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2> {{{#white '''{{{+2 태백선}}}''' [br] 太白線 | Taebaek Lin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태백선 노선도.svg|width=100%]]}}}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 '''노선번호''' ||315|| || '''노선명''' ||태백본선 (太白本線)|| || '''종류''' ||[[대한민국의 간선철도|간선철도]], [[대한민국의 일반철도|일반철도]]|| || '''영업거리''' ||104.1㎞|| || '''궤간''' ||1,435㎜|| || '''역수''' ||22|| || '''기점''' ||[[제천역]]|| || '''종점''' ||[[백산역]]||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 ||[[열차자동정지장치#s-2.2|ATS-S1]]|| || '''선로최고속도''' ||제천~입석리: 150km/h[br]입석리~백산: 100km/h|| || '''선로 수''' ||[[복선(철도)|2]] ([[제천역]]~[[입석리역]])[br][[단선(철도)|1]] ([[입석리역]]~[[백산역]])|| || '''개업일''' ||'''[[1949년]]''' [[11월 16일]] ([age(1949-11-16)]주년)[* 제천 ~ 송학 간 임시개통선]|| || '''운영노선''' ||[[ITX-마음]] · [[무궁화호]] (제천~태백삼각선)[br][[정선아리랑열차]] (제천~민둥산)[br][[화물열차]]||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bDBnPzLz8k)]}}} || || {{{#ffffff '''[[ITX-마음|{{{#FFFFFF ITX-마음}}}]] [[동해역|{{{#FFFFFF 동해}}}]] ~ [[청량리역|{{{#FFFFFF 청량리}}}]] 전면 주행 영상'''}}} ||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역]]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백산역]]을 연결하는 [[철도]]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최초로 신설된 간선철도'''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다. [[함백선]]과 병주하는 구간을 제외하면 복선구간은 아예 없었으나 2013년 11월 14일에 제천 ~ 입석리(13.7km)간이 이설되면서 '''개통 64년''' 만에 신설[* [[https://www.yna.co.kr/view/AKR20131112048200064|7년 걸린 태백선 제천~쌍용 복선전철 완공]]]되었다. 특징은 화물열차 비중이 매우 높고[* 여객열차 12편(상행 6편, 하행 6편)을 제외하면 전부 화물열차다.], 선로가 대한민국에서 제일 험난하다는 것[* 해발 1,268m인 두문동재를 넘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태백시]]내도 해발 1,100m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해발고도가 높은 구간을 지난다는 것이다. 부설 목적부터가 이미 [[석탄]], [[텅스텐]], [[시멘트]] 수송이다. 그 때문에 1974년에 일찍이 전철화했고 지금도 [[전기 기관차]] 위주로 운행한다. [youtube(HTIGKmnpIpY)] 예미역과 조동역 사이에는 30퍼밀짜리 구간이 있다. [[추전역]]은 해발 855m로 실효 지배중인 [[대한민국]] 영역에서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역이다. 실제로 지나갈 때 귀가 멍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다만 태백선 [[철도]] 자체는 이 일대에서 '''해발 고도가 가장 낮은 지역'''만 다닌다. 정선(민둥산)-태백을 잇는 '''두문동재는 해발 1,268m'''[* 두문동재 정상(구 [[38번 국도]]) 기준. 2022년 기준 현 38번 국도에 있는 두문동재터널의 높이는 1,048m.]에 달하는데 철도는 두문동재를 넘지 못해 [[터널]]을 뚫었기 때문이다. [[38번 국도]]를 [[자동차]]로 타고 다니다 보면 태백선 철도가 '''한참 아래에''' 보인다. 현재 제천 ~ 태백은 무궁화호 기준 1시간 50분이 걸리며, 청량리 - 원주 - 제천 - 태백 - [[동해역|동해]]까지 운행하는 무궁화호가 경유한다. 주요 경유지는 [[제천역|제천시]] - [[영월역|영월군]] - [[민둥산역|민둥산]] - [[고한역|고한읍]] - [[태백역|태백시]](구 황지역)이며, 제천역에서 [[중앙선]] 및 [[충북선]]과, 태백시 [[백산역]]에서 [[영동선]]과, 그리고 정선군 민둥산역에서 [[정선선]]과 접속한다. 중앙선과 영동선을 빠르게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이며, [[충북선]]과 비슷하다. [[38번 국도]]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제천 ~ 동해]과 선형이 비슷하며, 철도판 38번 국도라고 불러도 될 수준이다. 