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태고의 달인 시리즈/수록곡)] [include(틀:태고의 달인)] || 이 문서는 업데이트가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 용으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 태고의 달인 수록곡 중 클래식 곡을 따로 정리해 놓은 항목. PSP의 태고의 달인 포터블 2의 클래식 곡은 총 26곡으로. 30곡인 남코 오리지널 다음으로 많았다. 그 외의 작품들에서는 평균 10곡 정도가 수록되어 있다. * 2곡 이상 수록된 작곡가의 곡 및 메들리는 1번에 묶어서, 단일 곡은 2번에 놓습니다. * 대부분의 작곡가가 한글명으로 리그베다 위키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아티스트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해 씁니다. [[태고의 달인 시리즈/수록곡/J-POP|J-POP 쪽]]의 아티스트들과 달리 이름의 해석 차이가 별로 없기 때문에,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널리 알려진 이름을 토대로 한글로 적습니다. * 표에서는 태고의 달인 게임 내에서 먼저 나온 곡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 [[신 태고의 달인]] 최신 버전 기준으로 삭제된 곡은 괄호를 씌워 (신)으로 표기합니다. 또한 일부 기종의 경우 기간한정으로 배포되어 최신 버전에서 다운로드 및 플레이가 불가능한 곡이 있습니다. 이 곡들 역시 괄호를 씌워 표기합니다. [목차] = 2곡 이상 수록된 작곡가의 곡 or 메들리 = == 구스타브 홀스트 == 곡은 모두 [[행성(관현악)|행성]]에서 가져왔다. |||||||||||||||||||||||||||||||| '''홀스트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PS VITA || Wii || Wii U || NDS || 3DS || SW || iOS || ||<|2> 木星 || {{{#e34b07 5}}} || {{{#31ae13 5}}} || {{{#0a8298 5}}} || {{{#b611c1 5}}} || {{{#ba9c00 X}}} || X || X || 1 || X || 4 || X || X || X || ? || X || |||||||||||||||||||||||||||||||| 모음곡 행성 중 목성. || ||<|2> 火星 || {{{#e34b07 4}}} || {{{#31ae13 5}}}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X || X || X || X || 5 || X || X || X || ? || X || |||||||||||||||||||||||||||||||| 모음곡 행성 중 화성.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 '''베토벤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第九交響曲 || {{{#e34b07 3}}} || {{{#31ae13 3}}} || {{{#0a8298 3}}} || {{{#b611c1 6}}} || {{{#ba9c00 X}}} || 12A/신A || 2 || DX || 1,5 || X || 3 || 2 || X || ?? || |||||||||||||||||||||||||||||||| [[교향곡 제9번(베토벤)]]. || ||<|2> 交響曲第五番 「運命」 || {{{#e34b07 4}}} || {{{#31ae13 5}}}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5,6/12A || 3,TDM || 2DL || 2 || X || 2 || X || O || ?? || |||||||||||||||||||||||||||||||| [[교향곡 제5번(베토벤)]]. || ||<|2> トルコ行進曲 || {{{#e34b07 3}}} || {{{#31ae13 5}}}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X || 7 || X || X || X || 3 || X || X || ?? || |||||||||||||||||||||||||||||||| 모차르트의 것과 같은 이름이지만 전혀 다른 곡으로, "아테네의 폐허(Op. 113)" 중 서곡 제외 네 번째 곡이다. || ||<|2> 交響曲第7番から || {{{#e34b07 3}}} || {{{#31ae13 4}}}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신A || X || X || 3 || X || 1 || X || X || ?? || |||||||||||||||||||||||||||||||| [[교향곡 제7번(베토벤)]]. 