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동지방)] ||<-4> {{{+3 {{{#fff '''태초마을'''}}} }}} [br] {{{#fff '''マサラタウン''' ''Pallet Town''}}}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attachment/Masara_Town_HGSS.png|width=100%]]}}} || ||<-4> '''지도 설명''' || ||<-4> ''그 어떤 것에도 물들지 않은 새롭고 작은 마을'' || ||<-4> '''표어''' || ||<-4> ''새하얀 시작의 색'' || ||<-4> '''위치''' || ||<-4> [[파일:attachment/Map_Masara_Town.gif]] || ||<-4> '''인접 지역''' || || 북쪽 ↑ ||<-3> [[1번도로]]([[상록시티]] 방향) || || 남쪽 ↓ ||<-3> [[21번수로]]([[홍련마을]] 방향) || ||<-4> '''BGM''' || ||<-4><:>{{{#!HTML}}}|| ||<|2><-2> '''레드·그린·블루·피카츄'''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마스다 준이치]] || ||<-4><:>{{{#!HTML}}}|| ||<|2><-2> '''금·은·크리스탈'''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아오키 모리카즈 || ||<-4><:>{{{#!HTML}}}|| ||<|2><-2>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이치노세 고]] || ||<-4><:>{{{#!HTML}}}|| ||<|2><-2> '''하트골드·소울실버'''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키츠타 타쿠토 || ||<-4><:>{{{#!HTML}}}|| ||<|2><-2> '''하트골드·소울실버[br]{{{-2 (GB플레이어)}}}'''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아오키 모리카즈 || ||<-4><:>{{{#!HTML}}}|| ||<|2><-2>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 || [[카게야마 쇼타]] ||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 시리즈]]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첫 작품]]의 [[레드(포켓몬스터)|주인공]]이 시작하는 마을'''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기념비적인 마을.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을 비롯한 1세대 시리즈 및 3세대 리메이크작인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서 주인공이 모험을 시작하는 [[관동지방]]의 자그마한 마을. 모티브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아버지 [[타지리 사토시]]가 어린 시절을 보낸 [[도쿄도]] [[마치다]]시.[* 타운맵 위치상으로는 [[카나가와현]] 미우라 반도([[요코스카시]]) 일대이다.] 주인공 [[레드(포켓몬스터)|레드]]/[[블루(포켓몬스터)|블루]]의 집과 라이벌 [[그린(포켓몬스터)|그린]]의 집, 그리고 [[오박사]]의 연구소가 위치하여 있고, 위쪽으로는 관동지방의 첫 번째 도로인 관동 1번도로, 아랫쪽으로는 관동 21번수로가 [[홍련섬]]으로 가는 길까지 이어져 있다. 이곳의 BGM은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는 감상이 있기도 하다. 그리고 묘하게 세대가 지날 때마다 템포가 느려졌다가 [[레츠고 시리즈]]에선 [[포켓몬스터 금·은|금·은]] 수준 정도로 빨라졌다. 영문 명칭은 Pallet Town으로, [[팔레트]]를 뜻한다.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순백의 팔레트를 뜻하는 듯하다. == 주요 건물 == === 주인공의 집 === [[파일:attachment/Player_Bedroom_FRLG.png]] 게임 시작과 함께 드나들게 되는 집이다. 주인공인 [[레드(포켓몬스터)|소년]]/[[블루(포켓몬스터)|소녀]]는 [[주인공의 어머니|어머니]]와 함께 이 집에 살고 있으며 집에 있는 주인공의 어머니에게 말을 걸 때마다 지니고 있는 포켓몬을 치료할 수 있다. 2층에는 주인공의 방이 있으며 아이템 보관용 컴퓨터와 침대, TV 및 게임기[* 일본판 레드·그린·블루, 전 세계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선 [[패미컴]], 일본판 피카츄 및 해외판 1세대는 [[슈퍼패미컴]].] 