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동명의 섬, rd1=대부도, other2=동음이의어, rd2=탄도(동음이의어))] [include(틀:세계의 섬들)] [include(틀:전라남도의 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안군 탄도.png|width=100%]]}}}|| || {{{#ffffff '''탄도 전경'''}}} || ---- ||
<-2>
'''탄도[br]炭島'''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라남도 무안군 탄도리, 너비=100%)]}}} || || 국가 ||[[대한민국]] || || 위치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탄도리 || || 면적 ||0.49km^^2^^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탄도리에 있는 섬. 탄도만[* 무안군 [[운남면]], [[망운면]], [[현경면]], [[해제면]], [[신안군]] [[지도읍]]에 둘러싸인 만.]의 중심에 위치해있다. == 인문사회 환경 == [[무안군]]에는 모두 27개의 섬이 있는데 이 가운데 25개가 [[무인도]]로 단 2개 섬만 주민이 살고 있다. 그 중 탄도는 30가구 67명, 면적 0.49km2, [[해안선]]길이 5km이다. 1시간 정도 걸으면 섬 일주를 할 수 있는 아주 조그마한 섬이다. 북쪽 끝에 경사가 완만한 [[구릉]]성 산지[* 최고 높이 49m]가 있다. [[1973년]]도에 38가구 278명, 분교생이 52명이었다. 섬 크기에 비하여 경지가 비교적 많다. 좌우로 모래해변이 제법 있는 편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는데 적은 양의 [[쌀]], [[양파]], [[마늘]] 등이 생산된다. [[어업]]으로는 [[문어]], [[낙지]], [[주꾸미]], [[게]], [[파래]], [[감태]], [[꼬막]], [[조개]] 등이 잡힌다.[* 봄에는 주꾸미가 제철이고, 10월에는 낙지, 12월엔 [[숭어]]와 감태가 많이 나온다. [[해양수산부]] 주최 전국 맛 품평회에서 탄도 감태는 최고 점수를 받은 전적이 있다!] 봄과 가을이 되면 100여 척의 낚싯배가 탄도만 서북쪽을 가득 메워 고기를 낚는다. 탄도 일대는 인공 어초 근처이기에 고급 어종인 [[농어]], [[민어]]와 [[광어]], [[우럭]] 등 어족이 다양하고 풍부하여 바다낚시터로도 유명하다. 탄도에는 [[중학교]]가 없기 때문에 중학생이 되면 모두 집을 떠나 친인척 집으로 가거나 혹은 자취를 하면서 다른 지역에서 [[유학]]을 한다. 한번 나간 다음에 방학 때나 돌아오지만 [[고등학교]]와 군대생활을 마치면 자연스레 도시로 진출하기에 탄도에는 젊은이들이 없다. 선착장 부근에 학교터가 있다. ‘탄도길 7-6’에 들어선 탄도분교로 지금은 개인이 사서 살고 있다. 운동장은 정원으로 잘 꾸며놓았다. 물론 그네 등의 시설물과 건물들은 원래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입구 돌기둥에는 ‘망운서초등학교 탄도분교장’이라는 글귀가 희미하게나마 남아 있다. == 역사 == 탄도는 처음에 ‘여울도’라고 불렸다. 섬을 사이에 두고 [[망운면]]과 [[운남면]]으로 물이 빠지면 갯벌이 드러나면서 강이 생겨 두 곳으로 갈리어 나가는 여울목이 있다. 그래서 원래 지명이 여울도였던 것이다. 이후 ‘숯이 많이 나는 섬’이라고 해서 탄도로 불렸다고 한다. 사람이 처음 섬에 들어온 시기는 약 450년 전으로 [[김(성씨)|김씨]]와 [[박(성씨)|박씨]]였다지만, 처가로 살러 들어온 사위들이 늘어나면서 현재 6개의 성씨가 살고 있다. 그래서 섬의 특성상 마을 주민 대부분이 친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전라남도의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