드라마에서는 노다메 칸타빌레의 오프닝에서 쓰였다. || == [[리하르트 바그너]] == |||||||||||||||||||||||||||||||| '''바그너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結婚行進曲 || {{{#e34b07 X}}} || {{{#31ae13 3}}} || {{{#0a8298 4}}} || {{{#b611c1 5}}} || {{{#ba9c00 X}}} || X || 2 || X || X || X || X || X || X || ?? || |||||||||||||||||||||||||||||||| 결혼 행진곡. || ||<|2> ワルキューレの騎行 || {{{#e34b07 4}}} || {{{#31ae13 4}}} || {{{#0a8298 6}}} || {{{#b611c1 5}}} || {{{#ba9c00 X}}} || X || X || 1 || X || X || X || X || X || ?? || |||||||||||||||||||||||||||||||| 발퀴레의 기행. || ||<|2> 双頭の鷲の下に || {{{#e34b07 3}}} || {{{#31ae13 4}}}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9 || 7 || 2 || 4 || X || X || X || X || ?? || |||||||||||||||||||||||||||||||| 쌍두의 독수리 깃발 아래. || == [[모리스 라벨]] == |||||||||||||||||||||||||||||||| '''라벨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볼레로#s-2|ボレロ]] || {{{#e34b07 2}}} || {{{#31ae13 5}}} || {{{#0a8298 4}}} || {{{#b611c1 7}}} || {{{#ba9c00 X}}} || 11/11A || X || X || X || X || 2 || X || O || ?? || |||||||||||||||||||||||||||||||| 볼레로. || ||<|2> [[쿠프랭의 무덤|クープランの墓]] || {{{#e34b07 4}}} || {{{#31ae13 7}}} || {{{#0a8298 8}}} || {{{#b611c1 8}}} || {{{#ba9c00 X}}} || 14~신A || X || X || 4 || X || 3 || X || X || ?? || |||||||||||||||||||||||||||||||| 모음곡 쿠프랭의 무덤 중 '프렐류드'와 '포를란' 부분을 어레인지. || ||<|2> 道化師の朝の歌 || {{{#e34b07 5}}} || {{{#31ae13 7}}}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신A || X || X || 3 || X || X || 1 || X || ?? || |||||||||||||||||||||||||||||||| 어릿광대의 아침 노래. 드럼 및 기타를 추가해 어레인지했다. 3DS1에서 제부부의 보스곡으로 나온다. || ||<|2> 亡き王女のためのパヴァーヌ ~きみのこどう~ || {{{#e34b07 3}}} || {{{#31ae13 5}}} || {{{#0a8298 5}}} || {{{#b611c1 6}}} || {{{#ba9c00 8}}} || 신A || X || DX || 5 || X || X || 2 || X || ?? ||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를 보컬 어레인지한 곡. 보컬은 야스다 아야노(安田彩乃). 남코의 스탭이다.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모차르트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交響曲第25番ト短調第一楽章 || {{{#e34b07 3}}} || {{{#31ae13 4}}} || {{{#0a8298 5}}} || {{{#b611c1 5}}} || {{{#ba9c00 X}}} || X || 4,TDM || X || X || X || X || X || X || ?? || |||||||||||||||||||||||||||||||| 교향곡 25번 G단조 KV183 1악장. || ||<|2> アイネクライネナハトムジーク || {{{#e34b07 4}}} || {{{#31ae13 4}}}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8 || 6 || DX || 2 || 1 || X || 2DL || X || ?? ||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2> [[터키 행진곡|トルコ行進曲]] || {{{#e34b07 4}}} || {{{#31ae13 5}}} || {{{#0a8298 6}}} || {{{#b611c1 7}}} || {{{#ba9c00 9}}} || X || X || 1 || 4 || 2 || X || X || O || ?? || |||||||||||||||||||||||||||||||| 터키 행진곡으로 알려진 피아노 소나타 제11번(KV. 331) 3악장. || ||<|2> 序曲「フィガロの結婚」 || {{{#e34b07 4}}} || {{{#31ae13 5}}} || {{{#0a8298 5}}} || {{{#b611c1 7}}} || {{{#ba9c00 X}}} || 10 || X || 2DL || X || X || X || X || X || ?? || ||||||||||||||||||||||||||||||||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의 