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라마운트+/오리지널 콘텐츠 목록|[[파일:파라마운트 플러스 오리지널 로고 화이트.png|width=100]]]] [br] '''{{{+1 털사 킹}}}''' (2022 ~ ) [br] ''Tulsa King''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ulsaKing_poster.jpg|width=100%]]}}} || ||<-2> '''장르''' ||[[드라마]], [[범죄]] || ||<-2> '''방송 기간'''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3일]] ~ [[2023년]] [[1월 8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2일]] ~ [[2023년]] [[2월 16일]] || ||<-2> '''방송 횟수''' ||시즌 1: 9부작 || ||<-2> '''제작사''' ||[[MTV|[[파일:MTV 로고.svg|width=35]]]] | 발보아 프로덕션 외 || ||<|3> '''제작진''' || '''제작''' ||[[테일러 쉐리던]], 테렌스 윈터, [[실베스터 스탤론]] 외 || || '''연출''' ||앨런 콜터, 벤 리처드슨, 벤저민 세마노프, 조지프 리코베네, 가이 페를란드, 로지 케리건 || || '''극본''' ||테렌스 윈터, 조셉 리코베네, 레지나 코라도, 다비드 플레보테, 테렌스 화이트, 톰 시에리오 || ||<-2> '''출연''' ||[[실베스터 스탤론]], 안드레아 새비지, 마틴 스타 외 || ||<-2> '''스트리밍'''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라마운트+|[[파일:파라마운트+ 워드마크.svg|width=8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50]]]] [[https://www.tving.com/contents/P001670357|▶]] || ||<-2> '''[[영상물 등급 제도|{{{#f00,#f00 시청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s-3|[[파일:TV-MA_icon.png|width=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 ||<-2> '''링크''' ||[[https://www.facebook.com/TulsaKingTV|[[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ulsaKing,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tulsaki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tulsaking|[[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말에 공개된 [[파라마운트+/오리지널 콘텐츠 목록|파라마운트+ 오리지널 드라마]]. 국내에서는 [[TVING]]에서 시청 가능하다. 왕년에 이름을 날린 노년의 [[마피아]]가 출소 후 조직으로부터 버림받아 유배를 떠난 [[오클라호마 주]]에 위치한 중소도시 [[털사]]에서 재기를 노린다는 스토리로, [[테일러 쉐리던]]과 테렌스 윈터[* [[소프라노스]], [[보드워크 엠파이어]] 제작/각본]가 제작/각본에 참여하고 [[실베스터 스탤론]]이 주인공을 맡았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Id-sjv1RhM)]}}}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FHqCwSVl2E)]}}} || || '''티저 예고편''' || '''공식 예고편''' || == 시놉시스 == > 교도소에서 25년을 복역한 후, 드와이트 맨프레디는 패밀리의 보스에 의해 인정사정없이 추방되어 [[오클라호마]]에서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드와이트 자신에게도 생소한 행성이나 다름없는 [[털사]]에서 서서히 새로운 범죄 왕국을 세워간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드와이트 맨프레디''' - [[실베스터 스탤론]] 뒷세계에서 '장군(The General)'[* 어머니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원수의 이름으로 이름을 지어서 붙은 별명이다. 덕분에 다른 별명으로 '아이크'도 간혹 언급된다.] 혹은 이탈리아어 '친퀘 스텔레(Cinque Stelle, [[원수(계급)|별 다섯 개]])'로 통하는 네임드 오리지널 갱스터(O.G:진짜배기 건달). [[미국 마피아|뉴욕 마피아]]의 지부장이었으나 보스 아들의 헛짓거리를 뒤처리하다 살인을 저지르고 진실을 은폐한 채 장장 25년의 옥살이를 견뎠다. 