|설원 지하]]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일반 지하에서는 희귀하게 발견된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라임색 염료|라임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초록색 버섯)][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een Mushroom, 한=초록색 버섯, 스택=99, v=1.2, ID=1108,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초록색 버섯(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버섯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초록색 염료|초록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암록색 버섯)][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al Mushroom, 한=암록색 버섯, 스택=99, v=1.2, ID=1107,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암록색 버섯(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버섯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암록색 염료|암록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청록색 겉껍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yan Husk, 한=청록색 겉껍질, 스택=99, v=1.2, ID=1116,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청록색 딱정벌레, 문서=몬스터, h=16px)] (100%)}}} 드랍하는 몬스터인 [[테라리아/몬스터#청록색 딱정벌레|청록색 딱정벌레]]는 [[테라리아/지형#설원 지하|설원 지하]]에서 가끔 출현한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청록색 염료|청록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늘색 꽃)][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ky Blue Flower, 한=하늘색 꽃, 스택=99, v=1.2, ID=1109,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하늘색 꽃(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이나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에서 위의 사진처럼 생긴 꽃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하늘색 염료|하늘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 열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Berries, 한=파란색 열매, 스택=99, v=1.2, ID=1111,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아무 잔디 블록}}}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파란색 열매(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위의 사진처럼 생긴 식물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파란색 염료|파란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자주색 점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urple Mucus, 한=자주색 점액, 스택=99, v=1.2, ID=1118,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소라, 문서=몬스터, h=16px)] (100%)}}} 드랍하는 몬스터인 [[테라리아/몬스터#소라|소라]]는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에서 가끔 출현한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자주색 염료|자주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라색 겉껍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olet Husk, 한=보라색 겉껍질, 스택=99, v=1.2, ID=1117,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락 딱정벌레, 문서=몬스터, h=16px)] (100%)}}} 드랍하는 몬스터인 [[테라리아/몬스터#락 딱정벌레|락 딱정벌레]]는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에서 가끔 출현한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라색 염료|보라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색 백년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Prickly Pear, 한=분홍색 백년초, 스택=99, v=1.2, ID=1113,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선인장|선인장]]의 윗부분}}} ||<^|1>[include(틀:t인포박스/펫, 한=설치 모습, 사진=분홍색 백년초(Placed).png, 버프=아기 참새(버프).png, h2=0px)]||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선인장|선인장]]의 윗부분에서 위의 사진처럼 자라나는 식물을 곡괭이로 채집하면 획득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분홍색 염료|분홍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검은색 잉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ack Ink, 한=검은색 잉크, 스택=99, v=1.2, ID=1119,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오징어, 문서=몬스터, h=24px)] (100%)}}} 말 그대로 [[먹물]]. 드랍하는 몬스터인 [[테라리아/몬스터#오징어|오징어]]는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에서 가끔 출현한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검은색 염료|검은색 염료]]를 제작할 수 있다. === 포션 제작 재료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버섯)][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ushroom, 한=버섯, 사진=Terraria/버섯.png, 스택=99, v=1.0, ID=5, 희소=white, 유형=재료\, 소비)][include(틀:t채집)] 지상의 잔디, 신성지대 잔디}}}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버섯|포션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리병)][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ttle, 한=유리병, 사진=Terraria/유리병.png, 스택=999, v=1.0, ID=31, 희소=whit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리,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용광로,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25%) (10-20)}}}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회복 포션|회복 포션]]의 기본 재료.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가구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물병)][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ttled Water, 한=물병, 스택=999, v=1.0.5, ID=126, 희소=white, 유형=재료\, 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리병, 사진=유리병.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사진=Water.png, 이름=물,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24px)] / [include(틀:t캡션, 사진=MetalSink.png, 이름=개수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테라리아/아이템/소비#버프 포션|버프 포션]]의 기본 재료.