다만, 선형은 도로가 더 한 수 위라 철도가 뒤쳐지기도 한다. 4,505m로 한때 한국에서 가장 긴 터널이던 정암터널[* 전라선 슬치터널 관통 후 콩라인으로 밀렸고 금정터널, 솔안터널, 대관령터널, 율현터널이 개통한 뒤 순위에서 밀려났다.]이 고한역과 [[추전역]] 사이에 있다. 태백선에서 두 번째로 길다. 복선화 구간의 송학터널([[제천역]] ~ [[입석리역]])이 '''5,985m'''로 제일 길기 때문. 험지를 지나가다보니 [[영동선]]과 마찬가지로 BT급전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 때문에 변압기 용량이 작고 급전구간이 4km 내외로 짧다. 그래서 8000호대가 대거 운용되던 과거에는 열차간 교행 시 정거장에 먼저 도착한 열차가 MCB를 차단하고 대기하였다고 하며, 이는 8000호대가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고조파(高調波), 전압강하 등에 의해 같은 섹션내 전기차량의 전기·전자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 역사 == 의외로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67년에 신설된 정선선도 역사에 포함하였다. * 1937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충북선 연장으로 충주 ~ 제천 ~ 영월 간 허가를 받았으나 실행되지 못함. * [[1949년]] [[11월 16일]]: 제천 ~ 송학 간 임시개통[*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올라가면 당해 4월에 해당 노선 착공 논의가 나온다. 적어도 공사에 7개월이 소요됨을 알 수 있으며, 개통 기사에서도 급속도로 지어졌음을 언급한다.]을 시작으로 영월선 착공. * 1953년 1월: 영월선 공사 재개 * 1953년 9월 21일: 입석리역, 쌍룡역 개업 * 1955년 9월 10일: 연당역 개업 * 1956년 1월 17일: 영월선(제천 ~ 영월) 개통 * 1957년 3월 10일: 함백선(영월 ~ 함백) 개통 * 1962년 12월 10일: 황지지선[* 황지 본선은 통리 ~ 심포리 구간으로, 인클라인 대체 목적으로 1963년에 개통된 뒤 영동선으로 통합되었다.](백산 ~ 황지) 개통 * 1964년 4월 1일: 정양선(영월화력선) 개통 * 1966년 1월 15일: 고한선(자미원 ~ 사북) 개통 * 1966년 1월 19일: 고한역 개업 * 1967년 1월 20일: 정선선(증산 ~ 별어곡) 개통으로 예미 ~ 함백 구간은 함백지선으로 분리 및 개명 * 1967년 6월 1일: 장락역 개업 * 1967년 12월 30일: 정선선 별어곡 ~ 정선 구간 연장 개통 * 1969년 10월 15일: 정선선 나전역 연장 개통 * 1971년 5월 21일: 정선선 아우라지역 연장 개통 * 1973년 2월 28일: 정암터널 준공 * 1973년 11월 10일: 고한 ~ 황지 구간 개통을 끝으로 모든 노선을 통합하여 최종 개명 * 1974년 6월 20일: 제천 ~ 백산 구간 전철화 완료, [[8000호대 전기기관차]] 운행개시 * 1974년 12월 20일: 구절리역 연장 개통을 끝으로 정선선 완공 * 1975년 11월 3일: 고한 ~ 백산 구간 전철화 완료 * 1977년 3월 1일: 두평역 개업 * 1977년 8월 13일: ATS 완공 * 1978년 1월 1일: 청령포신호장 개업 * 1980년 11월 1일: [[EEC 전동차|우등열차]] 운행개시 * 1984년 4월 10일: CTC 완공 * 1984년 12월 1일: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개명 * 1990년 3월 15일: [[새마을호]] 운행개시 * 1994년 11월 9일: 청령포 ~ 영월 구간을 직선화 및 이설 완료[* 1990년 9월 11일에 대홍수로 '''철교가 붕괴'''되어 영월 이북 구간이 임시 휴업에 들어간 지 4년만에 복구되었다.] * 1995년 2월 16일: 두평역이 탄부역으로 개명 * 2004년 3월 31일: 통일호 운행종료 * 2006년 11월 1일: 새마을호 운행종료 * 2007년: 정양선 폐선 * 2008년 1월 1일: 장락역, 송학역, 함백역 여객취급 중지 및 신호장으로 운영 개시 * 2008년 3월 10일: 탄부역, 연하역 여객취급 중지와 동시에 신호장으로 완전 격하[* 탄부역은 편의상 역으로 불릴 뿐 '''단 한번도 무배치간이역으로조차 승격된 적이 없다.'''] * 2008년 12월 1일: 입석리역 여객취급 중지 * 2009년 7월 1일: 연당역, 석항역, 문곡역 여객취급 중지 및 신호장으로 운영 개시 * 2009년 9월 1일: 증산역이 민둥산역으로 개명 * 2012년 6월 3일: 자미원역 여객취급 중지 * 2012년 11월 1일: 백산역 여객취급 중지 * [[2013년]] [[11월 14일]]: 제천 ~ 입석리 간 복선전철화 공사 완료와 동시에 장락역, 송학역 폐역 * 2015년 6월 1일: 추전역 여객취급 중지 * 2017년 12월 18일: 추전역 화물취급 중지 * 2020년 3월 2일: 누리로 운행 개시 * 2020년 12월 31일: 석항역 화물취급 중지 * 2021년 1월 5일: 누리로 운행종료 및 무궁화호로 환원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 개시[* 해당 항목에 나오듯 강원도가 부담금을 내서 예정보다 5년 일찍 투입되는 것이다.] == 수요 == 구간 수요(제천 ~ 영월, 영월 ~ 태백)는 제법 높다. 