등이 놓여져 있다. 2세대에선 방에 있는 게임기의 기종이 [[닌텐도 64]]로 바뀌어 있다. 또한 TV를 보면 남자아이가 4명 선로 위를 걷고 있다 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건 바로 영화 [[스탠 바이 미]]의 오마주이다. 3세대에서 캐릭터를 소녀로 진행할 경우 땋은 머리 소녀가 벽돌길을 걷고 있다 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건 [[오즈의 마법사]]의 오마주. 2, 4세대 시리즈 [[포켓몬스터 금·은|금·은]]·[[포켓몬스터 크리스탈 버전|크리스탈]] 및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하트골드·소울실버]]에선 남주인공인 [[레드(포켓몬스터)|레드]]의 집으로 고정되어 있고, 레드의 어머니는 아들이 여행을 떠난 후 거의 행방불명되다시피 집에 연락을 취하지 않고 있다면서 소식이 없는 것은 잘 지낸다는 증거지만 그래도 안부가 걱정된다는 말과 함께 염려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세대에선 그래픽의 발전에 따라 집 안 구조가 상당히 변하였고 냉장고와 싱크대가 딸린 간이 부엌이 추가되었다. 또한 2층 레드의 방에 있는 게임기의 기종이 [[Wii]][* A 버튼을 눌러보면 [[간접광고|관동지방에서도 대유행이라고 뜬다.]](...) 이는 주인공의 방에 있는 Wii도 마찬가지로 조사해 보면 똑같이 성도에서도 Wii는 대유행!이라고 뜬다.]로 바뀌어져 있는 등 이전 세대와는 다른 소소한 차이점이 있다.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레츠고 시리즈]]에서는 집에 있는 TV가 현대식 LCD TV로 바뀌었고, 게임기도 [[닌텐도 스위치]]로 바뀌었다. === 라이벌의 집 === [[파일:attachment/rival_house_FRLG.png]] 주인공의 [[소꿉친구]]이자 오박사의 손자인 라이벌의 집. 라이벌의 누나 [[남나리]]도 이 집에 살고 있는데 1, 3세대 시리즈의 경우 오박사에게 도감을 받고 남나리를 찾아가면 오박사에게 부탁받은 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라면서 관동지방의 타운맵을 건네준다. 2, 4세대에선 상록체육관의 [[체육관 관장]]이 된 레드의 라이벌 [[그린(포켓몬스터)|그린]]의 집으로 등장. 달라진 것이 있다면 3세대까지는 그린의 집은 외형만 2층이고 안은 1층밖에 없는데, 4세대 부터는 그린의 방이 추가되어 내부도 2층이다. 2세대부터는 15시에서 16시 사이에 그린의 집에 방문할 시 그린의 누나 남나리가 포켓몬의 친밀도를 높여주는 마사지를 해주며, 4세대에선 마사지를 7번 받고 친밀도가 높은 포켓몬을 데려가면 그린의 전화번호를 알려준다. === 오박사의 포켓몬 연구소 === 포켓몬 연구의 권위자 [[오박사]]의 포켓몬 연구소. 1,3세대에서 오박사는 주인공과 손자인 라이벌이 늙은 자신을 대신하여 포켓몬과 함께 도감의 완성을 성취시켜 주길 고대하며 이곳에서 [[포켓몬 도감]]과 [[스타팅 포켓몬]]을 한 마리 건네준다. 그 밖에 연구소 구석에 위치한 컴퓨터를 조사해 보면 [[석영고원]]의 포켓몬 리그로부터 오박사에게 보낸 전자메일을 읽어볼 수 있다. 2세대에선 [[공박사]]에게 메일이 와있다. 여담으로 1세대의 오박사 연구소 BGM은 2세대에서도 오박사의 포켓몬 강좌 라디오 배경음으로도 어레인지되었다. 2,4세대에서의 경우 관동지방 배지를 모두 얻은 후 이곳으로 와서 오박사에게 말을 걸면 [[은빛산]]으로 갈 수 있게 해 준다. 4세대에선 [[은빛산]]에 있는 레드를 이긴 후 연구소에 찾아올 시 오박사에게서 관동지방의 스타팅 3마리 중 하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평소 이곳에 있는 오박사를 찾아와 말을 걸면 [[성도도감]]과 [[전국도감]]의 평가를 해준다. 그 밖에 [[매몰탑]] 이벤트에서도 중요한 구실을 하는 마을이기도 하다. == 그 외 == === 기타 === * 태초마을의 모티브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아버지 [[타지리 사토시]]가 어린 시절을 보낸 [[도쿄]]도 [[마치다]]시. 다만 위치상으로는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일대로 추정된다. 또한 마치다를 모티브로 한 다른 도시도 있는데, 바로 [[무지개시티]].