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물병|포션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시멜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rshmallow, 한=마시멜로, 스택=30, v=1.2, ID=967, 희소=white, 유형=재료\, 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에 거주 시)}}} [[#마시멜로 꼬챙이|마시멜로 꼬챙이]]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며,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1.4]] 패치로 생으로 먹을 수도 있게 되었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마시멜로|포션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시멜로 꼬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rshmallow on a Stick, 한=마시멜로 꼬챙이, 스택=1, v=1.2, ID=96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마시멜로, 문서=아이템/재료, h=1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손}}}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모닥불|모닥불]]에 왼쪽 마우스로 올려놓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구워진 마시멜로|구워진 마시멜로]]를 획득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주)][anchor(하얀 진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hite Pearl, 한=하얀 진주, 사진=Terraria/WhitePearl.png, 스택=999, v=1.4.0.1, ID=4412,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굴, 사진=Oyster.png, 문서=아이템/소비, h=16px)] (12.44%)}}}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검은 진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ack Pearl, 한=검은 진주, 사진=Terraria/BlackPearl.png, 스택=999, v=1.4.0.1, ID=4413,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굴, 사진=Oyster.png, 문서=아이템/소비, h=16px)] (6.22%)}}}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 진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Pearl, 한=분홍 진주, 사진=Terraria/PinkPearl.png, 스택=999, v=1.4.0.1, ID=4414,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굴, 사진=Oyster.png, 문서=아이템/소비, h=16px)] (1.33%)}}}|| 1.4.3.3 이전에는 15.36%, 3.84%, 0.8%의 확률로 드랍되었으나 이후 하얀 진주의 확률은 내려갔으나 검은 진주, 분홍 진주 확률이 상승했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행운 포션|행운 포션]]들의 재료가 된다. 분홍 진주의 경우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에 담그면 캐릭터당 1회에 한해 행운을 '''영구적'''으로 0.03 증가시켜주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은하수 진주|은하수 진주]]가 된다. ==== 허브 ==== [[허브(식물)|허브]]는 다양한 효과를 가진 [[테라리아/아이템/소비#버프 포션|버프 포션]]을 만들기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세계 전역에 걸쳐서 발견되며 모든 [[테라리아/아이템/무기|무기]] 및 [[테라리아/아이템/도구|도구]]로 휘두르면 쉽게 채취할 수 있다.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할 경우 최종적으로 개화를 하며 이때 채취할 경우 1~3개의 허브 씨앗을 떨어뜨리며 이 씨앗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패치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허브 꾸러미|허브 꾸러미]]가 새로 추가되어 힘들게 허브를 찾아다니는 일은 많이 줄었다. 테라리아에서는 총 7개의 허브가 있다. 허브를 키울 때 몇 가지의 주의사항이 있다. * 되도록이면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토분|토분]], 혹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화분 상자|화분 상자]] 위에 재배할 것. 토분이 아닌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토양|토양]] 위에서 재배할 경우 도구를 포함한 모든 무기를 휘둘러서 수확하려 하면 그 무기의 범위만큼 허브를 모두 제거해버린다. 발사체가 있는 무기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토양 위에서 재배할 경우 무기, 도구를 휘두르지 말고 개화한 허브에 그냥 씨앗을 얹혀놓아야 한다. 예외로, [[테라리아/아이템/도구#재성장의 스태프|재성장의 스태프]]는 휘둘러도 허브를 캐내지 않으며 또한 허브 채집 효과를 가졌으므로 토양 위에 허브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재성장의 스태프를 들고 오는 것이 좋다. 토분에 재배할 경우 허공에 휘둘러도 캐지지가 않게 되며, 또한 토양의 조건도 모두 무시하게 되므로 얻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찰흙 블록|찰흙 블록]]이 많다면 토분을 만들어 재배하는 것이 좋다. 토분에 있는 허브는 오로지 [[테라리아/아이템/도구#곡괭이|곡괭이]]로 직접 클릭해야 수확할 수 있다. 만일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에서 얻는 재성장의 스태프가 있다면 곡괭이로 채취할 필요는 없다. 토분으로부터 완전히 꽃이 핀 허브만을 안전하게 채취할 수 있는 이 장비는 허브 농사에 있어서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으니 쓸모없어 보인다고 버리거나 팔지 말자. PC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이후 [[테라리아/NPC#드라이어드|드라이어드]]가 해당 허브를 심을 수 있는 화분 상자를 개별로 판매한다. 용도는 토분과 동일하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플랫폼|플랫폼]]과 토분의 역할을 함께 한다. * 씨앗을 마구 심지 말 것. 씨앗 위에 또 씨앗을 심게 되면 아까 씨앗은 파괴되고 새로운 씨앗이 심어지게 된다. 이는 즉 허브 하나를 날려먹는 셈이 된다. 그러므로 칸을 잘 보고 심어져있는지 확인하고 심어야 한다. 대신 토분을 사용한다면 이 부분은 무시해도 된다. * 지면에서 재배할 경우, 하늘을 가려둘 것. [[테라리아/시스템#밤|밤]] 중에는 하늘에서 [[#별똥별|별똥별]]이 생성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데, 이 별똥별에는 타격 판정이 있기 때문에 만에하나 간밤에 별똥별이 허브를 심어둔 곳에 내려칠 경우 허브가 강제로 꺾여질 수 있다.[* 게임상에서도 월드를 마구 돌아다니다보면 플레이어가 건드린 적없는데도 이미 채취되어있는 허브나 버섯을 볼 수 있는데, 간밤에 그 자리로 별똥별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개화한 허브였어도 아깝지만 덜 자란 허브가 별똥별에 꺾여버리면 날벼락이나 다름없다. 물론 토분이나 화분 상자에서 재배할 생각이라면 타격 판정에 의해 수확되지 않으므로 아무데서나 재배해도 괜찮다. * 개화 조건을 숙지할 것. [[#반짝이꽃|반짝이꽃]] 외에는 개화 조건이 있다. 이 조건을 잘 만족해야만 허브가 개화를 하여 수확 시 씨앗도 함께 얻을 수 있다. 