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한의 주민착취제도]] [include(틀:북한의 주민착취제도)]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white 북한}}}]]의 [[착취|{{{#white 노동착취}}}]]·[[동원|{{{#white 동원제도}}}]]'''}}}[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탄원[br]嘆願}}}[br]{{{-2 Volunteers}}}'''[* 사실 탄원이라고 하면 'petition'이나 'appeal'이라고 쓰는 게 적합하나, 북한 체제 특성상 이 '탄원'은 '자원노동 신청'이라는 의미에 가까우므로 영미권에서는 이 표현을 주로 쓴다.]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한 탄원.jpg|width=100%]]}}} || ||<-2> {{{-1 '''▲ 탄원을 하는 여성 청년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한 탄원2.jpg|width=100%]]}}} || ||<-2> {{{-1 '''▲ 탄원 후 화환을 목에 걸고 떠나는 학생들'''}}} || || '''다른 이름''' ||복대·입대 탄원 {{{-2 ([[조선인민군|군대]])}}} || || '''목적''' ||✔ 청년층 노동력 무상 착취[br]✔ 사회 불만 통제 || [목차] [clearfix] == 개요 == > 날 생각해 아껴주는 그 마음은 고맙지만[* 북한 사람도 사실 가기 싫다는 한 증거가 된다.] '''수천길 [[막장]]이라 저라고 못갈까요.''' > 같이 가자요 같이 가자요 우리 서로 진실한 벗되여 청춘을 부르는 새 탄전으로 >---- >- 김은실의 노래 '같이 가자요'[* '탄광으로 탄원을 하자'는 내용이 담긴 가사이다.] [[북한]]에서 군중의 자발적 사회 참여를 빙자하여 시행되는 [[착취|노동착취]] 및 [[동원]] 제도. 민주국가의 탄원과는 달리 청년층의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선전되는 제도로, 북한 당국은 청년들의 정신상태가 훌륭하여 '자발적으로' 갔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탄원서에 이름을 내고 [[강제노동]] 및 국가 행사 동원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낙인이 찍혀 장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저렇게 끌려가는 곳이 장사 자체를 못하고 도시에서 돈 버는 것도 몰래 해야 하는 농촌, 민주적인 한국의 '막장'이라는 단어가 상징하는 것보다 더 열악한 근무 여건의 탄광이다. 비슷한 노동착취 수단으로 [[백두산영웅청년돌격대]]를 위시한 [[청년돌격대]] 제도도 있다. 군대에 [[입대]](入隊) 및 복대(= [[재입대]], 復隊)하는 걸 군대를 돕는다는 개념으로 포함시키고 있는데, 입대 및 복대탄원 이외에 원군사업에 대해서는 '[[원군사업]]' 문서 참조 바람. == 특징 == || [[남북의 창|[[파일:남북의 창 로고.png|width=80]]]] || [[통일전망대(MBC)|[[파일:통일전망대 MBC 로고.png|width=4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816ml8hNCw, width=100%, start=7, end=145)]}}}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k9y4nauQ9g, width=100%)]}}} || || '''[요즘 북한은] 혹한에도 오지로!…북 청년들 ‘탄원’ 열풍 외[br](2021년 12월 21일 방송분)''' || '''청년들 평양 탄원 건설현장 집중 투입[br](2023년 2월 4일 방송분)''' || [[2000년대]] 이후로는 [[을지프리덤실드 연습]], [[자유의 방패 연습]] 등 한미연합훈련이 있을 때마다 북한 언론매체에서 "140만 명이나 복대 및 입대 탄원을 했다"고 방송한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34193|기사{{{-2 (KBS)}}}]] 실상은 일상적인 상황을 심각한 위기로 부풀려서 선동하고 고조된 주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목적이 큰데, [[1990년대]]의 [[공산권]] 붕괴와 [[고난의 행군]]을 거치면서 북한의 경제 사정이 나빠져서 배급과 사회보장제도의 붕괴가 발생하고 주민들이 굶주리면서 불만이 폭발할 때 즈음해서 번번이 쓰는 수법이다. 특히 [[2020년대]]에는 [[대북제재]]에 더해서 [[북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북한 코로나 대유행]]까지 겹치면서 탄원을 활용하는 빈도 내지 강도가 더 강해졌다. 평시에도 이 탄원 제도가 원활하게 작동하는데, 북한 정권 입장에서는 사실상 공짜로 청년들의 노동력을 무한정 굴릴 수 있어서 좋다. 한편 북한 청년들도 사람인지라 생활 여건이 극히 열악한 험지로 떠나서 일하는 걸 꺼리지만, 그렇다고 마냥 거부할 수도 없는 게 자칫 '사상적으로 의심을 받기 때문'이다. 이는 '[[김정은|수령]]의 지시를 무시한 것'과 다름 없기 때문. 이런 이유로 북한 청년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반강제적으로 탄원을 내서 가혹한 일터로 떠난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food_international_org/youthjob-04142022100036.html|기사{{{-2 (자유아시아방송)}}}]] 그나마 기대하는 건 일부 분야에 한정하여 수년 뒤에 고향으로 돌아오면 직장이나 배급 등에서 혜택이 주어진다는 것인데, 북한 정권의 재정 상황이 날이 갈수록 나빠지는 터라 그마저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 상술한 [[자유아시아방송]]의 기사에 따르면 뇌물을 먹이거나 갖은 핑계를 대서 곧 고향으로 돌아오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일을 제대로 안 하는 경우까지도 있다고 한다. 가장 심각한 것은 '''아예 고향으로 돌아오지도 못하고 농촌에서 대대손손 일해야 하는 경우마저 있다는 것이다.''' “이제 농촌에 내려가면 영원히 농포(농민)가 되어야 하는데 장가를 가면 손주들도 농촌연고자 딱지가 일생 붙어 다닐 걸 생각하니 잠이 오지 않는다”면서 “사람(인력)이 모자라 농사가 안되는 게 아니라 국가가 농업에 투자하지 않으니 이 꼴인데 왜 죄없는 청년들을 볶아대는지 모르겠다”고 한탄한다는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e-yg-05122021093355.html|보도]]도 있다. 농촌으로 끌려가면 장사도 못하고 도시에서 돈벌러 일하는 것 마저도 단속을 피해 몰래해야 한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20180718_1-07182018071143.html|#]] 한편 탄원자들은 ''''청년미풍열성자(靑年美風熱誠者)\''''[* 유사 명칭으로 ''''[[원군사업|원군미풍열성자(援軍美風熱誠者)]]\''''라고, 군대 원호를 성실히 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는 제도도 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301801001|기사{{{-2 (서울신문)}}}]]]라는 칭호가 붙어서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 [[https://www.s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929|기사{{{-2 (서울평양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