서곡. ||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 |||||||||||||||||||||||||||||||| '''슈트라우스 2세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トリッチトラッチポルカ || {{{#e34b07 4}}} || {{{#31ae13 4}}}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X || 6 || X || X || X || X || X || X || ?? || |||||||||||||||||||||||||||||||| 트리치트라치 폴카. || ||<|2> ポルカ「雷鳴と稲妻」 || {{{#e34b07 4}}} || {{{#31ae13 5}}}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X || X || 2DL || X || 2 || X || X || X || ?? || |||||||||||||||||||||||||||||||| 폴카 '천둥과 번개'. || == [[조르주 비제]] == |||||||||||||||||||||||||||||||| '''비제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カルメン 組曲一番終曲 || {{{#e34b07 3}}} || {{{#31ae13 5}}} || {{{#0a8298 5}}} || {{{#b611c1 7}}} || {{{#ba9c00 X}}} || 6~신A/11A,12A || 3,TDM || 1DL,2 || 2,5 || X || 2 || 2 || O || ?? || |||||||||||||||||||||||||||||||| [[카르멘#s-2|카르멘]]의 1막. 곡 제목 변경이 심했던 작품이다.[* 카르멘에 꺾쇠괄호가 붙거나, 一番이 1番 혹은 第一番이 되는 등.] || ||<|2> 「カルメン」より闘牛士の歌 || {{{#e34b07 4}}} || {{{#31ae13 4}}}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X || 4 || X || X || X || X || X || X || ?? || |||||||||||||||||||||||||||||||| 카르멘의 투우사의 노래. || ||<|2> アルルの女 || {{{#e34b07 4}}} || {{{#31ae13 5}}}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X || 7 || X || X || X || X || X || X || ?? || |||||||||||||||||||||||||||||||| 극음악 아를의 여인. || == [[조지 거슈윈]] == |||||||||||||||||||||||||||||||| '''거슈윈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魅惑のリズム || {{{#e34b07 4}}} || {{{#31ae13 5}}}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X || X || 1 || X || X || X || X || X || ?? || |||||||||||||||||||||||||||||||| 매혹의 리듬. || ||<|2> ラプソディ・イン・ブルー || {{{#e34b07 3}}} || {{{#31ae13 4}}}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11/11A || X || X || 4 || 2 || 2 || X || X || ?? || |||||||||||||||||||||||||||||||| 거슈윈의 대표작 랩소디 인 블루. 일본에서는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의 엔딩곡으로도 쓰였다. || ||<|2> ヘ調の協奏曲 第3楽章 || {{{#e34b07 4}}} || {{{#31ae13 5}}} || {{{#0a8298 7}}} || {{{#b611c1 9}}} || {{{#ba9c00 X}}} || 신 || X || X || 4 || X || X || X || X || ?? || |||||||||||||||||||||||||||||||| 피아노 협주곡 F장조 제3악장. || ||<|2> パリのアメリカ人 || {{{#e34b07 3}}} || {{{#31ae13 4}}}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X || X || X || X || X || X || 1 || X || ?? || |||||||||||||||||||||||||||||||| 악곡 파리의 미국인. || == [[주세페 베르디]] == |||||||||||||||||||||||||||||||| '''베르디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歌劇「アイーダ」より凱旋行進曲 || {{{#e34b07 5}}} || {{{#31ae13 3}}} || {{{#0a8298 2}}} || {{{#b611c1 2}}} || {{{#ba9c00 X}}} || X || 3 || X || X || X || X || X || X || ?? || |||||||||||||||||||||||||||||||| 오페라 [[아이다(오페라)|아이다]] 중 개선 행진곡. || ||<|2> レクイエム 怒りの日より || {{{#e34b07 4}}} || {{{#31ae13 4}}} || {{{#0a8298 6}}} || {{{#b611c1 6}}} || {{{#ba9c00 X}}} || X || 5 || X || 1 || X || X || 1 || X || ?? || |||||||||||||||||||||||||||||||| 베르디 버전의 [[레퀴엠]]. || == 클래식 메들리 == 말 그대로 클래식 곡을 묶어 메들리로 만든 곡들. 