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의 포켓기어 라디오로 들을 수 있는 '그 마을 이 사람'이란 명소 소개 코너에선 태초마을의 명소로 레드의 집을 3위로, 그린의 집을 2위, 오박사의 포켓몬 연구소를 1위로 꼽는다. * 이 마을만의 특이점으로, 건물은 위 3곳밖에 없지만 다른 주민들도 있다. * 하트골드·소울실버의 태초마을에서 소유하고 있는 포켓몬들에게 말을 걸어보면 '왠지 그리운 냄새가 나는 듯하다...'라는 반응을 보인다. 상록시티에서도 같은 반응을 볼 수 있다. * [[짱구교실]]의 [[http://study.jr.naver.com/babystudy/edu109/view.nhn?contentsNo=3136&orderType=NEW|짱아를 찾아라(서비스 종료)]]에도 태초마을의 BGM이 나온다. [[https://youtu.be/Xyscek9LWs4|#]][* 실제로 짱구교실은 다른 게임이나 만화의 BGM을 무단 사용해 왔다. [[포켓몬센터]]의 BGM은 물론이고 [[마법진 구루구루]]의 BGM도 대거 표절했다.] * 태초마을의 이름은 한국판의 경우는 말 그대로 태초로 모험이 시작되는 마을이라는 뜻이며 원본의 마사라 타운은 새하얀 시작의 색으로 어떤 색도 담아낼 수 있는 흰색을 뜻하며 미국명인 팔레트 타운은 미술에 나오는 그 팔레트인데 어떤 색이든 담아내는 도구라는 뜻. === 모습 === ||<-4> 전경 || ||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 [[파일:attachment/Masara_Town_RGBY.png|width=190]] || [[파일:attachment/Masara_Town_GSC.png|width=190]] || [[파일:attachment/Masara_Town_FRLG.png|width=190]] || [[파일:attachment/Masara_Town_HGSS.png|width=190]] || === 습득 가능 아이템 === ||<-2> 아이템 || 습득 방법 || 게임 || || [[파일:attachment/Potion_Sprite.png]] || 상처약 || 주인공의 집에서 컴퓨터를 조사.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레드·그린]] / [[포켓몬스터 블루|블루]] / [[포켓몬스터 피카츄|피카츄]][br][[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이어레드·리프그린]] || || [[파일:attachment/Town_Map_III_Sprite.png]] || 타운맵 || [[상록시티]]의 프렌들리샵에서 받은 '[[오박사]]에게 전해줄 물건'을 오박사에게 건넨 후 남나리에게서 받는다.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레드·그린]] / [[포켓몬스터 블루|블루]] / [[포켓몬스터 피카츄|피카츄]][br][[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이어레드·리프그린]] || || [[파일:attachment/monster_ball_Sprite.png]] || [[몬스터볼]] 5개 || 오박사에게서 습득. ||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이어레드·리프그린]] || || [[파일:attachment/HM_Normal_Sprite.png]] || [[비전머신]]08 [[락클라임]] || 관동지방의 모든 [[체육관 배지]]를 손에 넣은 후 오박사에게서 받는다.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하트골드·소울실버]] || || [[파일:attachment/Jade_Orb_Sprite.png]] || 연둣빛구슬 || 하트골드에서 출현하는 [[가이오가]]와 소울실버에서 출현하는 [[그란돈]]을 손에 넣은 후 오박사에게서 받는다.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하트골드·소울실버]] || === 출현 포켓몬 === ||<-2> 포켓몬 || 버전 || 위치 || 레벨 || 출현률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1MS.png]] || [[이상해씨]] || 레드,그린,블루[br]파이어레드,리프그린[br]하트골드,소울실버 || 오박사에게서 선물 || 5 || 1마리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 [[파이리]] || 레드,그린,블루[br]파이어레드,리프그린[br]하트골드,소울실버 || 오박사에게서 선물 || 5 || 1마리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7MS.png]] || [[꼬부기]] || 