개화 조건은 아래 목록 참고. || '''허브''' || '''자라는 장소''' || '''재배 가능 블록''' || '''개화 조건''' || ||[[파일:Terraria/Blinkroot.png]] [[#반짝이꽃|반짝이꽃]]||[[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흙|흙]],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흙|진흙]]||반짝일 때|| ||[[파일:Terraria/해맞이꽃.png]] [[#해맞이꽃|해맞이꽃]]||지상||[[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잔디 잔디|잔디]],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신성한 잔디|신성한 잔디]]||아침에|| ||[[파일:Terraria/사망초.png]] [[#사망초|사망초]]||[[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br][[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칠흑석|칠흑석]],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오염된 잔디|오염된 잔디]][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심홍석|심홍석]],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홍색 잔디|진홍색 잔디]]||[[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나 [[테라리아/시스템#달의 위상|보름달]]인 [[테라리아/시스템#밤|밤]]일 때|| ||[[파일:Terraria/화염초.png]] [[#화염초|화염초]]||[[테라리아/지형#지옥|지옥]]||[[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재|재]]||해질녘일 때|| ||[[파일:Terraria/달맞이꽃.png]] [[#달맞이꽃|달맞이꽃]]||[[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정글 잔디|정글 잔디]]||[[테라리아/시스템#밤|밤]]에|| ||[[파일:Terraria/물방울잎.png]] [[#물방울잎|물방울잎]]||[[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모래|모래]]||[[테라리아/이벤트#비|비]]가 올 때|| ||[[파일:Terraria/서리가시꽃.png]] [[#서리가시꽃|서리가시꽃]]||[[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 [[테라리아/지형#설원 지하|설원 지하]]||[[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눈|눈]],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얼음|얼음]]||긴 성장 시간|| {{{+1 '''목록'''}}}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반짝이꽃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inkroot Seeds, 한=반짝이꽃 씨앗, 사진=Terraria/BlinkrootSeeds.png, 스택=999, v=1.0.5, ID=309,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Blinkroot.png, 이름=반짝이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재성장의 스태프|재성장의 스태프]] 사용 시 더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다.]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반짝이꽃)][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inkroot, 한=반짝이꽃, 사진=Terraria/Blinkroot.png, 스택=999, v=1.0.5, ID=315,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Blinkroot.png, 이름=반짝이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 회색의 줄기에 노란색 꽃을 피운 송이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잔디|잔디]]가 없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흙 블록|흙 블록]] 혹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흙 블록|진흙 블록]]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보통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에서 발견되지만 잔디만 없으면 지상에서도 언제든지 자라난다. 언제든지 개화하며, 이때 노란 작은 꽃이 피어나 매우 약한 빛과 함께 반짝인다. 개화한 반짝이꽃을 수확하면 반짝이꽃 1개와 반짝이꽃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허브 중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가져 많은 수확이 가능하기에 그만큼 대량 재배가 가능하다. 인내의 포션, 발놀림의 포션을 제작할때 사용되어 재배할 가치가 있다.그리고 해적의 설명을 보면 이 세계관의 술 재료로 쓰이는듯 하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해맞이꽃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aybloom Seeds, 한=해맞이꽃 씨앗, 사진=Terraria/DaybloomSeeds.png, 스택=999, v=1.0.5, ID=307,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해맞이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해맞이꽃)][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aybloom, 한=해맞이꽃, 스택=999, v=1.0.5, ID=315,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해맞이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화난 민들레, 사진=AngryDandelion.png, 문서=이벤트, h=24px)] (50%) (1-2)}}} || 곧게 솟은 줄기를 가진 작은 노란 꽃으로 나타나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흙 블록|흙 블록]]에 심어진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잔디|잔디]]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테라리아/시스템#낮|낮]]일 경우 개화하며, 이때 노란 꽃이 피어난다. 개화한 해맞이꽃을 수확하면 해맞이꽃 1개와 해맞이꽃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아침에만 성장을 하는 허브이므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유리|유리]]로 농장을 만들어주면 진짜 빛을 받아 피는 것처럼 보인다.[* 허브가 개화하는 조건에는 햇빛 혹은 달빛을 받는 것은 없으며 높이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철피부 포션, 재생 포션에 쓰여서 재배 가치가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망초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athweed Seeds, 한=사망초 씨앗, 사진=Terraria/DeathweedSeeds.png, 스택=999, v=1.0.5, ID=310,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사망초,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망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athweed, 한=사망초, 스택=999, v=1.0.5, ID=316,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사망초,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 병약해보이는 보라색 줄기에 짧은 두 줄기로 나뉘어진 작은 식물의 모습으로 모습으로 나타나며,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와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붉은색의 사망초 외형이 없기 때문에 붉은색 계통의 진홍지대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 어색한 면이 있다.[[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일 경우 개화하며, 이때 죽은 듯한 보라색 꽃이 피어난다. 개화한 사망초를 수확하면 사망초 1개와 사망초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블러드 문이 올라올 때에만 수확할 수가 있어서 운이 안 좋으면 수확조차도 할 수 없었으나,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패치 이후로는 조건에 '[[테라리아/시스템#달의 위상|보름달]]이 떠오를 때'가 추가되어 이제 주기적인 재배가 가능해졌다. 보름달이 뜨는 날에는 [[테라리아/NPC#동물학자|동물학자]]가 완전한 수인으로 변하므로 달의 위상이 잘 파악이 안 된다면 동물학자를 보고 판단하면 된다. 낚시로 크레이트를 많이 낚을거라면 크레이트 포션 제작에 들어가니 키우는게 좋고, 아니더라도 파밍에 필수적인 배틀 포션, 딜 보조 포션인 격노, 분노 포션을 만드는데 쓰여 좋다.