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턱수염금눈돔속]] ||<-2><#F60> '''{{{#FFF {{{+1 턱수염금눈돔류}}}[br]Beardfish}}}''' || ||<#F93> '''학명''' || ''' ''Polymixia'' '''[br]Lowe, 1836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턱수염금눈돔목^^Polymixiiform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턱수염금눈돔과^^Polymixi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턱수염금눈돔속^^''Polymixi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본문 참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턱수염금눈돔목 턱수염금눈돔과 턱수염금눈돔속에 속하는 1목 1속 어류의 일종. == 특징 == 턱수염금눈돔목은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나 모두 멸종되어 턱수염금눈돔속에 속한 10종만 남았다. 이들은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수심 800m 아래의 중심해수층 하부 바닥에 서식하는 [[심해어]]다. 이름처럼 턱에 촉수 1쌍이 있다. 턱수염금눈돔류는 극조가 있으며, 더 진화된 진골어류는 [[지느러미]]에 연조가 있다. 등지느러미에는 가시가 4~6개 있고, 뒷지느러미에는 4개가 있다. 턱수염금눈돔류는 매우 진화된 특징들과 원시적 특징이 같이 남아 있어 이들의 분류학적인 위치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그룹만큼 분류가 자주 바뀌는 어류도 없다고 학자 조셉 S. 넬슨이 언급했을 정도.[* Joseph S. Nelson.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SBN 0-471-54713-1.] 심해에 사는 어류인데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생선이나 관상어에도 속하지 않아서 정보가 그만큼 부족하다. == 종류 == * 태평양턱수염금눈돔(''P. berndti'') * 부사크힌턱수염금눈돔(''P. busakhini'') * 폴리믹시아 푸스카(''P. fusca'') * 등점은눈돔(''P. japonica'') * 폴리믹시아 롱기스피나(''P. longispina'') * 폴리믹시아 로웨이(''P. lowei'') * 대서양턱수염금눈돔(''P. nobilis'') * †폴리믹시아 폴리타(''P. polita'') * 폴리믹시아 살라고메지엔시스(''P. salagomeziensis'') * 폴리믹시아 사조노비(''P. sazonovi'') * 폴리믹시아 유리(''P. yu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