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교육사]][[분류:교육기관]][[분류:삼국시대]] [목차] {{{+1 '''太學'''}}} == 개요 == 고대 동아시아에 있었던 고등교육기관. == [[한나라]]의 교육기관 == 최초의 태학. [[서한]]의 6대 황제인 [[한무제]] 때 건립하였다. == [[고구려]]의 교육기관 == 지금까지 전하는 기록 중에서는 [[대한민국]] 최초의 학교이다. 고구려의 청소년조직과 중국식 학교 제도가 만나 만들어졌다. [[소수림왕]] 2년(372)에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며 상류계급 자제만 입학할 수 있었고 유교 경전, 문학, 무예 등을 교육했다. 교원의 명칭은 '박사'이며 요즘으로 치면 수도권 국립대급이었다. 고구려에서 태학과 관련한 또다른 인물은 신집을 편찬한 태학박사 [[이문진]]이 있다. == [[백제]]의 교육기관 == 문헌상으로는 기록되지 않았으나, 2013년 중국에서 발견한 백제유민 묘지명인 진법자 묘지명에서 진법자의 증조부 진춘이 태학정(正: 최고책임자)을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늦어도 6세기 [[무령왕]]-[[성왕(백제)]] 시기에 성립한 것으로 보고 있다. == 기타 == * [[신라]]는 [[신문왕]] 대에 마찬가지로 국립 고등교육기관 역할을 하는 [[국학]](國學)을 세웠다. [[경덕왕]] 대에 태학감으로 잠시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다시 국학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 후대 [[국자감]] 혹은 [[성균관]]의 별칭으로 태학이란 이름이 쓰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