더욱이 소서러라면 필수 포션인 마법 강화 포션에 들어가 반드시 키워야한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염초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reblossom Seeds, 한=화염초 씨앗, 사진=Terraria/FireblossomSeeds.png, 스택=999, v=1.0.5, ID=312,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화염초,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염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reblossom, 한=화염초, 스택=999, v=1.0.5, ID=31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화염초,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 크기가 작고 용암의 색상의 꽃으로 나타나며, [[테라리아/지형#지옥|지옥]]의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재 블록|재 블록]]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해가 떠 있는 오후 3:45~7:30에 개화하며, 이때 붉은 꽃이 피어난다. 개화한 화염초를 수확하면 화염초 1개와 화염초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이전에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에 잠길 경우 개화하는 것이기에 이전의 [[#물방울잎|물방울잎]]처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토분|토분]]을 포함해서) 용암을 채워넣어주면 성장하자마자 개화하였기에 재배는 쉬웠지만 용암을 다루는 만큼 그것을 갖추는 과정이 까다로웠다. 실제로 용암에 잘못 빠져 엄청난 피해와 화상을 입거나 용암 밑바닥을 잘못 건드려서 집 내부의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플랫폼|플랫폼]]과 가구를 태워먹는 일이 허다했다. 다른 허브에 비해 실용성은 적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달맞이꽃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oonglow Seeds, 한=달맞이꽃 씨앗, 사진=Terraria/MoonglowSeeds.png, 스택=999, v=1.0.5, ID=308,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달맞이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달맞이꽃)][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oonglow, 한=달맞이꽃, 스택=999, v=1.0.5, ID=31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달맞이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 늘어져 구부러진 줄기에 끝에 하늘색의 꽃이 나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의 정글 잔디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테라리아/시스템#밤|밤]]일 경우 개화하며, 이때 은은한 빛을 내는 하늘색 꽃망울이 피어난다. 개화한 달맞이꽃을 수확하면 달맞이꽃 1개와 달맞이꽃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해맞이꽃|해맞이꽃]]와는 반대의 특성을 지닌 허브이다. 성장 속도가 해맞이꽃보다 약간 느리다. 반드시 키우는게 좋다. 자연 파밍을 하겠다면 정글 지하에서 많이 자라나는데다 옅은 빛까지 내기때문에 지상보다 훨씬 파밍이 빠르다. 거의 대부분의 유용한 포션에 들어가기 때문.대표적으로 동굴 탐험가의 포션,마법 강화 포션,마나 재생 포션 등이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물방울잎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aterleaf Seeds, 한=물방울잎 씨앗, 스택=999, v=1.0.5, ID=311,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물방울잎,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물방울잎)][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aterleaf, 한=물방울잎, 스택=999, v=1.0.5, ID=317,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물방울잎,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 아주 작고 아쿠아 색상의 새싹과 같이 나타나며, 지배됨에 관계 없이 모든 모래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테라리아/이벤트#비|비]]가 올 때 개화하며, 이때 아쿠아색의 새싹이 피어난다. 개화한 물방울잎를 수확하면 물방울잎 1개와 물방울잎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이전에는 물에 잠길 경우 개화하는 것이기에 물을 가득 채워넣어주면 성장하자마자 개화하였기에 재배는 쉬웠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3|1.2.3]] 이후 조건이 '비가 내릴 때'로 바뀌었기에 특정 시간 동안 개화하게 바뀐 [[#화염초|화염초]]와 반대로 비가 한동안 안 오면 재배하지 못하게 되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서리가시꽃 씨앗)][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iverthorn Seeds, 한=서리가시꽃 씨앗, 사진=Terraria/ShiverthornSeeds.png, 스택=999, v=1.2.4, ID=2357, 희소=White, 유형=씨앗)][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서리가시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1-3)[*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서리가시꽃)][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iverthorn, 한=서리가시꽃, 스택=999, v=1.2.4, ID=235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이름=서리가시꽃, 문서=아이템/재료, h=16px)] (개화 단계일 때)[br][*참고]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허브 꾸러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21.698%) (2-40)}}} || 전체적으로 파란 모습에 하얀 가지와 같이 나타나며,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의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눈 블록|눈 블록]]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4|1.2.4]] 버전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패치 초창기에는 [[테라리아/이벤트#눈보라|눈보라]]가 불거나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 안에서만 개화한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개화하기 위해선 단지 가장 긴 시간이 필요할 뿐. 다른 허브들은 2단계 성장 시 성장 조건을 맞춰주면 개화하지만 서리가시꽃은 [[#반짝이꽃|반짝이꽃]]처럼 시간이 곧 개화 조건이므로 3단계 개화까지의 시간이 가장 길다. 하지만 씨앗에서 성장하는 시간은 [[#반짝이꽃|반짝이꽃]]만큼 빠르지 않으나 그렇게 느리지는 않으므로 참을성이 없다면 토분이 아닌 토양 위에 심은 뒤 [[테라리아/아이템/도구#재성장의 스태프|재성장의 스태프]]를 사용하면 된다. 토양에 심는 만큼 무기나 그에 발생되는 개체가 닿지 않도록 특별 격리를 해 두는 것도 좋다. 개화한 서리가시꽃을 수확하면 허브 1개와 씨앗 1~3개를 떨어뜨린다.위험 감지 포션에 들어가니 키워주면 꽤나 도움되고 그 외에도 은근 쓰인다. ==== 물고기 ==== [[테라리아/아이템/도구#낚싯대|낚싯대]]로 낚시하여 얻을 수 있는 아이템들. 지형별로 낚이는 물고기 종류가 달라진다. ===== 일반[anchor(일반 물고기)] ===== 가치가 크진 않은 일반 물고기들. 낚시할 때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많이 낚인다. 요리 외의 용도는 없다. 몇몇 생선들은 요리 외에는 다른 용도가 없으면서도 생선 자체의 판매가가 해당 생선으로 만들 수 있는 요리보다 더 비싼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돈이 목적이라면 요리하지 않고 그냥 파는 게 나을 수도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농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ass, 한=농어, 스택=999, v=1.2.4, ID=229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를 제외한 모든 지형}}} 가장 많이 낚이는 생선.