스토리가 있는 작품도 있고 없는 작품도 있다. |||||||||||||||||||||||||||||||| '''클래식 메들리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クラシックメドレー(運動会編) || {{{#e34b07 5}}} || {{{#31ae13 5}}} || {{{#0a8298 5}}} || {{{#b611c1 5}}} || {{{#ba9c00 X}}} || 3,5,6 || 1 || X || X || X || X || X || X || ?? || |||||||||||||||||||||||||||||||| 운동회 때 자주 쓰이는 4곡을 메들리로 엮은 것. 4곡은 모두 클래식 목록에 따로 있다.[* 윌리엄 텔 서곡→카르멘 조곡→천국과 지옥 서곡→위풍당당 순.] || ||<|2> クラシックメドレー(ロック編) || {{{#e34b07 4}}} || {{{#31ae13 5}}} || {{{#0a8298 8}}} || {{{#b611c1 9}}} || {{{#ba9c00 X}}} || 3,4,6 || 1 || 1DL,2 || 3,5 || X || 2 || X || O || ?? || |||||||||||||||||||||||||||||||| 말 그대로 록 버전의 클래식 메들리. 역시 각 곡의 내용은 각주를 참고하자.[* [[교향곡 제5번(베토벤)|교향곡 제5번]] - [[백조의 호수]] - [[카르멘]]의 하바네라 - 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 - [[교향곡 제9번(베토벤)|교향곡 제9번]] - [[백조의 호수]] -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순.] || ||<|2> クラシックメドレー(ホームパーティー編) || {{{#e34b07 1}}} || {{{#31ae13 3}}} || {{{#0a8298 2}}} || {{{#b611c1 2}}} || {{{#ba9c00 X}}} || X || 3,TDM || X || X || X || X || X || X || ?? || |||||||||||||||||||||||||||||||| 원곡은 전부 스티븐 포스터 작곡. 스완나 강→켄터키 옛집→시골 경마 순이다. || ||<|2> シンフォニックメドレー第1番 || {{{#e34b07 4}}} || {{{#31ae13 5}}}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X || X || 2 || X || X || 3 || X || X || ?? || |||||||||||||||||||||||||||||||| 또 하나의 메들리. 곡 목록은 각주 참고.[*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 제1악장 - [[클로드 드뷔시]]의 아이들의 정경 - [[쇼팽]]의 폴로네이즈 Op. 53.] || ||<|2> クラシックメドレー(ウェディング編) || {{{#e34b07 4}}} || {{{#31ae13 5}}} || {{{#0a8298 5}}} || {{{#b611c1 7}}} || {{{#ba9c00 X}}} || X || X || X || X || X || 1 || X || X || ?? || |||||||||||||||||||||||||||||||| 충격적인 전개가 이어지는 스토리형 클래식 메들리. 곡 순서는 각주를 참고.[* 바그너의 오페라 [[로엔그린(오페라)|로엔그린]] 중 [[결혼 행진곡]] -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중 축배의 노래 - 리스트의 사랑의 꿈 제3번 - 에드바르 그리그의 오페라 페르귄트 중 산의 마왕의 궁전 - 쇼팽의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s-2.1.3|에튀드 Op.10 No. 3]] 순.] || == [[표트르 차이콥스키]] == |||||||||||||||||||||||||||||||| '''차이콥스키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行進曲「くるみ割り人形」から || {{{#e34b07 3}}} || {{{#31ae13 5}}}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8~10 || 6 || X || 3 || X || 2 || X || O || ?? || |||||||||||||||||||||||||||||||| [[호두까기 인형]] 중. || ||<|2> [[백조의 호수#s-3|白鳥の湖~still a duckling~]] || {{{#e34b07 4}}} || {{{#31ae13 6}}} || {{{#0a8298 7}}} || {{{#b611c1 9}}} || {{{#ba9c00 10}}} || 8~11,신A/11A || 6 || 2DL || 2,4 || (1DL) || X || 1 || X || V || |||||||||||||||||||||||||||||||| [[백조의 호수]]의 보컬 어레인지. 