이제 출소해서 조직으로 돌아왔으니 보스의 상담역인 콘실리에리(Consigliere) 정도의 예우는 받을 줄 알았건만, 환영파티는커녕 보스는 병환으로 죽기 직전이고 싹바가지 없는 그 아들내미는 은혜도 모르고 개털 취급하며 무시한다.[* 당연히 드와이트가 감옥에 가 있던 25년 동안 시간이 멈춰있던 건 아니었기에 처음 봤을 때 애송이였던 보스 아들은 부두목, 그 친구는 지부장이 되어 보스와 독대를 할 정도까지 급이 올라 있었다.] 이후 마치 유배라도 당하듯 토착 [[바이커 갱]]단이 일대 암흑가를 장악한 소도시 [[털사]]로 내려가 조직을 꾸리고 이권사업을 벌인다. 작중 75세[*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의 나이와 같다.]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인 남자를 한방에 때려눕힐 정도이며 연륜에 따르는 위압감과 언변, 사업 수완도 여전하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범죄에 몸담아온 그답게 경찰에서 전과 기록을 조회해 본 결과 '''비틀즈 활동 시기'''보다도 앞서는 기록이 있었을 지경. 물론 이런 경력들은 너무나도 오래 전의 경력이었기에 그는 나오자마자 너무 바뀌어버린 세상에 크게 고생하게 된다. 한편 실베스터 스탤론은 많은 선배 배우들과 달리 이탈리아계임에도 불구하고 메인 필모에서 양아치나[* 사실 인생작인 록키 1편에서 록키는 건달들의 수금역을 겸하고 있었으나 권투선수의 이미지가 더 커서 묻혔다.] 건달 역을 잘 맡지 않다가 나이 칠순을 넘기고서 본작으로 오랜만에 오리지널 갱스터를 연기하게 되었다. * '''스테이시 빌''' - 안드레아 새비지 이혼을 앞두고 있는 [[ATF]](조직범죄단속국) 요원. 같이 하룻밤을 보낸 훈남이 알고 보니 무려 나이가 자기 아빠뻘인 75살이고 징역 25년을 산 네임드 갱스터라 어처구니없어하고, 그가 여전히 범죄에 몸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그를 체포하는 것과 별개로 그에게 천천히 빠져들게 된다. * '''보디''' - 마틴 스타[*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고등학교 선생님 [[로저 해링턴]]을 연기한 바 있다.] [[대마초]]샵을 운영하며 조용히 살던 중, 갑자기 나타난 드와이트와 원치 않게 엮이고 졸지에 그에게 주마다 20%나 상납하는 신세가 된다. 그래도 이후 빼앗긴 아산화질소 탱크를 되찾아오기 위해 드와이트와 한바탕 싸움에 나서서 흠씬 두들겨맞는 등 어느새 조직의 일원이 된 모습을 보인다. * '''타이슨''' - 제이 윌 택시기사였으나, 드와이트를 호텔로 태워가던 중에 개인 기사 겸 측근이 된다. 25살이라는, 드와이트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나이이기에 드와이트 입장에서 대학도 다니는데 조직 생활을 시작하려는 그의 모습이 그야말로 애처럼 보일 지경이지만 결국 그도 자기 인생을 선택할 수 있다는 성인이라는 생각에 자신이 끼고 있던 새끼손가락의 반지를 건네준다. 아버지인 마크는 조직 생활을 동경하는 그런 아들의 모습이 못마땅하기도 하지만 아들을 지키기 위해 드와이트 앞에서도 당당히 맞서며 전투에 참여하는 등 아들을 이해하고 다독여주려는 모습도 보여준다. * '''미치 켈러''' - [[가렛 헤드룬드]] 술집 주인. 전과자라는 공통점으로 드와이트와 가까워진다. 그가 운영하는 술집은 이후 드와이트 조직의 아지트 비슷한 존재가 되어 두루 이용되며, 미치 역시 뛰어난 전투능력과 리더십으로 드와이트에게 큰 도움이 되어준다. * '''아르만도 트루시''' - 맥스 카셀라 과거 드와이트와 같은 뉴욕 조직에서 일했던 인물. 모종의 이유로 달아나서 털사로 건너와 새 삶에 정착했지만 우연히 털사에 온 드와이트를 발견하고 자신을 죽이러 뒤쫓아 온건 아닌지 두려워한다. 결국 두려움을 견디지 못해 운전면허 도로주행 시험을 보던(...) 드와이트를 습격하고 도주한다. 덕분에 뉴욕과 드와이트 간 오해의 골이 생겨버린 것은 덤. 그래도 결국 오해를 풀고 다시 드와이트와 함께 일하게 된다. * '''피트 인버니치''' - A.C. 피터슨 [[미국 마피아|뉴욕 마피아]] 인버니치 패밀리의 보스이자 드와이트의 오랜 친구. 드와이트가 출소한 시점에서는 노쇠한 탓에 산소호흡기 신세를 지고 있다. 드와이트를 퇴물 취급하는 아들과 부하를 말리며 어쩔 수 없이 털사로 보내는 척하지만 그는 과거 드와이트가 조직을 배신하고 자신을 밀고할 것이라는 [[편집증]]에 사로잡혀 드와이트 살해 지시를 내린 인물이다. 하지만 임무를 맡은 교도소 내 암살자가 역으로 드와이트에게 제압당해 살해되었는데, 이 사건으로 드와이트의 두 번째 살인전과(정당방위)가 생긴 것이다. 