레드,그린,블루[br]파이어레드,리프그린[br]하트골드,소울실버 || 오박사에게서 선물 || 5 || 1마리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25MS.png]] || [[피카츄]] || 피카츄 || 오박사에게서 선물 || 5 || 1마리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72MS.png]] || [[독파리|왕눈해]] || 레드,그린,블루,피카츄[br]금,은,크리스탈[br]하트골드,소울실버 || 파도타기(금,은,크리스탈,파이어레드,리프그린,하트골드,소울실버)[br]낡은낚시대(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br] 좋은낚시대(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br] 대단한낚시대(레드,그린,블루,피카츄) || 30-39(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파도타기)[br]5-40(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도타기)[br]10-20(레드,그린,블루,피카츄)[br] 1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낡은낚시대)[br] 2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낡은낚시대) || 9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파도타기)[br]100%(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도타기)[br]50%(레드,그린,블루)[br] 40%(피카츄)[br]15%(금,은,크리스탈/낡은낚시대)[br]35%(금,은,크리스탈/좋은낚시대)[br]5%(하트골드,소울실버/낡은낚시대)[br]30%(하트골드,소울실버/좋은낚시대)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73MS.png]] || [[독파리]] || 금,은,크리스탈[br]하트골드,소울실버 || 파도타기,대단한낚시대 || 35-39(금,은,크리스탈/파도타기)[br] 35(하트골드,소울실버/파도타기)[br]4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대단한낚시대) || 1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파도타기)[br] 20%(금,은,크리스탈/대단한낚시대)[br]7%(하트골드,소울실버/대단한낚시대)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29MS.png]] || [[잉어킹]] || 레드,그린,블루,피카츄[br]금,은,크리스탈[br]파이어레드,리프그린[br]하트골드,소울실버 || 낡은낚시대[br]좋은낚시대(파이어레드,리프그린) || 5(레드,그린,블루,피카츄)[br] 1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낡은낚시대)[br] 15(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좋은낚시대)[br] 5-10(파이어레드,리프그린/낡은낚시대)[br]5-15(파이어레드,리프그린/좋은낚시대) || 100%(레드,그린,블루,피카츄,파이어레드,리프그린)[br] 85%(금,은,크리스탈/낡은낚시대)[br] 25%(파이어레드,리프그린/좋은낚시대)[br] 95%(하트골드,소울실버/낡은낚시대)[br] 35%(금,은,크리스탈/좋은낚시대)[br]60%(하트골드,소울실버/좋은낚시대)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60MS.png]] || [[강챙이|발챙이]] || 레드,그린,블루,피카츄 || 좋은낚시대[br]대단한낚시대(레드,그린,블루) || 10,15 || 50%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8MS.png]] || [[왕콘치|콘치]] || 레드,그린,블루 || 좋은낚시대 || 10 || 50%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20MS.png]] || [[별가사리]] || 피카츄[br]리프그린 || 대단한낚시대 || 5-10(피카츄)[br]15-25%(리프그린) || 60%(피카츄)[br]40%(리프그린)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70MS.png]] || [[초라기]] || 금,은,크리스탈[br]하트골드,소울실버 || 좋은낚시대[br]대단한낚시대 || 20(좋은낚시대)[br]40(대단한낚시대) || 20%(금,은,크리스탈/좋은낚시대)[br]40%(금,은,크리스탈/대단한낚시대)[br]7%(하트골드,소울실버/좋은낚시대)[br]60%(하트골드,소울실버/대단한낚시대)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90MS.png]] || [[셀러]] || 금,은,크리스탈[br]파이어레드[br]하트골드,소울실버 || 좋은낚시대(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br]대단한낚시대 || 2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좋은낚시대)[br]15-25(파이어레드)[br]4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대단한낚시대) || 10%(금,은,크리스탈/좋은낚시대)[br]30%(금,은,크리스탈,하트골드,소울실버/대단한낚시대)[br]40%(파이어레드,리프그린)[br]3%(하트골드,소울실버/좋은낚시대)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71MS.png]] || [[랜턴(포켓몬스터)|랜턴]] || 금,은,크리스탈[br]하트골드,소울실버 || 대단한낚시대 || 40 || 10%(금,은,크리스탈)[br]3%(하트골드,소울실버)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6MS.png]] || [[쏘드라]] ||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좋은낚시대,대단한낚시대(파이어레드) || 5-15(좋은낚시대)[br]15-25(대단한낚시대) || 20%(리프그린)[br]60%(좋은낚시대/파이어레드)[br]40%(파이어레드)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98MS.png]] || [[킹크랩|크랩]] ||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좋은낚시대[br]대단한낚시대(리프그린) || 5-15(좋은낚시대)[br]15-25(대단한낚시대) || 20%(파이어레드)[br]60%(좋은낚시대/리프그린)[br]40%(리프그린)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30MS.png]] || [[갸라도스]] ||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대단한낚시대 || 15-25 || 15%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7MS.png]] || [[시드라]] || 파이어레드 || 대단한낚시대 || 25-35 || '''4%'''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99MS.png]] || [[킹크랩(포켓몬스터)|킹크랩]] || 리프그린 || 대단한낚시대 || 25-35 || '''4%'''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54MS.png]] || [[고라파덕]] || 파이어레드 || 대단한낚시대 ~~신경쓰이면 지는거다.~~ || 25-35 || '''1%'''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79MS.png]] || [[야돈]] || 리프그린 || 대단한낚시대 || 25-35 || '''1%'''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63MS.png]] || [[부우부]] || 하트골드,소울실버 || 박치기 || 2-3 || 50%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04MS.png]] || [[피콘]] || 하트골드,소울실버 || 박치기 || 2-3 || 30%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67MS.png]] || [[페이검]] || 하트골드 || 박치기 || 5-6 || 30%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65MS.png]] || [[레디바]] || 소울실버 || 박치기 || 5-6 || 30%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65MS.png]] || [[개무소]] || 하트골드,소울실버 || 박치기 || 2-3 || 20% || === 트레이너 === || 버전 || 트레이너 || 소지 포켓몬 || 상금 || || 레드,그린,블루,피카츄[br]파이어레드,리프그린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Spr_FRLG_Blue_1.png]][br]그린 || 스타팅 포켓몬(레벨 5/레드,그린,블루,파이어레드,리프그린)[br][[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33MS.png]] [[이브이]](레벨 5/피카츄) || 175원(레드,그린,블루,피카츄)[br]80원(파이어레드,리프그린) || === 국가별 명칭 === || 언어 || 명칭 || 유래 || || 일본어 || 마사라타운 マサラタウン || 真っさら(맛사라) '아주 새 것인 모양. 