편곡 및 작사는 [[아이돌 마스터]]의 주 작곡가, 작사가가 맡았다. || ||<|2> ロシアの踊り「トレパーク」 || {{{#e34b07 3}}} || {{{#31ae13 5}}}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9 || 7 || 2 || X || X || X || X || X || ?? || |||||||||||||||||||||||||||||||| 러시아의 춤 '트레팍'. || == [[프란츠 슈베르트]] == |||||||||||||||||||||||||||||||| '''슈베르트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軍隊行進曲 || {{{#e34b07 4}}} || {{{#31ae13 4}}}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X || 6 || X || X || X || X || X || X || ?? || |||||||||||||||||||||||||||||||| 군대 행진곡. || ||<|2> ます || {{{#e34b07 3}}} || {{{#31ae13 3}}} || {{{#0a8298 4}}} || {{{#b611c1 7}}} || {{{#ba9c00 X}}} || X || X || 1DL,2 || X || X || X || X || X || ?? || |||||||||||||||||||||||||||||||| 송어. || == [[프레데리크 쇼팽]] == |||||||||||||||||||||||||||||||| '''쇼팽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トッカータとフーガとロック || {{{#e34b07 5}}} || {{{#31ae13 7}}} || {{{#0a8298 8}}} || {{{#b611c1 9}}} || {{{#ba9c00 X}}} || 8,9,12.5,13,신 || 6 || 2DL || 1 || 2 || X || 1 || X || X || |||||||||||||||||||||||||||||||| 토카타와 푸가를 락 어레인지한 곡. || ||<|2> 夜想曲Op.9-2 || {{{#e34b07 4}}} || {{{#31ae13 6}}}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신A || X || 2DL || 2 || X || X || X || X || X || |||||||||||||||||||||||||||||||| 녹턴 op.9-2를 재즈 어레인지했다. || ||<|2> 幻想即興曲 || {{{#e34b07 5}}} || {{{#31ae13 7}}} || {{{#0a8298 8}}} || {{{#b611c1 9}}} || {{{#ba9c00 X}}} || 11~신A/11A,12A || X || 2DL || 3,5 || X || 1 || X || X || V || ||||||||||||||||||||||||||||||||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즉흥곡 제4번 "환상 즉흥곡(Op. 66)". || ||<|2> 練習曲Op.10-4 || {{{#e34b07 3}}} || {{{#31ae13 4}}} || {{{#0a8298 8}}} || {{{#b611c1 9}}} || {{{#ba9c00 10}}} || 13~신A || X || DX || 2,4 || 1 || X || 2DL || X || X || ||||||||||||||||||||||||||||||||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s-2.1.4|에튀드 Op. 10 No. 4]]. || == 1곡만 수록된 작곡가 or 작곡가가 알려지지 않은 곡 == |||||||||||||||||||||||||||||||| '''기타 클래식 수록곡 목록'''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Wii || Wii U || NDS || 3DS || iOS || Vita || ||<|2> 新世界より || {{{#e34b07 4}}} || {{{#31ae13 5}}} || {{{#0a8298 6}}} || {{{#b611c1 6}}} || {{{#ba9c00 X}}} || 4,5 || 1 || X || 3 || X || 2 || X || O || ?? || |||||||||||||||||||||||||||||||| 신세계로부터.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곡. 