卓炯春 [[1943년]] [[5월 30일]] ~ ([age(1943-05-30)]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산 탁씨|광산]](光山)[* 익산(益山)·고창(高敞)파 33세 진(鎭) 항렬. 족보명은 탁형진(卓炯鎭).]. == 생애 == 1943년 5월 30일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예전리에서 아버지 탁재익(託在益, 1911 ~ 1951. 2. 27)[* 족보명 탁재학(卓在學).]과 어머니 [[천안 전씨]] 전양덕(全良德)[* 전경수(全景洙)의 딸이다.] 사이에서 1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창 공음초등학교, 영광 법성중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광주상업고등학교]](現 [[광주동성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재학 중이던 1964년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6.3 항쟁]]에 참여하였다가 구속되었다. 1969년 [[3선 개헌]] 반대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구속되었다. 이후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몸담았다. 이후 [[통일민주당]]에 입당해 당보 출판국장을 역임했고,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에서 [[김영삼]] 후보 선거대책위원으로 있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김영배(1932)|김영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따라가지 않고 [[민주당(1990년)|민주당]]에 잔류하였다. 이후 민주당을 탈당하고 다시 신민주연합당에 입당하였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 [[신민주연합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지방의회의원|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4년 다시 [[민주당(1991년)|민주당]]을 탈당하여 [[민주자유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연합]]으로 당적을 옮겼고, [[양천구 을]] 지구당 위원장을 역임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김영배(1932)|김영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양천구 을]])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6,121표 (16.24%) || 낙선 (4위) || || || 1991 || [[1991년 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 || '''당선 (1위)''' || '''초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양천구 을)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6,940표 (18.06%) || 낙선 (3위) ||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분류:서울특별시의회의원]][[분류:신민주연합당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광역의회의원]][[분류:고창군 출신 인물]][[분류:광산 탁씨]][[분류:1943년 출생]][[분류:광주동성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