새 것인 물건' 이란 뜻. || || 한국어 || 태초마을 || 太初(클 태, 처음 초).[br]하늘과 땅이 생겨난 맨 처음. || || 영어 || 팔렛 타운 Pallet Town || 미술도구 [[팔레트]]. ||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 [[파일:xy&z 태초마을.jpg]] >'''"[[지역드립|촌구석에서 왔구나.]]"''' - [[슈티]], [[한지우]]가 태초마을에서 왔다고 한 뒤.[* 사실 [[슈티]]가 사는 [[마름꽃마을]]도 [[하나지방]]에서는 촌구석이다. 또한 이 대사를 한 이후부터 슈티의 비호감률이 확 올랐으며 지금까지도 슈티가 포켓몬 팬들에게 욕을 바가지로 먹는 주요한 이유다.][* 상술했듯이 태초마을은 '''[[포켓몬스터 시리즈]]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첫 작품]]의 [[레드(포켓몬스터)|주인공]]과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한지우|주인공]]이 시작하는 마을'''이며 포켓몬 팬들에게 있어서는 '''모든 것이 시작된 마을'''이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마을이다. 그런데 그런 곳을 방금 막 포켓몬을 받은 초보 트레이너가 촌구석이라고 무시하니 화가 날 수밖에 없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1세대 주인공 한지우와 라이벌인 [[오바람]]의 고향. 일본판에서는 본래 이름은 '새하얗다'는 뜻의 (맛시로)에서 온 듯한 마시로 타운이었지만, '오키드 마사라'라는 명트레이너가 나온 후 이름을 마사라 타운으로 바꿨다는 설정이 존재한다. 참고로 저 오키드 마사라는 오박사의 조상쯤 된다 카더라. 오박사가 사는 마을이지만 정작 오박사는 연구에 매진해서 마을 사람에 대해선 잘 모른다. 마을같지도 않던 게임의 태초마을과는 달리 지우와 바람이 등 4명의 트레이너가 떠날 때 사람 숫자나 석영리그에서 화상 전화로 지우를 응원하던 인파를 보면 마을다운 인구쯤은 있다. 지우와 바람이 외에 [[이상해씨]]와 [[파이리]]를 가져간 트레이너가 누구인지는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 파이리의 경우 무인편의 [[나이기]]가 물망에 오르기도 하는데 가능성이 없다. [[블루체육관]]에서 이슬이의 언니들이 태초마을 출신 삼인방(이 중 유일하게 정체가 알려진 이가 [[오바람]])에게 패배했다고 언급되는데 이슬이는 그렇다 쳐도 웅이는 나이기와 구면이어야 한다. 하지만 해당 에피소드 묘사로는 모로봐도 웅이와 나이기가 구면이라는 단서가 없다.][* Mr Buddy라는 유튜버는 이들의 정체 중 하나로 [[레드(포켓몬스터)|레드]]와 [[블루(포켓몬스터)|리프]]를 지목하기도 했다([[https://youtu.be/fBtPDwVT5js|#]]). 이쪽도 리프는 3세대에 탄생한 캐릭터이고 갑자기 하차한 상세 설정도 없는 캐릭터에게 나중에라도 이런 설정을 부여할 리는 없으니 가능성이 없고 그나마 레드 쪽이 그린을 모티브로 한 오바람이 꼬부기를 골랐다는 점을 들어 가능성이 있는 편.]. 초반에는 오박사를 통해 지우만 한참 뒤떨어져 있다는 걸 보여줬으나 이슬이의 언니들 발언을 통해 [[블루시티]] 체육관까지는 지우를 앞서간 걸 확인할 수 있던게 마지막. 이후 전혀 언급이 없다 지우가 배지를 8개 모아 태초마을로 돌아가 오박사와 대화할 때 '처음엔 잘하는 듯했는데 결국 실패했다'라고 언급되었다. 초기에는 그럭저럭 언급되면서 지우에게 동기 부여를 해주다 갑자기 사라졌으니 [[맥거핀]] 혹은 애니메이션의 장기화로 인한 피해자들로 보인다. 하지만 극장판 너로 정했다에서 오박사가 지각한 지우에게 세 마리의 초보자용 포켓몬은 이미 세 명이 가져가서 없다는 언급에서 오바람과 다른 두 명의 트레이너의 뒷모습이 회상으로 잠시나마 모습을 비추었다. 여담으로 태초마을 그 자체에 대해서는 사이드 스토리에서 더 자세히 나오는데 지우가 호연 지방에서 여행하던 무렵에 또 한 명의 트레이너가 나서게 되는 이야기에서 지우네 집과 오박사 연구소 외의 지역이 나온다. [[포켓우드]] 영화에 등장하는 태초왕국은 태초마을의 이름을 땄는데 그 까닭은 그 영화의 주인공이 지우였기 때문. 