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4-6-0 차륜배치식 중형 [[증기 기관차]]의 통칭으로, 총 6개 형식이 존재했다. 이름은 미국에서 차륜이 10개 있는 증기 기관차를 부르는 말인 텐 휠러(Ten Wheeler)의 준말에서 유래하였다. == 도입 == 1906년 경부철도주식회사에 의해 [[경부선]] 운행 용으로 미국 볼드윈(Baldwin)사에서 최초로 11량을 수입해 일제강점기 막바지인 1945년까지 발주해서 제작되었다. 운행 초기에는 간선의 여객 견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고성능의 대형 차량이 점차 도입되면서 지선과 화물 용도로 전환되었다. 특히 급구배 선구인 [[만포선]]과 [[평라선|평원선]] 등에서 사용되었다. == 사양 == === 터우 1형(Tehoi) === ||<-2> [[조선총독부 철도국|[[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터우1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Tehoi-class locomotive}}} ||}}} || ||<-2> [[파일:터우 1형.pn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6량 || || '''차륜배치''' || 4-6-0 || || '''도입시기''' || 1906년 || || '''제작사''' || 볼드윈 || ||<-2> '''차량 제원''' || || '''전장''' || 18,808㎜ || || '''전폭''' || 2,792㎜ || || '''전고''' || 4,232㎜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78.10t || || 탄수차: 41.52t || || '''최고속도''' || 95㎞/h || || '''밸브장치''' || 스티븐슨식 || === 터우 2형(Tehoni) === ||<-2> [[조선총독부 철도국|[[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터우2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Tehoni-class locomotive}}} ||}}} || ||<-2> [[파일:ktw28.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21량 || || '''차륜배치''' || 4-6-0 || || '''도입시기''' || 1906~1909년 || || '''제작사''' || 볼드윈(15량), 브룩스(6량) || ||<-2> '''차량 제원''' || || '''전장''' || 17,765㎜ || || '''전폭''' || 2,792㎜ || || '''전고''' || 4,232㎜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67.16t || || 탄수차: 41.57t || || '''최고속도''' || 95㎞/h || || '''밸브장치''' || 스티븐슨식 || === 터우 3형(Tehosa) === ||<-2> [[조선총독부 철도국|[[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터우3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Tehosa-class locomotive}}} ||}}} || ||<-2> [[파일:터우 3형.pn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10량[br](ALCO 제작분 9량, 경상공작창 제작분 1량) || || '''차륜배치''' || 4-6-0 || || '''도입시기''' || 1911년 ([[ALCO]])[br]1938년 (경성공작창) || || '''제작사''' || [[ALCO]], 경성공작창 || ||<-2> '''차량 제원''' || || '''전장''' || 17,642㎜ || || '''전폭''' || 2,821㎜ || || '''전고''' || 4,232㎜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67.60t || || 탄수차: 43.46t || || '''최고속도''' || 95㎞/h || || '''밸브장치''' || 스티븐슨식 || === 터우 4형(Tehoshi) === ||<-2> [[조선총독부 철도국|[[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터우4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Tehoshi-class locomotive}}} ||}}} || ||<-2> [[파일:터우 4형.png|width=100%]]|| ||<-2> 출고당시 터우 4-4호(당시 238호)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4량 || || '''차륜배치''' || 4-6-0 || || '''도입시기''' || 1913년 || || '''제작사''' || [[ALCO]] || ||<-2> '''차량 제원''' || || '''전장''' || 18,625㎜ || || '''전폭''' || 2,972㎜ || || '''전고''' || 4,232㎜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68.40t || || 탄수차: 43.03t || || '''최고속도''' || 95㎞/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터우 5형(Tehoko) === ||<-2> [[조선총독부 철도국|[[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터우5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Tehoko-class locomotive}}} ||}}} || ||<-2> [[파일:ktw533.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36량 || || '''차륜배치''' || 4-6-0 || || '''도입시기''' || 1917~1919년 || || '''제작사''' || [[ALCO]], Shahekou Works || ||<-2> '''차량 제원''' || || '''전장''' || 17,972㎜ || || '''전폭''' || 2,997㎜ || || '''전고''' || 4,232㎜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72.52t || || 탄수차: 43.45t || || '''최고속도''' || 95㎞/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터우 6형(Tehoro) === ||<-2> [[조선총독부 철도국|[[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터우6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Tehoro-class locomotive}}} ||}}} || ||<-2> [[파일:ktw632.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95량 || || '''차륜배치''' || 4-6-0 || || '''도입시기''' || 1927~1942년 || || '''제작사''' || 경성공작창, [[가와사키 중공업]],[br]히타치, 미쓰비시 중공업 || ||<-2> '''차량 제원''' || || '''전장''' || 18,424㎜ || || '''전폭''' || 3,050㎜ || || '''전고''' || 4,232㎜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75.10~77.20t || || 탄수차: 48.50~54.00t || || '''최고속도''' || 95㎞/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특징 == 4개의 전륜(2축), 6개의 동륜(3축)을 공통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후륜이 없다. 한국에서 사용된 터우형 차량은 전부 텐더식이다. 아울러, 전 차량이 1680mm 동륜을 채용하고 있으며, 최고속도는 95km/h로 동일하였다. 터우형은 1910년도에는 가장 대표적인 차량으로 대량 도입되었으며, 이후 해방 직전까지 계속해서 채용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파시형 증기 기관차와 함께 여객용도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터우1형부터 터우6형까지 존재한다. 이 중 6대는 2기통 복식 피스톤 구조이며 나머지 6대는 일반적인 단식 구조를 취했다. 제작은 미국의 볼드윈 사가 하였으며, 국내 반입은 부산 초량 공장에서 조립하여 이루어졌다. 이 차량은 이후 통감부에 의해 인수되었으며, 그 후로 본선 여객에 쓰이다가 점차 지선 등지로 투입되었다. 이후 단식 과열식으로 개조되었다. == 보존 == [[파일:20160505_171549.jpg]]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g971110&logNo=220715459494&referrerCode=0&searchKeyword=터우형%20증기%20기관차|이미지 출처]] 현재 유일하게 터우 5형 700호만 보존 중이며, 현재 [[의왕시]] 소재의 코레일 인재개발원 입구에 전시 중이다. 1935년에 조선총독부에서 용산에 박물관을 조성할 때 전시 목적으로 내부 구조와 동작원리를 볼 수 있도록 절개형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다가 2022년 4월 7일부로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증기 기관차]][[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