제일 유명한 4악장만 수록했다. || ||<|2> [[윌리엄 텔 서곡|ウィリアム・テル序曲]] || {{{#e34b07 4}}} || {{{#31ae13 4}}}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5~7,12,신A/12A || 2,TDM || X || 1,4 || 1 || 1 || 1 || O || ?? || |||||||||||||||||||||||||||||||| 윌리엄 텔 서곡. || ||<|2> ハンガリー舞曲第5番 || {{{#e34b07 5}}} || {{{#31ae13 5}}} || {{{#0a8298 4}}} || {{{#b611c1 8}}} || {{{#ba9c00 X}}} || 7 || 4 || TDM || 1 || X || 3 || X || O || ?? || |||||||||||||||||||||||||||||||| [[헝가리]] 무곡 제5번. [[요하네스 브람스]] 작곡. || ||<|2> フニクリ・フニクラ || {{{#e34b07 4}}} || {{{#31ae13 6}}} || {{{#0a8298 7}}} || {{{#b611c1 7}}} || {{{#ba9c00 X}}} || 7 || 4 || X || 4 || X || 3 || 2 || X || ?? || |||||||||||||||||||||||||||||||| 루이지 덴차의 푸니쿨리 푸니쿨라를 어레인지한 곡. || ||<|2> [[위풍당당 행진곡|威風堂々]] || {{{#e34b07 4}}} || {{{#31ae13 5}}}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X || 5 || X || 4 || X || X || X || X || ?? || |||||||||||||||||||||||||||||||| 위풍당당 행진곡. [[에드워드 엘가]] 작곡. || ||<|2> [[천국과 지옥|天国と地獄 序曲]] || {{{#e34b07 4}}} || {{{#31ae13 4}}}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7~신A/11A,12A || 5 || X || 2,5 || 1 || 1 || 2 || O || ?? || |||||||||||||||||||||||||||||||| 천국과 지옥. [[유비트 시리즈|다른 친구]]는 어레인지지만 이 쪽은 정통파로 수록했다. || ||<|2> バイオリン協奏曲ホ短調 || {{{#e34b07 3}}} || {{{#31ae13 4}}} || {{{#0a8298 4}}} || {{{#b611c1 4}}} || {{{#ba9c00 X}}} || X || 5 || DX || X || X || X || X || X || ?? || |||||||||||||||||||||||||||||||| [[펠릭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재즈 풍으로 어레인지했다. || ||<|2> ラデツキー行進曲 || {{{#e34b07 5}}} || {{{#31ae13 6}}} || {{{#0a8298 7}}} || {{{#b611c1 7}}} || {{{#ba9c00 X}}} || 14 || 5 || DX || X || 1 || X || X || X || ?? || ||||||||||||||||||||||||||||||||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라데츠키 행진곡. || ||<|2> エンターテイナー || {{{#e34b07 4}}} || {{{#31ae13 5}}}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8 || X || 1 || 3 || 2 || 2 || X || X || ?? || |||||||||||||||||||||||||||||||| 스콧 조플린의 [[래그타임]] 곡 엔터테이너. || ||<|2> [[레오폴트%20모차르트#s-2|おもちゃのシンフォニー]] || {{{#e34b07 3}}} || {{{#31ae13 4}}}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X || 6 || 2DL || 3 || X || X || X || X || ?? || ||||||||||||||||||||||||||||||||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장난감 교향곡. || ||<|2> おおブレネリ || {{{#e34b07 3}}} || {{{#31ae13 3}}} || {{{#0a8298 5}}} || {{{#b611c1 6}}} || {{{#ba9c00 X}}} || 신 || X || 1DL,2 || X || 1 || 3 || X || X || ?? || |||||||||||||||||||||||||||||||| O Vreneli. 19세기부터 전해져 내려온 스위스 민요에 가사를 붙인 악곡. Wii U판에서 클래식으로 이동했다. || ||<|2> 殻をつけた雛鳥の踊り || {{{#e34b07 3}}} || {{{#31ae13 4}}} || {{{#0a8298 4}}} || {{{#b611c1 8}}} || {{{#ba9c00 X}}} || X || X || 1DL,2 || X || X || X || X || X || ?? || |||||||||||||||||||||||||||||||| [[모데스트 무소륵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중 "껍질을 깨고 나오는 병아리의 춤". || ||<|2> ホルディリディア || {{{#e34b07 3}}} || {{{#31ae13 4}}} || {{{#0a8298 5}}} || {{{#b611c1 8}}} || {{{#ba9c00 X}}} || X || X || 1DL,2 || X || 2 || 3 || X || X || ?? || |||||||||||||||||||||||||||||||| 스위스의 민요 홀디리디아. || ||<|2> アメリカンパトロール || {{{#e34b07 4}}} || {{{#31ae13 4}}} || {{{#0a8298 6}}} || {{{#b611c1 7}}} || {{{#ba9c00 X}}} || X || X || 2 || 2 || X || X || X || X || ?? || |||||||||||||||||||||||||||||||| F.W.