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익힌 생선|익힌 생선]]으로 만들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대서양 대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tlantic Cod, 한=대서양 대구, 스택=999, v=1.2.4, ID=229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익힌 생선|익힌 생선]]으로 만들 수 있다. 판매가가 은화 7닢 반으로 익힌 생선(은화 5닢)보다 더 비싸니 돈이 목적이라면 요리하지 말고 그냥 파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송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out, 한=송어, 스택=999, v=1.2.4, ID=2297,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익힌 생선|익힌 생선]]으로 만들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연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almon, 한=연어, 스택=999, v=1.2.4, ID=2298,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숲|숲]][br](1000타일 크기 이상의 물에서만)}}}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회|회]]로 만들 수 있다. 아이템 색깔은 파란색이지만 용도는 여타 다른 일반 물고기와 동일. 대서양 대구와 같이 자체 판매가가 연어로 만들 수 있는 요리보다 비싸니 돈이 목적이라면 요리하지 말고 파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참다랑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una, 한=참다랑어, 스택=999, v=1.2.4, ID=230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회|회]]로 만들 수 있다. 자체 판매가가 만들 수 있는 요리보다 비싸니 돈이 목적이라면 요리하지 말고 파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붉돔)][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Snapper, 한=붉돔, 스택=999, v=1.2.4, ID=230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회|회]]로 만들 수 있다. 자체 판매가가 만들 수 있는 요리보다 비싸니 돈이 목적이라면 요리하지 말고 파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가자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lounder, 한=가자미, 스택=999, v=1.4.0.1, ID=440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작업대|작업대]]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회|회]]로 만들 수 있다. 그 외에는 용도가 없고, 판매가가 은화 한 닢 반으로 생선 중에서도 가장 낮은 편이니 낚는 족족 회(은화 5닢)를 떠주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새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rimp, 한=새우, 스택=999, v=1.2.4, ID=2316,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익힌 새우|익힌 새우]]으로 만들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바위 바닷가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ock Lobster, 한=바위 바닷가재, 스택=999, v=1.4.0.1, ID=4402,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바닷가재 꼬리|바닷가재 꼬리]]으로 만들 수 있다. 바닷가재 꼬리(은화 20닢)는 바위 바닷가재(은화 10닢)보다 2배 가량 비싸니 낚는 족족 요리해주는 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네온 테트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Neon Tetra, 한=네온 테트라, 스택=999, v=1.2.4, ID=2302,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 전역}}}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1.2]] 버전에 처음 추가되었을 때는 별 용도 없는 판매용 물고기였는데, 판매가가 그리 비싸지도 않았고[* 은화 15닢, 요리용으로만 쓰이는 잡어들과 비교하면 물론 비싸긴 하지만 다른 포션용 생선들과 비교하면 특출난 가격도 아니다.] 아이템에 커서를 올려놓으면 달랑 이름만 떴다보니 사람들이 '까먹고 용도를 추가 안했을 것이다'라면서 쌓아놓는 경우가 제법 있었다. 그러자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업데이트로 이건 팔아서 돈 버는 물고기라는 뉘앙스의 툴팁을 추가했다. 이후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1.4]] 업데이트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해산물 정식|해산물 정식]]의 재료가 되었다. ===== 포션용[anchor(포션용 물고기)] ===== 이 항목에 있는 모든 물고기들은 포션의 재료로 쓰이거나 같은 물고기 2마리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절묘하게 채워짐|절묘하게 채워짐]] 버프를 주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해산물 정식|해산물 정식]]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스팅크피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inkfish, 한=스팅크피시, 스택=999, v=1.2.4, ID=2321,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을 제외한[br][[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고약함의 포션|고약함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고약함의 포션이 실질적인 효과는 없는 장난용 포션인데 비해 스팅크피시는 판매가 은화 25닢으로 포션용 생선 중에서도 상당한 고가이니 고약함의 포션이 필요없다면 파는 것도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장 동굴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rmored Cavefish, 한=무장 동굴어, 스택=999, v=1.2.4, ID=2303,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을 제외한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인내력 포션|인내력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반사성 물고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cular Fish, 한=반사성 물고기, 스택=999, v=1.2.4, ID=2309,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을 제외한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귀환 포션|귀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업데이트 이후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웜홀 포션|웜홀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칠흑잉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bonkoi, 한=칠흑잉어, 스택=999, v=1.2.4, ID=2318,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전역}}}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격노 포션|격노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핏빛피라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emopiranha, 한=핏빛피라냐, 스택=999, v=1.2.4, ID=2319,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전역}}}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분노 포션|분노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홍색 