특히 아르만도가 털사로 도피한 이유도 드와이트처럼 자신도 제거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결국 진실을 알게 된 드와이트는 피트에게 큰 배신감을 느낀다. * '''치키 인버니치''' - 도미닉 롬바도지 인버니치 패밀리의 보스인 피트의 아들. 드와이트가 출소한 뒤에는 어느새 훌쩍 자라 조직의 부두목 자리까지 올랐지만 드와이트와 자신을 비교하는 아버지 때문에 여러모로 열등감을 갖고 있다. 결국 자신의 아버지를 욕조에서 살해하고 조직의 보스 자리에 오른다. * '''구디 카란지''' - 크리스 칼도비노 인버니치 패밀리 보스의 상담역인 콘실리에리(Consigliere). 출소한 드와이트를 대놓고 냉대하는 다른 조직원들과 달리 그나마 공정하게 대하는 인물이다. 드와이트가 현 패밀리 수뇌부 중에서 유일하게 신뢰하는 것처럼 보이는 인물. 후반부에 뉴욕 측을 떠나 털사 측에 가담하는데, 정말 드와이트의 부하가 되기로 한 것인지 아니면 치키의 지시를 받는 첩자인지 추후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 '''빈스 안토나치''' - 빈센트 피아자 치키의 오른팔이자 자기 조직도 가지고 있는 인버니치 패밀리의 지부장. 출소하고 롱아일랜드로 찾아온 드와이트에게 시비를 걸었다가 턱주가리를 얻어맞고 그대로 뻗어 버린다. 이후 턱이 완전히 어긋나 버렸는지 한동안 솜뭉치를 문 것처럼 어눌하게 말하는 신세가 되어 복수심에 불타 드와이트를 죽이고 싶어 하지만 치키에게 제지당한다. 이후 치키가 보스가 되자 부두목이 된 것으로 보인다. * '''카올란 왈트립''' - 리치 코스터[* [[다크 나이트(영화)]]에서 마피아 체첸을 연기한 바 있다.] 털사 [[바이커 갱]]단의 리더. 휘하 조직원들을 카리스마와 공포심으로 컨트롤하며 털사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공고히 하려 하는데 드와이트가 아산화질소 판매에 개입한 것을 계기로 그와 대립하게 된다. 진한 아일랜드 억양의 영어를 사용한다. * '''티나 맨프레디''' - 타티아나 자파디노 드와이트의 딸.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아버지를 차갑게 대한다. * '''조앤 맨프레디''' - 아나벨라 시오라 드와이트의 여동생. * '''마거릿 데브로''' - 다나 델라니 목장의 여주인. == 에피소드 목록 == ||
'''No.''' || '''제목''' || '''방영일자'''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 '''1''' || 노인은 서부로 가라 [br]''Go West, Old Man''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3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2일]] || 41분 ||<|2> 테렌스 윈터 [br] 조셉 리코베네 ||<|2> 앨런 콜터 || || '''2''' || 우주의 중심 [br]''Center of the Universe''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0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9일]] || 37분 || || '''3''' || 변덕 [br]''Caprice''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7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월 5일]] || 38분 || 레지나 코라도 || 벤 리처드슨 || || '''4''' || 방문 장소 [br]''Visitation Place''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4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월 12일]] || 39분 || 다비드 플레보테 ||<|2> 벤저민 세마노프 || || '''5''' || 토큰 조 [br]''Token Joe''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11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월 19일]] || 36분 || 조지프 리코베네 || || '''6''' || 마구간 [br]''Stable''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18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월 26일]] || 39분 || 다비드 플레보테 ||<|2> 가이 페를란드 || || '''7''' || 워 에이커스 [br] ''Warr Acres''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5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2월 