병행하는 [[38번 국도]]가 4차로로 개량되었지만, [[영암고속]]과 [[화성고속]]이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요금이 3만원 가량으로 무궁화호(청량리-태백)요금의 2배 이상이고, 시간 차이도 크지 않기 때문에 절반은 채우고 다닌다. 하지만 경강선(강릉선 KTX) 개통으로 이용객이 적은 청량리 ~ 동해 간 열차 승객 중 이 구간 하차객은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더군다나 성수기나 연말연시(12월 31일)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나마 인근 [[제천시]], [[원주시]] 통근수요와 자체 관광수요가 있는 [[영월역]], [[강원랜드]]가 있는 [[사북역]], [[고한역]], 가장 많은 인원이 승하차하는 [[태백역]]이 기대를 걸 만하다. [[태백역]]부터 [[동해역]]까지는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이다. 단 휴가철과 겨울 시즌 제외.[* 여름에는 사람이 매우매우 많으며 겨울에는 임시열차까지(!) 편성되니 말 다했다.] [[대한민국]]에서 20세기에 마지막으로 건설된 간선 철도 노선이다. 이후 2004년에 [[경부고속선]]이 개통할 때까지 없었다. 이후 [[경인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그리고 '''[[영동고속도로]]'''가 등장하여 앙크 축(♀)[* 정확히 말하면 이걸 거꾸로 돌린 古.] 간선 고속도로망이 건설된다. 한국 [[철도]]는 [[경부선]]만 빼고 끝이 안 보이는 나락의 구멍으로 빨려 들어간다. 특히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이설은 태백선 여객 수요에 치명타를 때려 버렸다. [[현실은 시궁창]]이었으나 2013년 4월 [[중부내륙순환열차]] 개통 후 관광수요를 잡는 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2015년 6월 1일부터는 경부선→충북선→중앙선[* 영주에서 방향 전환.]→영동선 순으로 운행한다. [[정선아리랑열차]]와 대부분 구간이 겹치기 때문. 결국 아예 없어지고 말았다. 2018년 12월 28일부터 중앙선·태백선 무궁화호가 4량으로 감차된다. 자세한 사항은 [[무궁화호#s-10|여기]] 참고. 하여튼, 망한 노선으로 떠오르지만 적어도 서부[[경전선]], [[정선선]], [[영동선]], [[경북선]][* 경북선도 수요가 더럽게 안 나온다고 하기는 뭐한 게, 선로가 아무리 불량이어도 김천, 상주, 점촌, 영주 수요가 많다. 모두 일 이용객 300명 이상, 연 이용객 10만명은 나온다. 더군다나 김천 ~ 점촌 구간은 [[문경선]]과 더불어 차후 중부내륙선과 남부내륙선을 직결하기 위해 개량이 필수이기에, 적어도 미래는 안 어둡다. 다만 [[함창역]], [[용궁역]] 등은 전부 [[공기수송]].]보단 낫다는 것. 그래도 과거엔 잘 나가던 노선이었다. 태백선 연선은 광산이 많아 산업화의 영향을 빨리 받았고, 덕분에 전철화가 빨리 되어 [[8000호대 전기기관차]]나 [[EEC 전동차]] 같은 게 돌아다녔다. 거기에 광부들이 떼돈을 벌면서 이 일대에 부촌이 형성되었고, 여객수요도 그만큼 많았다. 초창기 무궁화호는 지금과는 달리 중산층이 주로 탔고 어느 정도 큰 데나 서는 열차였는데,[* 1984년 무궁화호는 경부선 대전 이북 기준으로 서울-영등포-수원-천안-조치원-대전'''만''' 정차했다.] 이 노선이 지나는 영월, 정선에는 매우 이례적으로 관내 3~4개나 되는 역에 무궁화호가 정차했다.[* 영월군 3개(쌍룡역, 영월역, 석항역), 정선군 4개(예미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태백시도 무궁화호 정차역이 2개나 있었다(태백역, 통리역).] 그 정도로 수익이 나오던 노선이 석탄산업 합리화정책 때문에 사람들이 빠져나가며 이렇게까지 된 것. 2020년 3월 2일부터 무궁화호 대다수가 누리로로 대체된다.[* 무궁화호는 왕복 1회만 운행한다.] 그리고 KTX 운행에 따른 강릉역 선로용량 확보, 회차의 어려움등을 이유로 동해역으로 단축하였고 영동선 단거리 누리로 열차가 신설되어 강릉역과 동해역을 잇는다.[* 정차역도 단순하게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가 끝이다.]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한 집중호우로 토사가 유입되는 바람에 지나가는 모든 열차가 운행 중지되었다. 근데 한반도 동쪽을 훑고 지나간 태풍 제 9호 [[마이삭(2020년 태풍)|마이삭]]의 영향으로 다시 유입되어 전 구간 운행이 '''또''' 중단되었다. 2021년 1월 5일 시간표 개정으로 모든 누리로 열차가 다시 무궁화호로 환원되며 동시에 청량리 ~ 동해 열차 1왕복이 제천으로 단축된다.[* 하필 없어진 열차가 정동진 일출을 보려면 꼭 타야 하는 #1641이었다. 개편에 따라 더 이상 경유하는 심야열차는 없으며 대신 기존 #1637, #1639 열차 시간이 늦춰졌다.] 따라서 청량리 ~ 동해 열차는 5왕복, 제천 ~ 동해 열차는 1왕복 운행한다.