타이거피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imson Tigerfish, 한=진홍색 타이거피시, 스택=999, v=1.2.4, ID=2305,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전역}}} [[테라리아/아이템/소비#하트범위 포션|하트범위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공주 물고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incess Fish, 한=공주 물고기, 스택=999, 과정=ⓗ, v=1.2.4, ID=2307, 희소=green,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전역}}}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사랑의 포션|사랑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프리즈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ismite, 한=프리즈마이트, 스택=999, 과정=ⓗ, v=1.2.4, ID=2310, 희소=orang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전역}}}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생명력 포션|생명력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혼돈 물고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haos Fish, 한=혼돈 물고기, 스택=999, 과정=ⓗ, v=1.2.4, ID=2317, 희소=lightcoral,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 지하|신성지대 지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순간이동 포션|순간이동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서리 피라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rost Minnow, 한=서리 피라미, 스택=999, v=1.2.4, ID=2306,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 전역}}}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따뜻함의 포션|따뜻함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쌍 대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ouble Cod, 한=쌍 대구, 스택=999, v=1.2.4, ID=2313,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 지상,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 하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탄약 반환 포션|탄약 반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꽃동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ariegated Lardfish, 한=꽃동멸, 스택=999, v=1.2.4, ID=2311,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소환 포션|소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자리돔)][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amselfish, 한=자리돔, 스택=999, v=1.2.4, ID=2304, 희소=blue,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br][[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을 제외한 [[테라리아/지형#우주|우주]]}}} 건축물 대신 호수가 고여있는 유형의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을 세계에서 적어도 1개를 발견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낚시하면 된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침착함의 포션|침착함의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염지느러미 잉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larefin Koi, 한=화염지느러미 잉어, 스택=999, v=1.2.4, ID=2312, 희소=green,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 [[#흑요어|흑요어]]와 함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화염고리 포션|화염고리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용암 낚시를 해보면 심심찮게 낚이는 편인데도 '''은화 50닢'''이라는 상당한 가격을 자랑하니 딱히 쓸 데가 없다면 파는 것도 추천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흑요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bsidifish, 한=흑요어, 스택=999, v=1.2.4, ID=2315, 희소=green, 유형=재료)][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 [[#화염지느러미 잉어|화염지느러미 잉어]]와 함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화염고리 포션|화염고리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왕래 포션|왕래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 기타[anchor(기타 물고기)] ===== 여기 목록에도 없는 물고기는 [[테라리아/NPC#낚시꾼|퀘스트 전용 물고기]]이거나 [[테라리아/아이템/도구|도구]]나 [[테라리아/아이템/무기|무기]]로 사용되는 희귀한 물고기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황금 잉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en Carp, 한=황금 잉어, 스택=999, v=1.2.4, ID=2308, 희소=lightcoral, 유형=아이템)][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 [[테라리아/지형#사막|사막]]을 [br]제외한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 > '''꽤 반짝거린다. 비싸게 팔릴것 같아.''' 이걸 [[테라리아/NPC|NPC]]에게 판매하면 금화 10닢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용도는 없다. 본래 툴팁이 없었다가 1.3패치로 대놓고 팔면 좋을것 같다는 툴팁이 추가되었다. 그나마 이쪽은 위의 네온테트라와는 달리 굉장히 희귀한 데다가, 금화 10닢이라는 높은 판매가 때문에 툴팁이 없던 시절에도 유저들 대부분이 판매용 물고기임을 알아챘다. 황금 생물처럼 보이나, 여타 다른 황금 생물체와는 다른 판정이라 금빛 진미로 만들어 먹을수는 없다. 테라리움에 보관하는 것도 불가능. === 기타 재료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미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bweb, 한=거미줄, 스택=999, v=1.0, ID=150, 희소=white, 유형=재료\, 블록)][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거미굴|거미굴]] (25%)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거미 벽면,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24px)] (4)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 엑토 미스트}}} 동굴에 붙어있는 거미줄. 가까이 가면 속도가 느려진다. 잠시 후 부서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안 된다. 보통은 수직 통로에서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쓰거나, 멀티플레이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 함정 등으로 플레이어 빠트릴 때 다가오는 죽음을 천천히 맛보게 하기 위해 쓴다. 아무 무기나 도구로 때려서 채집이 가능하며 거미줄 7개로 [[#비단|비단]] 1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네크로 갑옷 세트와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위기감지 포션|위기감지 포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동굴에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테라리아/지형#거미 굴|거미 굴]]에 느린 속도로 생겨나기에 거미 굴에서 폭발성 무기를 비롯한 범위가 넓은 무기를 동원한다면 수백 개 단위로 구할 수가 있다. 