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태평양에 위치한 섬들 전반, rd1=미크로네시아)] [include(틀:오세아니아의 역사)] [include(틀:신탁통치)] ||<-3><:> {{{#fff {{{+1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br]'''Trust Territory of the Pacific Islands'''}}} ||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Trust_Territory_of_the_Pacific_Islands.svg.png|width=15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Trust_Territory_of_the_Pacific_Islands_seal.svg.png|width=178]]|| ||<-2><:><#5E7BC0> {{{#fff '''국기'''}}}||<#5E7BC0><:>{{{#fff '''문장'''}}}|| ||<-3><:> [[파일:TTPI-locatormap.png|width=250]] || ||<-3><:><#5E7BC0> {{{#fff '''1947년 ~ 1994년'''}}} || ||<-2> '''{{{#fff 성립 이전}}}''' || '''{{{#fff 해체 이후}}}''' || ||<-2><|4><:> '''[[남양 군도|{{{#b0313f 일본령 남양 군도}}}]]''' || '''[[팔라우|{{{#ffff00 팔라우}}}]]''' || || '''[[미크로네시아 연방|{{{#fff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마셜 제도|{{{#fff 마셜 제도}}}]]''' || || [[미국|{{{#fff '''미국'''}}}]][br][[북마리아나 제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000 '''북마리아나 제도'''}}}}}}]] || ||<#5E7BC0><:> {{{#fff '''위치'''}}} ||<-2>태평양 제도 || ||<#5E7BC0><:> {{{#fff '''국가'''}}} ||<-2>[[The Star-Spangled Banner]] || ||<#5E7BC0><:> {{{#fff '''수도'''}}} ||<-2>[[사이판]] || ||<#5E7BC0><:> {{{#fff '''면적'''}}} ||<-2>1,806㎢ || ||<#5E7BC0><:> {{{#fff '''정치체제'''}}} ||<-2>[[신탁통치|미국의 신탁통치령]] || ||<#5E7BC0><:> {{{#fff '''국가원수'''}}} ||<-2>[[미국 대통령]] || ||<#5E7BC0><:> {{{#fff '''통화'''}}} ||<-2>[[미국 달러]] || ||<#5E7BC0><:> {{{#fff '''언어'''}}} ||<-2>[[영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태평양]] 지역에 위치했던 [[미국]]의 [[신탁통치|신탁통치령]].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 제국]]이 '[[남양 군도]]'라는 이름으로 [[위임통치]]했던 지역으로, [[1980년대]]부터 구성 지역들이 하나둘 독립하기 시작하여 [[1994년]]에 [[팔라우]] 독립을 끝으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 역사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패망하고, 일본 제국의 위임통치령이였던 [[남양 군도]]는 1947년에 [[미국]]을 시정권자로 하는 [[신탁통치|신탁통치령]]이 되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의해 일본이 공식적으로 남양 군도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였고, 미국은 이곳을 전략지구(strategic area)[* 신탁통치의 한 형태로, [[안보리]]가 전략상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지정한 지구를 말한다. 이 지정을 받은 지역은 태평양 제도가 유일하다.]로 지정하였다. 태평양 제도는 [[1951년]] [[미국 내무부]] 관할로 이관되기 전까지 [[미합중국 해군]]이 위치한 [[괌]]의 본부에서 통치하였다. 그러나 1950년부터 미국 내부에서 태평양 제도 지배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자[* 미국은 이 지역의 군사적 가치에만 주목했지 지역을 통치하고 주민들의 독립 요구를 반영하는 데에는 인색했다.], 1965년 미국 정부는 미크로네시아 자치의회를 구성하고 입법권을 부여했다. 이후 [[1978년]] [[7월 12일]] 폰페이(Pohnpei), 코스라이(Kosrae), 축(Chuuk), 얍(Yap), 팔라우(Palau), 마셜 제도(Marshall Islands) 등 6개 지역에서 독립국 연방 구성을 위한 헌법안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하였다. 투표 결과 전체적으로 찬성이 우세하게 나오면서 헌법 시행이 확정되었다. 그런데 지역별로 살펴보면 폰페이, 코스라이, 축, 얍에서는 찬성이 우세했지만 팔라우와 마셜 제도에서는 반대가 더 많았다. 결국 [[팔라우]]와 [[마셜 제도]]는 별개 국가가 되어 독립하기로 결정했고, 나머지 지역들만 연방에 참여하게 되었다. 해당 헌법은 [[1979년]] [[5월 10일]]부터 발효되어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출범하였다. 한편 [[사이판]]을 위시한 [[북마리아나 제도]]는 [[1975년]] 주민투표를 통해 독립하지 않고 미국의 일부로 편입하기로 결정해 [[1976년]]부터 신탁통치령과 별개로 분리되어 미국의 속령(Territory)이 되었다. 동시에 [[미크로네시아 연방]]과 [[마셜 제도]], [[팔라우]]는 각각 [[미국]]과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을 체결했다. 해당 지역의 안보를 미국이 책임진다는 내용이 주된 골자이며 이 협정에 따라 이 국가들은 군대를 갖지 않으며 [[미군]]이 대신 방위해준다. 또한 미국은 이들 지역에 대해 경제적인 원조를 해주게 되었다. 조약에 따른 방위와 경제 원조에는 15년 혹은 50년의 기한이 있는데, 15년 기한인 것도 각국의 의회에서 연장안이 통과되어 경제 원조와 미군의 방위 모두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협정에 따라 세 국가들은 외교권에 일부 제약이 있다. [[마셜 제도]]에서 시작하여 마리아나 제도까지 태평양 제도 내 지역들이 하나둘 독립하면서 [[1986년]]부터 미국 정부의 통치가 종료되었다. 이후 [[1990년]] 폰페이, 코스라이, 축, 얍을 중심으로 구성된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신탁통치령에서 공식 해제되었고, [[마셜 제도]]는 연방과 별개의 국가로 독립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1994년]] [[팔라우]]를 끝으로 모든 지역이 신탁통치령에서 해제되었다. 이로써 신탁통치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 관련 문서 == * [[미국/역사]] * [[오세아니아]]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분류:오세아니아사]][[분류:팔라우의 역사]][[분류: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역사]][[분류:마셜 제도의 역사]][[분류:미국의 역사]][[분류:신탁통치]][[분류:미국의 외교]][[분류:미국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미국-미크로네시아 연방 관계]][[분류:미국-마셜 제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