여담으로 [[포켓몬스터 AG]]를 제외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공통이지만, 절대로 태초마을의 BGM은 흐르지 않는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호연지방의 [[등화도시]], 관동지방의 [[보라타운]]을 제외하면 도시 BGM이 쓰이는건 매우 드문 일이며, 일반적으로는 시작하는 마을 인근 도로의 BGM이 흐른다. 관동지방은 1번 도로의 BGM이 흐르는 게 일반적. 썬문에서 다시 한번 주목받는데 체육관오브관동에서 있는 트레이너들이 지우가 태초마을 출신이라는 것에 주목했다.오박사 덕분에 관동에서는 태초마을의 이미지가 제법 좋은 모양. ===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서 === 게임 내용의 재현에 중점을 둔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선 원작과 마찬가지로 레드와 그린의 고향으로 나왔다. 주인공이나 라이벌의 집, 오박사의 연구소 등을 빼면 빈약하기 그지 없던 본가 게임의 태초마을과는 다르게 중소도시 못지않을 정도로 사람들이 번성한 곳으로 묘사되었다. === [[포켓몬스터 SPECIAL]]에서 === 관동지방, 성도지방 포켓몬 리그의 [[챔피언(포켓몬스터)|챔피언]]은 9회 연속 이 마을 출신이었다는 설정이 있다. == [[인터넷 밈]] == === 속초마을 밈 === 한동안 2017년 정식 발매 전까지 국내법으로 인해 한국에서 이용이 제한된 적이 있던 [[포켓몬 GO]]가 강원도 동쪽 38선 근방 지역에서는 제대로 작동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 범위 내에 있는 [[속초시|속초]]를 태초마을을 본따 '''[[포켓몬 GO/한국 출시 전 정보#s-5.2|속초마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마침 이 지역이 [[강원도|관동지방]]에 속한다는 공통점도 있어 [[관동지방]] 드립도 사용된다. 거기에다가 [[울릉도]]는 [[홍련섬]]으로 불린다. 현재 포켓몬 GO가 한국에서는 오픈스트리트맵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식 발매되었으나, 여전히 속초에선 구글맵 기반이던 이전처럼 많이 잡히고 포켓스탑도 잘 감지되는 덕에 당분간 속초마을이라는 타이틀을 잃지는 않을 것이라고. 이는 홍련섬으로 불린 울릉도도 마찬가지로 정식 발매 이후 여전히 괜찮게 되는 지역으로 꼽힌다. 꽤 오랫동안 사용되었지만, 코로나 유행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포켓몬 고도 유행이 서서히 끝나면서 같이 죽은 밈이 되어버렸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속초마을 하면 그런 밈도 있었지 하는 수준. === [[항아리류]] 밈 === [[파일:태초마을이야!.png|width=500]] >'''태초마을이야!''' [[Getting Over It]]를 대표로 하는, 실수 시 출발지로 돌아갈 위험이 있는 [[항아리류 게임]]에서 시작 지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인터넷 방송]]에서는 하나의 밈으로 자리잡아, 방송인이 출발지까지 떨어졌을 때 [[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오리지널편]] 117화에서 [[1번도로]]의 브금과 함께 [[오렌지제도]]에서 태초마을로 돌아온 지우가 "태초마을이야!"라고 외치는 [[https://m.youtube.com/watch?v=IBPcwC3kbB0|장면]]이 자주 도네로 오곤 한다. '[[X하|태하]]'라는 말도 자주 쓰인다. 항아리류 게임에서 밈으로서 쓰이기 이전에도 같은 용례로 [[소프트맥스]]가 서비스했던 [[4LEAF]]의 [[주사위의 잔영]]에서 유저들 간에 출발지를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주사위의 잔영에서 유저 간의 배틀 결과 주사위 눈 차이가 7 이상으로 벌어지면 패배한 유저는 맵 내 어디에 위치하던 출발지로 강제로 돌아가게 되는 데 이것을 두고 '''ㅌㅊ''', '''"태초마을로 돌아가네"''', '''"태초됐네"'''식으로 이야기했던 것. 물론 지우네 마을이라고도 그랬다. [[분류:포켓몬스터/지역/관동지방]][[분류:포켓몬스터/밈]][[분류:포켓몬스터/밈/대사]][[분류:인터넷 밈/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