2일]] || 42분 || 테렌스 윈터 [br] 조셉 리코베네 || || '''8''' || 아도베의 벽 [br] ''Adobe Walls''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1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2월 9일]] || 37분 || 테렌스 화이트 [br] 톰 시에리오 ||<|2> 로지 케리건 || || '''9''' || 행복한 인생 [br] ''Happy Trails''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8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2월 16일]] || 37분 || 테렌스 윈터 || == 줄거리 == 교도소에서 무려 25년이라는 긴 수감생활을 마치고 출소한 드와이트 맨프레디. 그는 한때 이름 날리던 [[미국 마피아|뉴욕 마피아]] 패밀리의 지부장이었고, 자신의 오랜 친구인 패밀리 두목의 범죄와 여러 비밀을 알고 있었지만 사법거래 한번 없이 25년을 묵묵히 버텨내고 뉴욕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충직하게 입을 닫고 복역한 그에게 돌아온 것은 과거 새파란 꼬맹이에 불과했던 조직원들이 어느덧 간부급이 되어 자신에게 던지는 냉담한 반응이었다. 당장 뉴욕에서 다시금 거창하게 사업을 이어나가도 모자랄 마당에 보스였던 피트의 제안에 따라 오클라호마에 있다는 이름 정도만 들어본 도시인 [[털사]]로 가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게 된 드와이트. 그는 분을 이기지 못하고 자신에게 까불대는 빈스의 턱 주걱을 날려 쓰러뜨리고 화딱지가 난 채 털사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털사]]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이, 털사는 인구가 약 40만에 광역권 인구는 약 100만 명 정도인 중소도시이다. 아무리 침체됐다지만 거느리고 있는 사업만 몇백 곳이 있던 뉴욕에서 느닷없이 이런 깡촌으로 좌천됐기에 드와이트는 그저 죽을 맛이다. ] == 사운드트랙 == [[https://www.youtube.com/watch?v=Vva6tihiE2k&list=PLWWwgAIIK3OOAhsVHMFTxBs44NBWTidoo| 전체 듣기]]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tulsa_king, tomato=79, popcorn=91)] [include(틀:평가/IMDb, code=tt16358384, user=8.1)]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tulsa-king, critic=65, user=7.4)]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code=30890, presse=3.1, spectateurs=4.2)]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4760854, user=7.7)]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13121/18065, user=4.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814636, user=8.5)]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7040, light=)]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m98Op, user=3.8)]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153312-tulsa-king, user=85)]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tulsa-king, user=<점수>)] 드라마 [[카지노(드라마)|카지노]]의 상위 버전이라는 평을 듣고 있으며, 카지노를 이렇게 만들었어야 했다는 말이 많다. == 기타 == * 실베스터 스탤론의 막내딸인 스칼렛 로즈 스탤론이 출연했다. * [[https://www.instagram.com/p/ClogbgCrSWk/?utm_source=ig_web_copy_link|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시즌 2 제작 소식을 알렸다. [각주] [[분류:2022년 드라마]][[분류:파라마운트+ 오리지널]][[분류:미국 드라마]][[분류:범죄 드라마]][[분류:실베스터 스탤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