미참의 아메리칸 패트롤. || ||<|2> [['O Sole Mio|オーソレ・ミオ]] || {{{#e34b07 3}}} || {{{#31ae13 3}}}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9 || 7 || 2 || 1 || X || X || 1 || X || ?? || |||||||||||||||||||||||||||||||| 어레인지 버전으로 수록. 남코 어레인지 중에선 그나마 원곡의 형태가 많이 남았다. || ||<|2> サーフサイド・サティ || {{{#e34b07 5}}} || {{{#31ae13 7}}} || {{{#0a8298 8}}} || {{{#b611c1 8}}} || {{{#ba9c00 X}}} || 9,(신A) || 7 || 2 || 5 || X || X || X || X || ?? || |||||||||||||||||||||||||||||||| [[에릭 사티]]의 악곡 중 그노시엔느와 짐노페티를 합쳐 어레인지한 곡. || ||<|2> 聖者の行進 || {{{#e34b07 4}}} || {{{#31ae13 4}}}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X || X || 2 || 5 || X || 3 || X || X || ?? || |||||||||||||||||||||||||||||||| 성자의 행진. 랩을 섞어 어레인지했다. || ||<|2> ラ・カンパネラ || {{{#e34b07 4}}} || {{{#31ae13 6}}} || {{{#0a8298 7}}} || {{{#b611c1 6}}} || {{{#ba9c00 X}}} || 13 || X || 2 || 2 || X || 2 || X || O || ?? || |||||||||||||||||||||||||||||||| [[프란츠 리스트]]의 "라 캄파넬라" 편곡. || ||<|2> 「ルスランとリュドミラ」序曲 || {{{#e34b07 3}}} || {{{#31ae13 5}}} || {{{#0a8298 7}}} || {{{#b611c1 8}}} || {{{#ba9c00 X}}} || 14,신A || X || 2 || X || 2 || X || X || X || ?? || |||||||||||||||||||||||||||||||| [[미하일 글린카]]의 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러'의 서곡. || ||<|2> 剣士の入場 || {{{#e34b07 5}}} || {{{#31ae13 6}}} || {{{#0a8298 7}}} || {{{#b611c1 7}}} || {{{#ba9c00 X}}} || 10 || X || 2DL || X || 1 || X || X || X || ?? || |||||||||||||||||||||||||||||||| 율리우스 푸칙의 행진곡 검사의 입장. || ||<|2> 星条旗よ永遠なれ || {{{#e34b07 4}}} || {{{#31ae13 5}}} || {{{#0a8298 7}}} || {{{#b611c1 7}}} || {{{#ba9c00 X}}} || 10 || X || 2DL || 4 || X || X || X || X || ?? || |||||||||||||||||||||||||||||||| 존 필립 수자의 행진곡. 국가 [[성조기#s-2|성조기]]와 헷갈리지 말 것. || ||<|2> [[미뉴에트|メヌエット]]|| {{{#e34b07 5}}} || {{{#31ae13 7}}} || {{{#0a8298 8}}} || {{{#b611c1 9}}} || {{{#ba9c00 X}}} || 10 || X || 2DL || 2,5 || 2 || X || X || X || ?? || |||||||||||||||||||||||||||||||| 락 어레인지된 크리스티안 페촐드의 미뉴에트. 