그러나 거미 굴의 벽면에 있는 거미줄은 아이템으로 얻을 확률이 1/3에 불과하므로 셋 중 둘은 거미줄을 드롭하지 않는다. 이는 직접 배치한 거미줄에도 적용된다. 그럼에도 동굴을 돌아다니다 보면 수백개씩 쌓여있어 인벤토리를 많이 먹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ilk, 한=비단, 스택=999, v=1.0, ID=225,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거미줄, 문서=아이템/재료, h=24px)] (7) @ [include(틀:t캡션, 이름=베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침대|침대]],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소파|소파]], 각종 치장용 의류에 사용되는 제작 재료. 재료를 쉽게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초반에 많이 만들어서 돈 벌기도 좋고, 하드모드에선 [[테라리아/이벤트#프로스트 문|프로스트 문]] 이벤트 발생 아이템인 [[테라리아/이벤트#장난스러운 선물|장난스러운 선물]]의 재료로도 들어가므로 이걸 얻기 위해서 [[테라리아/지형#거미 굴|거미 굴]]에 자주 들락거리게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eather, 한=가죽, 스택=99, v=1.0.4, ID=259,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썩은 덩어리, 문서=아이템/재료,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썩은 덩어리|썩은 덩어리]]의 대체 아이템인 [[#척추뼈|척추뼈]]로는 제작할 수 없다. 치장용 의류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고고학자 세트|고고학자 세트]]의 재킷/바지 제작에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별똥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allen Star, 한=별똥별, 스택=999, v=1.0, ID=75, 희소=blue, 유형=재료\, 탄약)][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시스템#밤|밤]]}}} 떨어질 때 마치 레이저라도 쏘는듯한 '삐융 삐융 삐융'하는 소리가 들리며, 발광체라 찾기는 쉽다. 맵의 맨 위쪽의 [[테라리아/지형#우주|우주]]에서 스폰되고 나서 지상으로 빠르게 떨어지는데, 만약 몬스터에게 명중할 경우 1,000이라는 무지막지한 피해량을 입힌다.[* 플레이어는 떨어지는 별똥별에 닿아도 아무 대미지도 없다. 다만 지옥에서부터 시작해 지상은 완전히 타락해있는 컨셉의 [[테라리아/세계/시드#Remix Seed|Remix Seed]] 월드에서는 떨어지는 별똥별에 맞아죽을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s28LnA1tos&feature=youtu.be&t=2m|별똥별로 크툴루의 눈을 잡는 동영상.]] 낮이 되면 필드에 떨어져있던 별똥별은 반짝이를 뿌리는 이팩트와 함께 증발한다.[* 이는 플레이어가 직접 떨군 경우라도 동일하다. 낮에 별똥별을 꺼내서 던져보면 던지는 순간 반짝이로 변해서 사라진다.] 기본적으로는 5개를 조합해 마나 한도를 20 올려주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마나 수정|마나 수정]]으로 만드는 데 주로 쓰인다. 멀티에서 처음으로 플레이 시작한 유저에게는 양보하자. 지하에 자연적으로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공급에 한계가 있는 생명 수정과 달리 야외에서 자연 생성되다보니 보이는대로 모으다보면 차고 넘친다. 나무 화살과 합쳐 관통 성능을 가진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광대의 화살|광대의 화살]]을 만들거나, [[테라리아/몬스터#지렁이|지렁이]]와 합쳐 미끼 효율이 더 높은 [[테라리아/몬스터#마법의 큰지렁이|마법의 큰지렁이]]로 만들거나,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유리병]]과 합쳐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병 속의 별|병 속의 별]]을 만들어서 마나 회복하는 데에나 활용하자. 이외에도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유성 대포|유성 대포]]의 재료 또는 탄약으로도,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슈퍼 마나 포션|슈퍼 마나 포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마법 강화 포션|마법 강화 포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마나 재생 포션|마나 재생 포션]] 등의 재료로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나 [[테라리아/이벤트#풍등|풍등]]이 떠 있는 밤엔 별똥별의 스폰 확률 또한 증가한다. 우주에서 생성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생성 방식 때문에 중간에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이 있을 경우 하늘섬에 가로막혀 지상까지 떨어지지 않는데, 이 점을 이용해 특정 위치의 별똥별 드롭 빈도를 보고 하늘섬의 위치를 가늠할 수도 있다. 1.4.4 버전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에 닿으면 도로 반사되어 하늘로 튕겨져 올라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hain, 한=사슬, 스택=999, v=1.0, ID=85, 희소=white, 유형=재료\, 소비)][include(틀:t조합)] 1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철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사슬|가구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불쾌한 버섯)][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le Mushroom, 한=불쾌한 버섯, 사진=Terraria/VileMushroom.png, 스택=99, v=1.0, ID=60,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에서 자라는 버섯의 일종이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설치된 병]]에서 [[테라리아/보스#벌레 먹이|벌레 먹이]]와 독 바른 칼의 재료인 [[테라리아/아이템/도구#불쾌한 가루|불쾌한 가루]]를 만드는 데에만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독한 버섯)][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cious Mushroom, 한=지독한 버섯, 사진=Terraria/ViciousMushroom.png, 스택=99, v=1.3.0.1, ID=2887,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에서 자라는 버섯의 일종이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유리병|설치된 병]]에서 [[테라리아/보스#피투성이 등뼈|피투성이 등뼈]]와 독 바른 칼의 재료인 [[테라리아/아이템/도구#지독한 가루|지독한 가루]]를 만드는 데에만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튼튼한 화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urdy Fossil, 한=튼튼한 화석, 스택=999, v=1.3.0.1, ID=3380, 희소=white, 유형=재료\, 블록)][include(틀:t채집)] [include(틀:t캡션, 사진=Extractinator.png, 이름=추출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0%) (1-7)[br]([[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막 화석|사막 화석]])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실리스크, 문서=몬스터, h=24px)] (33.3%)[br][include(틀:t캡션, 이름=툼 크롤러,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50%) (1-2)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오아시스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신기루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br](50%) (10-16)}}}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모루|모루]]에서 높은 공격력을 가진 투척용 무기류, 투척 계열 갑옷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화석 갑옷|화석 갑옷]] 세트, 마법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호박 스태프|호박 스태프]], 폭발물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풍뎅이 폭탄|풍뎅이 폭탄]]의 제작에 쓰인다. 1.4 이후 구리 곡괭이로도 사막 화석을 채집할 수 있으니 추출기를 빠르게 얻었고 사막지형이 가깝다면 초반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정글 포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Jungle Spores, 한=정글 포자, 스택=99, v=1.0.6, ID=331,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 (2-3)}}} 정글 지하 곳곳에서 노랗게 빛나고 있어서 찾기 쉽다. 