[* 이 과정에서 #1641, #1642는 4량에서 3량으로 조정되었고, 카페객차가 연결된다. 2년만에 태백선 카페객차가 부활했었으나 내구연한으로 빠졌다.] 2022년 7월 3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시간표 개정에 따라 주말에 한해 청량리 - 동해 1왕복이 감편되고, 제천 - 동해 1왕복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이조치는 단순히 셔틀화가 아닌 강릉선 무정차 KTX-이음 신설로 인한 선로용량 포화로 어쩔수 없이 단축시킨것을 감안해야한다.] 시간표 구성을 보면 KTX 이음으로 제천역에서 환승시키도록 시간표를 구성했었는데, 장기적으로 제천착발로 번경될것으로 보인다. 입석리역부터는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1|단선]]구간이기 때문에 마주오는 열차랑 교행도 하기 때문에 지연되는 경우가 잦다. 반면 쌍룡역을 지나 청량리까지는 빨리 달리기 때문에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원래 청량리역에서 제천역까지 복선이었으나 2013년 시멘트 및 무연탄 등의 원활한 철도 수송을 목적으로 입석리역 구간까지만 복선화했기 때문이다.] 2023년 9월 1일부터 [[ITX-새마을]]과 동급인 [[ITX-마음]]이 태백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복선전철화 == === 제천-입석리 복선전철화 === [[쌍룡역]] 일대의 [[시멘트]] 수송을 위해 [[2003년]] 복선전철화 사업을 착공, [[2013년]] [[장락역]], [[송학역(태백선)|송학역]]을 폐역하고 입석리역까지 복선전철화를 완료하였다. === 입석리-도계-강릉(태백영동선) 복선전철화 === [[2020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국가철도공단]]에서 끼워넣은 사업'''. 여객영업 감소에 따라 태백선을 눈엣가시 취급하고 있는 [[한국철도공사]]와 협의 없이 철도공단 측에서 자체적으로 사업을 끼워넣었다고 한다.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삼척시]] 연장이 눈 앞에 닥쳐오자 국가철도공단이 '''[[철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강원도]]의 요청이 들어오기 전에 선수를 쳐서 태백선 복선전철화 사업을 [[국토교통부]]에 요청하였다. 정확히는 태백[[영동선]] 복선전철화 사업인데, 해당 사업은 태백선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남강릉역]]-[[강릉역]]까지 복선전철화를 하는 계획이기 때문이다. 제천-삼척 고속도로가 [[2031년]] 개통 예정인데, 태백영동선 사업은 제천삼척고속도로와 동시인 [[2025년]] 착공,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2년]]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태백영동선 복선전철화 사업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를 진행중이며, [[2023년]] 상반기에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해당 노선은 입석리-쌍룡-영월-연하-석항-예미-자미원-민둥산-사북-고한-태백-동백산만 존치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연당, 청령포, 탄부, 조동, 함백(함백선), 추전, 문곡이 폐역된다.] 이후로 동백산-도계-하고사리-신기-미로-도경리-동해-강릉까지 이어지며, 미로에서 [[삼척선]]으로 빠지는 삼각선도 설치할 예정이다. 해당 태백영동 노선은 급경사로 인해 현재 [[철도]]가 다닐 수 있는 '''그나마 가장 최선의 수직 선형'''이기 때문에, [[경부선|기존선을 그대로 복선화하는 계획]]이다.[* [[호남선]] 대전조차장 - 익산 구간 또한 기존선에서 큰 이설 없이 그대로 복선화한 구간이 많다.] [[중앙선]] 복선전철화 계획처럼 줄줄이 폐역이 생기지는 않을 예정이다. == 이용객 수 == === 연간 이용객 === '''2016년 기준''' 중앙·태백·영동선(청량리-제천-강릉 계통) 역 등급별 총 이용객 숫자를 나타낸 표이다. 출처는 2016년 철도통계연보이며, 승하차 수 밑 숫자는 전년(2015년) 대비 비율이다. 증가는 {{{#blue 청색}}}, 감소는 {{{#red 적색}}}으로 표기하였고 10% 이상 변동 시 '''볼드''' 처리한다. ||<-10> {{{#fff ''' 2016년 중앙·태백·영동선 이용객 수 (총합)'''}}} || || ||<-3> 승차 ||<-3> 하차 || 승차+하차 || || 역 목록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승차합계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하차합계 || 승하차 총합 || || [[청량리역]] || 174,285 [br] {{{#red -6.4%}}} || 1,649,536 [br] {{{#red -4.5%}}} || 1,823,821 [br] {{{#red -4.6%}}} || 198,122 [br] {{{#blue +4.3%}}} || 1,583,625 [br] {{{#red -3.6%}}} || 1,781,747 [br] {{{#red -2.7%}}} || __'''3,605,568'''__ [br] {{{#red __-3.7%__}}} || || [[망우역]] || 96 || 403 || 499 || 96 || 403 || 499 || __'''998'''__ || || [[도농역]] || 88 || - || 88 || 88 || - || 88 || __176__ || || [[덕소역]] || 3,289 || 31,978 [br] {{{#red -1.7%}}} || 35,267 [br] {{{#blue +3.0%}}} || 3,421 || 32,659 [br] {{{#red -1.7%}}} || 36,080 [br] {{{#blue +3.3%}}} || __'''71,347'''__ [br] {{{#blue __+3.1%__}}} || || [[양수역]] || - || 21 || 21 || - || 21 || 21 || __42__ || || [[국수역]] || - || 13 || 13 || - || 13 || 13 || __26__ || || [[양평역(중앙선)|양평역]] || 32,087 [br] {{{#blue +1.4%}}} || 381,743 [br] {{{#red -5.6%}}} || 413,830 [br] {{{#red -5.1%}}} || 35,708 [br] {{{#red -4.4%}}} || 384,925 [br] {{{#red -5.9%}}} || 420,633 [br] {{{#red -5.8%}}} || __'''834,463'''__ [br] {{{#red __-5.4%__}}} || || [[용문역(중앙선)|용문역]] || - || 102,227 [br] {{{#red -3.4%}}} || 102,227 [br] {{{#red -3.4%}}} || - || 102,596 [br] {{{#red -3.6%}}} || 102,596 [br] {{{#red -3.6%}}} || __'''204,823'''__ [br] {{{#red __-3.5%__}}} || || [[지평역]] || - || 23,039 [br] {{{#red -3.3%}}} || 23,039 [br] {{{#red -3.3%}}} || - || 21,236 [br] {{{#red -1.8%}}} || 21,236 [br] {{{#red -1.8%}}} || __'''44,275'''__ [br] {{{#red __-2.6%__}}} || || [[석불역]] || - || 664 [br] '''{{{#red -18.6%}}}''' || 664 [br] '''{{{#red -18.6%}}}''' || - || 1,044 [br] '''{{{#red -14.8%}}}''' || 1,044 [br] '''{{{#red -14.8%}}}''' || __'''1,708'''__ [br] {{{#red __'''-16.3%'''__}}} || || [[일신역]] || - || 5,321 [br] {{{#red -8.5%}}} || 5,321 [br] {{{#red -8.5%}}} || - || 6,418 [br] {{{#red -6.2%}}} || 6,418 [br] {{{#red -6.2%}}} || __'''11,739'''__ [br] {{{#red __-7.3%__}}} || || [[매곡역]] || - || 6,631 [br] {{{#red -2.4%}}} || 6,631 [br] {{{#red -2.4%}}} || - || 6,469 [br] {{{#red -0.06%}}} || 6,469 [br] {{{#red -0.06%}}} || __'''13,100'''__ [br] {{{#red __-1.3%__}}} || || [[양동역]] || 21 || 95,816 [br] {{{#red -0.13%}}} || 95,837 [br] {{{#red -0.65%}}} || 296 || 100,213 [br] {{{#red -1.7%}}} || 100,509 [br] {{{#red -1.4%}}} || __'''196,346'''__ [br] {{{#red __-1.0%__}}} || || [[삼산역]] || - || 1,269 [br] '''{{{#red -36.4%}}}''' || 1,269 [br] '''{{{#red -36.4%}}}''' || - || 1,280 [br] '''{{{#red -23.0%}}}''' || 1,280 [br] '''{{{#red -23.0%}}}''' || __'''2,549'''__ [br] {{{#red __'''-30.3%'''__}}} || || [[동화역]] || 89 || 29,104 [br] '''{{{#blue +19.1%}}}''' || 29,193 [br] '''{{{#blue +19.4%}}}''' || 89 || 25,684 [br] '''{{{#blue +18.7%}}}''' || 25,773 [br] '''{{{#blue +19.0%}}}''' || __'''54,966'''__ [br] {{{#blue __'''+19.2%'''__}}} || || [[원주역]] || 92,546 [br] {{{#blue '''+12.9%'''}}} || 838,630 [br] {{{#red -2.5%}}} || 931,176 [br] {{{#red -1.2%}}} || 77,419 [br] {{{#blue +4.5%}}} || 849,000 [br] {{{#red -2.9%}}} || 926,419 [br] {{{#red -2.3%}}} || __'''1,857,595'''__ [br] {{{#red __-1.8%__}}} || || [[반곡역]] || - || 28,576 [br] '''{{{#blue +115.5%}}}''' || 28,576 [br] '''{{{#blue +115.5%}}}''' || - || 28,972 [br] '''{{{#blue +108.6%}}}''' || 28,972 [br] '''{{{#blue +108.6%}}}''' || __'''57,548'''__ [br] {{{#blue __'''+111.9%'''__}}} || || [[신림역]] || - || 6,622 [br] {{{#red -4.9%}}} || 6,622 [br] '''{{{#red -12.9%}}}''' || - || 6,068 [br] '''{{{#red -15.2%}}}''' || 6,068 [br] '''{{{#red -22.2%}}}''' || __'''12,690'''__ [br] {{{#red __'''-17.6%'''__}}} || || [[제천역]] || 52,812 [br] {{{#red -9.0%}}} || 712,295 [br] {{{#red -9.3%}}} || 765,107 [br] {{{#red -9.3%}}} || 38,265 [br] '''{{{#red -21.7%}}}''' || 734,264 [br] {{{#red -9.0%}}} || 772,529 [br] {{{#red -9.7%}}} || __'''1,537,636'''__ [br] {{{#red __-9.5%__}}} || || [[쌍룡역]] || - || 1,670 [br] '''{{{#red -12.0%}}}''' || 1,670 [br] '''{{{#red -12.0%}}}''' || - || 1,009 [br] {{{#red -6.9%}}} || 1,009 [br] {{{#red -6.9%}}} || __'''2,679'''__ [br] {{{#red __'''-10.1%'''__}}} || || [[영월역]] || 3,135 [br] '''{{{#red -45.8%}}}''' || 80,258 [br] '''{{{#red -13.4%}}}''' || 83,393 [br] '''{{{#red -15.3%}}}''' || 3,083 [br] '''{{{#red -37.8%}}}''' || 77,873 [br] '''{{{#red -14.1%}}}''' || 80,956 [br] '''{{{#red -15.3%}}}''' || __'''164,349'''__ [br] {{{#red __'''-15.3%'''__}}} || || [[예미역]] || 378 [br] {{{#red -2.6%}}} || 18,202 [br] {{{#red -5.4%}}} || 18,580 [br] {{{#red -5.4%}}} || 373 [br] '''{{{#blue +11.7%}}}''' || 15,832 [br] '''{{{#red -10.7%}}}''' || 16,205 [br] '''{{{#red -10.2%}}}''' || __'''34,785'''__ [br] {{{#red __-7.7%__}}} || || [[민둥산역]] || 2,625 [br] '''{{{#red -63.3%}}}''' || 26,721 [br] '''{{{#red -10.4%}}}''' || 29,346 [br] '''{{{#red -20.6%}}}''' || 5,729 [br] '''{{{#red -61.1%}}}''' || 29,129 [br] '''{{{#red -18.0%}}}''' || 34,858 [br] '''{{{#red -30.6%}}}''' || __'''64,204'''__ [br] {{{#red __'''-26.4%'''__}}} || || [[사북역]] || - || 81,403 [br] {{{#red -9.9%}}} || 81,403 [br] {{{#red -9.9%}}} || - || 79,813 [br] {{{#red -6.3%}}} || 79,813 [br] {{{#red -6.3%}}} || __'''161,216'''__ [br] {{{#red __-8.2%__}}} || || [[고한역]] || - || 40,905 [br] '''{{{#red -12.1%}}}''' || 40,905 [br] '''{{{#red -12.1%}}}''' || - || 37,277 [br] '''{{{#red -16.2%}}}''' || 37,277 [br] '''{{{#red -16.2%}}}''' || __'''78,182'''__ [br] {{{#red __'''-16.1%'''__}}} || || [[태백역]] || 4,970 [br] '''{{{#red -27.8%}}}''' || 134,578 [br] '''{{{#red -14.2%}}}''' || 139,548 [br] '''{{{#red -14.7%}}}''' || 4,967 [br] '''{{{#red -26.8%}}}''' || 137,866 [br] '''{{{#red -13.8%}}}''' || 142,833 [br] '''{{{#red -14.4%}}}''' || __'''282,381'''__ [br] {{{#red __'''-14.5%'''__}}} || || [[동백산역]] || 1 || 12,316 [br] '''{{{#red -27.5%}}}''' || 12,317 [br] '''{{{#red -27.5%}}}''' || 1 || 11,712 [br] '''{{{#red -10.5%}}}''' || 11,713 [br] '''{{{#red -10.5%}}}''' || __'''24,030'''__ [br] '''{{{#red __-20.1%__}}}''' || || [[도계역]] || 308 || 75,775 [br] '''{{{#red -11.0%}}}''' || 76,083 [br] '''{{{#red -10.7%}}}''' || 308 || 71,748 [br] '''{{{#red -10.6%}}}''' || 72,056 [br] '''{{{#red -10.3%}}}''' || __'''148,139'''__ [br] {{{#red __'''-10.5%'''__}}} || || [[신기역(영동선)|신기역]] || 21 || 5,269 [br] {{{#red -2.2%}}} || 5,290 [br] {{{#red -1.8%}}} || 21 || 2,045 [br] {{{#blue +7.0%}}} || 2,066 [br] {{{#blue +8.1%}}} || __'''7,356'''__ [br] {{{#blue __+0.81%__}}} || || [[동해역]] || 998 [br] '''{{{#red -35.1%}}}''' || 92,271 [br] '''{{{#red -14.7%}}}''' || 93,269 [br] '''{{{#red -15.0%}}}''' || 486 [br] '''{{{#red -51.6%}}}''' || 98,594 [br] '''{{{#red -14.0%}}}''' || 99,080 [br] '''{{{#red -14.3%}}}''' || __'''192,349'''__ [br] {{{#red __'''-14.7%'''__}}} || || [[묵호역]] || 12 || 68,588 [br] {{{#red -7.2%}}} || 68,600 [br] {{{#red -7.7%}}} || 12 || 63,849 [br] {{{#red -3.0%}}} || 63,861 [br] {{{#red -3.6%}}} || __'''132,461'''__ [br] {{{#red __-5.8%__}}} || || [[망상역]] || 236 || 2,676 [br] '''{{{#red -12.5%}}}''' || 2,912 [br] {{{#red -4.8%}}} || 540 || 3,726 [br] '''{{{#blue +21.9%}}}''' || 4,266 [br] '''{{{#blue +39.6%}}}''' || __'''7,178'''__ [br] {{{#blue __'''+17.4%'''__}}} || || [[정동진역]] || 4,257 [br] '''{{{#red -47.4%}}}''' || 155,943 [br] '''{{{#red -12.9%}}}''' || 160,200 [br] '''{{{#red -14.4%}}}''' || 5,320 [br] '''{{{#red -43.1%}}}''' || 217,043 [br] '''{{{#red -17.6%}}}''' || 222,363 [br] '''{{{#red -18.4%}}}''' || __'''382,563'''__ [br] {{{#red __'''-16.8%'''__}}} || === 일일 이용객 === '''2016년 기준''' 중앙·태백·영동선(청량리-제천-강릉 계통) 역의 등급별 일평균 이용객 숫자를 나타낸 표이다. 출처는 2016년 철도통계연보이다. 일평균 2천명 이상 이용하는 경우 '''볼드'''체로 표시한다. ||<-10> {{{#fff ''' 2016년 중앙·태백·영동선 이용객 수 (일평균)'''}}} || || 역 목록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승차 || 하차 || 승하차 || || '''[[청량리역]]''' || 1,018 || '''8,834''' || 4,983 || 4,868 || __'''9,851'''__ || || [[덕소역]] || 18 || 177 || 96 || 99 || __195__ || || '''[[양평역(중앙선)|양평역]]''' || 185 || 2,095 || 1,131 || 1,149 || __'''2,280'''__ || || [[용문역(중앙선)|용문역]] || - || 560 || 279 || 280 || __560__ || || [[지평역]] || - || 121 || 63 || 58 || __121__ || || [[석불역]] || - || 5 || 2 || 3 || __5__ || || [[일신역]] || - || 32 || 15 || 18 || __32__ || || [[매곡역]] || - || 36 || 18 || 18 || __36__ || || [[양동역]] || - || 536 || 262 || 274 || __536__ || || [[삼산역]] || - || 7 || 3 || 3 || __7__ || || [[동화역]] || - || 150 || 80 || 70 || __150__ || || '''[[원주역]]''' || 464 || 4,611 || 2,544 || 2,531 || __'''5,075'''__ || || [[반곡역]] || - || 157 || 78 || 79 || __157__ || || [[신림역]] || - || 35 || 18 || 17 || __35__ || || '''[[제천역]]''' || 249 || 3,952 || 2,090 || 2,111 || __'''4,201'''__ || || [[쌍룡역]] || - || 7 || 5 || 3 || __7__ || || [[영월역]] || 17 || 432 || 228 || 221 || __449__ || || [[예미역]] || 2 || 93 || 51 || 44 || __95__ || || [[민둥산역]] || 23 || 153 || 80 || 95 || __175__ || || [[사북역]] || - || 440 || 222 || 218 || __440__ || || [[고한역]] || - || 214 || 112 || 102 || __214__ || || [[태백역]] || 27 || 744 || 381 || 390 || __772__ || || [[동백산역]] || - || 66 || 34 || 32 || __66__ || || [[도계역]] || 2 || 403 || 208 || 197 || __405__ || || [[신기역(영동선)|신기역]] || - || 20 || 14 || 6 || __20__ || || [[동해역]] || 4 || 521 || 255 || 271 || __526__ || || [[묵호역]] || - || 362 || 187 || 174 || __362__ || || [[망상역]] || 2 || 17 || 8 || 12 || __20__ || || [[정동진역]] || 26 || 1,019 || 438 || 608 || __1,045__ || == [[한국철도공사/역명코드|ARS]] == || '''{{{#98e1eb 역명코드}}}''' || '''{{{#98e1eb 한글}}}''' || '''{{{#98e1eb 한자}}}''' || '''{{{#98e1eb 로마자}}}''' || '''{{{#98e1eb 비고}}}''' || || 0093 || [[제천역|{{{#fff 제 천}}}]] || 堤 川 || Jecheon || 고속[* [[중앙선]]], 정차 || || 0194 || [[입석리역|입석리]] || 立石里 || Ipseok-ri || || || 0116 || [[쌍룡역|{{{#fff 쌍 룡}}}]] || 雙 龍 || Ssangnyong || 정차 || || 0195 || [[연당역|연 당]] || 淵 堂 || Yeondang || || || 0719 || [[청령포신호장|청령포]] || 淸泠浦 || Cheongnyeongpo || || || 0117 || [[영월역|{{{#fff 영 월}}}]] || 寧 越 || Yeongwol || 정차 || || 0720 || [[탄부신호장|탄 부]] || 炭 釜 || Tanbu || || || 0448 || [[연하신호장|연 하]] || 蓮 下 || Yeonha || || || 0118 || [[석항역|석 항]] || 石 項 || Seokhang || || || 0119 || [[예미역|{{{#fff 예 미}}}]] || 禮 美 || Yemi || 정차 || || 0721 || [[조동신호장|조 동]] || 鳥 洞 || Jodong || || || 0197 || [[자미원역|자미원]] || 紫味院 || Jamiwon || || || 0120 || [[민둥산역|{{{#fff 민둥산}}}]] || 민둥山 || Mindungsan || 정차 || || 0121 || [[사북역|{{{#fff 사 북}}}]] || 舍 北 || Sabuk || 정차 || || 0122 || [[고한역|{{{#fff 고 한}}}]] || 古 汗 || Gohan || 정차 || || 0449 || [[추전역|추 전]] || 杻 田 || Chujeon || || || 0123 || [[태백역|{{{#fff 태 백}}}]] || 太 白 || Taebaek || 정차 || || 0124 || [[문곡역|문 곡]] || 文 曲 || Mungok || || || 0167 || [[백산역|백 산]] || 栢 山 || Baeksan || || == [[/역 목록|역 목록]] == 자세한 내용은 [[태백선/역 목록]] 문서로. == 지선 철도 ==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 노선번호 || 노선명 || 기종점 || 거리 || 역수 || || 31501 || [[함백선]] || [[예미역]]↔[[조동신호장|조동역]] || 9.6㎞ || 3 || || 31502 || [[정선선]] || [[민둥산역]]↔[[구절리역]] || 45.9㎞ || 7 || || 31503 || [[태백삼각선]] || [[문곡역]](태백선)↔[[동백산역]](영동선) || 0.8㎞ || 2 || 총 3개 지선이 있다.[* [[정양선]]이라는 화물 노선도 있었으나 발전소 가동 중지로 폐선되었다.] == 기타 ==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태백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10> {{{#ffffff 2022년 태백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제천 - 입석리 || 163 || 0 || 7 || 18 || 25 || || 입석리 - 쌍용 || 65 || 0 || 7 || 8 || 15 || || 쌍용 - 예미 || 47 || 0 || 7 || 5 || 12 || || 예미 - 민둥산 || 40 || 0 || 7 || 5 || 12 || || 민둥산 - 백산 || 36 || 0 || 6 || 5 || 11 || 2021~2022년쯤에 태백삼각선분기 ~ 백산 구간 중 "백산교"가 개량공사에 들어갔다. [[분류:태백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