오랫동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곡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 ||<|2> 熊蜂の飛行 || {{{#e34b07 3}}} || {{{#31ae13 4}}} || {{{#0a8298 7}}} || {{{#b611c1 9}}} || {{{#ba9c00 X}}} || 11~13,신A/11A,12A || X || 2DL || 3,5 || X || 1 || 2 || X || ?? ||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곡 왕벌의 비행. [[저주의 관|모 게임]]의 BGM이기도 하다. || ||<|2> モンタギュー家とキャピュレット家 || {{{#e34b07 4}}} || {{{#31ae13 4}}} || {{{#0a8298 4}}} || {{{#b611c1 4}}} || {{{#ba9c00 X}}} || 10 || X || X || 3 || X || X || X || X || ?? || ||||||||||||||||||||||||||||||||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의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의 악곡. || ||<|2> おもちゃの兵隊の行進 || {{{#e34b07 3}}} || {{{#31ae13 3}}} || {{{#0a8298 5}}} || {{{#b611c1 8}}} || {{{#ba9c00 X}}} || 11 || X || X || X || 2 || 2 || X || X || ?? || |||||||||||||||||||||||||||||||| 장난감 병정의 행진. 작곡가는 레온 예셀. 일본의 요리 프로그램 '큐피의 3분 요리'의 BGM 버전으로 수록했기 때문에 11에서는 버라이어티였다. || ||<|2> カレ・カノ・カノン || {{{#e34b07 3}}} || {{{#31ae13 4}}} || {{{#0a8298 5}}} || {{{#b611c1 8}}} || {{{#ba9c00 X}}} || 11~신A/11A,12A || X || DX || 1,5 || 2 || 2 || X || X || ?? || |||||||||||||||||||||||||||||||| [[요한 파헬벨]]의 [[카논#s-3|카논]]을 남코에서 어레인지한 곡. 사랑 노래가 되었다. || ||<|2> 「軽騎兵」序曲から || {{{#e34b07 4}}} || {{{#31ae13 5}}} || {{{#0a8298 5}}} || {{{#b611c1 8}}} || {{{#ba9c00 X}}} || 12/12A || X || 2DL,DX || 1 || X || X || X || X || ?? || |||||||||||||||||||||||||||||||| 프란츠 폰 주페의 오페라 '경기병'의 서곡. || ||<|2> リパブリック産科 || {{{#e34b07 3}}} || {{{#31ae13 4}}} || {{{#0a8298 6}}} || {{{#b611c1 8}}} || {{{#ba9c00 X}}} || 12/12A || X || 2DL || 1 || X || X || 2 || X || ?? || |||||||||||||||||||||||||||||||| [[Battle Hymn of the Republic]]의 어레인지곡. 일본어로는 リパブリック讃歌가 되는데, 産科로 말장난을 했다. || == 클래식 어레인지 곡 == ||<|2> 곡명 |||||||||| 난이도 |||||||||||||||||| 수록 작품 || ||<#f66f05> [[파일:태고의 달인/간단.png]] ||<#3cd219> [[파일:태고의 달인/보통.png]] ||<#088da5> [[파일:태고의 달인/어려움.png]] ||<#e770e3> [[파일:태고의 달인/오니.png]] ||<#e9be18> [[파일:태고의 달인/우라.png]] || AC || PS2 || PSP || PS VITA || Wii || Wii U || NDS || 3DS || iOS || ||<|2> [[弩蚊怒夏]] || {{{#e34b07 5}}} || {{{#31ae13 7}}} || {{{#0a8298 8}}} || {{{#b611c1 10}}} || {{{#ba9c00 X}}} || 신A || X || X || O || X || 2 || X || 2 || X || |||||||||||||||||||||||||||||||| 간만에 업데이트된 클래식 곡. 어레인지된 곡이며 도카도카(どかどか)라고 읽는다. 원곡은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 BPM 200 이상인 상태로 기차노트가 228콤보 이어지는 상당한 난이도의 곡. || ||<|2> 千鼓千鼓 || {{{#e34b07 4}}} || {{{#31ae13 6}}} || {{{#0a8298 8}}} || {{{#b611c1 9}}} || {{{#ba9c00 X}}} || 신A || X || X || X || X || X || X || X || X || |||||||||||||||||||||||||||||||| 도카도카 이후 업데이트된 클래식 곡. 어레인지된 곡이며 치코치코(ちこちこ)라고 읽는다. 원곡은 Zequinha de Abreu의 옥수숫가루 위의 참새([[Tico-Tico no Fubá]]). || ||<|2> [[チャーリー ダッシュ!]] || {{{#e34b07 4}}} || {{{#31ae13 7}}} || {{{#0a8298 8}}} || {{{#b611c1 10}}} || {{{#ba9c00 X}}} || 신A || X || X || O || X || X || X || X || X || |||||||||||||||||||||||||||||||| 태고의 달인 비타판인 V에서 추가된 클래식 곡. 어레인지된 곡이며 찰리 대시(チャーリー ダッシュ!) 라고 읽는다. 원곡은 비트리오 몬티의 차르다시(Csárdás). || [각주] [[분류:태고의 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