아무 무기나 도구로 때려서 채집할 수 있으며, [[테라리아/아이템/장비/갑옷#정글 갑옷|정글 갑옷]] 세트와 각종 정글 무기들의 제작에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녹색 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een Thread, 한=녹색 실, 사진=Terraria/GreenThread.png, 스택=99, v=1.0.4, ID=255,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JungleGrassSeeds.png, 이름=정글 잔디 씨앗,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베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영웅의 옷|영웅의 옷]] 세트 제작에 쓰인다. 영웅의 옷 세트를 모두 만들려면 총 27개의 정글 잔디 씨앗이 필요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라색 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urple Thread, 한=보라색 실, 사진=Terraria/PurpleThread.png, 스택=99, v=, ID=255(한정),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MushroomGrassSeeds.png, 이름=버섯 잔디 씨앗,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3) @ [include(틀:t캡션, 사진=Bottlecraftingstation.png, 이름=유리병,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연금술 탁자,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3DS 버전은 녹색 실을 대체하여 존재한다. 아이템 코드도 255로 동일.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영웅의 옷|영웅의 옷]] 세트 제작에 총 27개의 버섯 잔디 씨앗이 필요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얀색 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hite Thread, 한=하얀색 실, 스택=99, v=, ID=X, 희소=white, 유형=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MushroomGrassSeeds.png, 이름=버섯 잔디 씨앗,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3) @ [include(틀:t캡션, 사진=Bottlecraftingstation.png, 이름=유리병,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연금술 탁자,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일본판 콘솔 전용 아이템. 녹색 실을 대체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책)][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ok, 한=책, 스택=99, v=1.0, ID=149, 희소=whit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곡괭이로 채집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책장|책장]]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피아노|피아노]] 제작에 사용되며, 집을 꾸미는 인테리어로도 사용된다. 하드모드로 가면 마법서의 재료로도 쓰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산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ral, 한=산호, 스택=999, v=1.0.5, ID=275, 희소=whit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 곡괭이로 채집할 수 있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아가미 포션|아가미 포션]]과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수중 탐지 포션|수중 탐지 포션]]의 재료로 사용된다. 아무 블록에다가 설치가 가능하나, 위와 양옆에 각각 1칸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수정 파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ystal Shard, 한=수정 파편, 스택=999, v=1.1, ID=502, 희소=blue, 유형=재료\, 가구)][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 지하|신성지대 지하]]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성스러운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50%) (4-10)}}} 곡괭이로 채집할 수 있다. 스스로 파란색 혹은 빨간색의 빛을 내며 어두컴컴한 동굴에서 수정들이 반짝거리는 모습은 꽤나 장관이다.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대형 치유 포션|대형 치유 포션]],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슈퍼 마나 포션|슈퍼 마나 포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수정 총알|수정 총알]],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수정 다트|수정 다트]]와 같은 소모품과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수정 폭풍|수정 폭풍]],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마법의 하프|마법의 하프]], [[테라리아/아이템/무기/마법#무지개 막대|무지개 막대]] 같은 몇몇 마법 무기의 재료로 사용되며, 또한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페이즈블레이드|페이즈블레이드]]를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보라색 페이즈세이버|페이즈세이버]]로 강화할 때 뭉텅뭉텅 들어간다. 게다가 개당 판매가가 은화 16닢으로 신성지대 지하에 널리다시피한 흔한 재료치곤 상당한 고가라서, 꾸준히 모아둬서 나쁠 건 없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주석 블록|진주석 블록]]이나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분홍 얼음 블록|분홍 얼음 블록]]을 지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수정 파편 농장을 만들 수 있다. 신성지대 지하가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5|1.3.5]] 이후로는 이것과 돌을 합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수정 블록|수정 블록]]으로 가구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3DS에서는 하드모드 전에 등장하는 [[테라리아/몬스터#우두머리 악마|우두머리 악마]]가 무조건 4~6개를 드롭한다. 그래서 하드모드가 아니여도 수집할 수 있다. 무한 복사 버그가 있는데, 가로로 블록, 빈칸, 오른쪽이 빗면인 발판 계단 순서로 놓고 가운데 빈칸에 수정 파편을 놓으려 하면 계속해서 복사가 된다. [[https://youtu.be/bDcI_krOm04?feature=shared|링크]] 이를 이용해서 하드모드 초중반에 코인건을 유용하게 쓰거나 고블린 리포지를 무한으로 할 수 있다. [[분류:테라리아/아이템]]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arrulousKnowingChunkyLunchroom, 합의사항1=Chlorophyte의 한글 표기를 '녹조류'로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