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모형 메이커 업체)]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타카라토미 로고.svg|width=150]]||{{{#ffffff,#fafafa {{{+3 {{{#000000 '''(주) 타카라토미'''}}}}}}[br]{{{#000000 TOMY COMPANY, LTD.[* 타카라는 일본이나 한국 등을 제외하면 서양쪽에서는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회사라서 영문사명은 기존 토미 시절 사용하던 표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br]{{{#00000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 || ||<-2> {{{#fff '''종류'''}}} ||주식회사 || ||<-2> {{{#fff '''창업일'''}}} ||[[1924년]] [[2월]][* 구 토미 사 창업일] || ||<-2><|2> {{{#fff '''설립일'''}}} ||[[1953년]] [[1월 17일]]^^([age(1953-01-17)]주년)^^ [* 구 타카라 사 설립일] || ||[[2006년]] [[3월 1일]]^^([age(2006-03-01)]주년)^^ [* 타카라 사와의 합병일] || ||<-2> {{{#fff '''설립자'''}}} ||사토 야스타[* 타카라의 창업주. 2019년 2월 26일에 별세.[[https://m.blog.naver.com/onsensas/221478337983|#]]] || ||<-2> {{{#fff '''주소'''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5da3; color: white" '''[[타카라토미|{{{#white 타카라토미 본사}}}]]'''}}} 〒124-8511 도쿄도 카츠시카구 다테이시 7-9-1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5da3; color: white" '''[[타카라토미|{{{#white 타카라토미 아오토 영업소}}}]]'''}}} 〒125-8503 도쿄도 카츠시카구 아오토4-19-16 || ||<-2> {{{#fff '''주요 사업'''}}} ||장난감[br]잡화[br]카드 게임[br]영유아 관련 제품의 기획, 제조 및 판매 || ||<-2> {{{#fff '''핵심 인물'''}}} ||토미야마 간타로[* 토미의 창업주인 토미야마 에이이치로의 손자이다.] (회장 겸 CEO) 코지마 카즈히로 (사장 겸 COO) || ||<-3> [[https://www.takaratomy.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 [[https://www.youtube.com/takaratomychann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akaratomytoys, 크기=30)]│[[https://www.facebook.com/takaratomytoy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30]]]]│[[https://page.line.me/007ejcjx?openQrModal=true|[[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타카라(기업)|타카라]]'''와 '''[[TOMY|토미]]'''라는 회사가 합병하여 탄생한 회사. 2002년부터 이런저런 실패로 경영난에 빠진[* 타카라가 사업다변화를 했던 [[전기자동차]] 산업과, 스폰서로서 대폭 밀어주던 [[베리베리 뮤우뮤우]]와 [[머메이드 멜로디 피치피치핏치]]의 대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타카라를 2006년 토미가 인수하여 현재의 타카라토미에 이른다. 2006년 이전의 자세한 정보는 '''[[타카라(기업)|타카라]]'''와 '''[[TOMY|토미]]''' 각각의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회사 로고는 파랑색을 바탕으로 기존 타카라와 토미의 로고를 순서대로 백색으로 표기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 정보 == 두 회사가 합병한 만큼 가지고 있는 판권의 수가 굉장히 많다.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와 합작한 [[용자 시리즈]]나 [[마신영웅전 와타루 시리즈]], [[엘드란 시리즈]]는 선라이즈가 경쟁사인 [[반다이]] 밑으로 들어가면서[* [[장갑기병 보톰즈]]는 제외, 원인은 바로 자사가 야심차게 준비한 '''가간 건 보톰즈 스코프 독 모델'''의 출시 때문에 무산됐다.(말했듯이 가간 건은 [[반다이]]의 제품이 아니다.)] 경쟁사끼리 판권을 나눠먹는 기이한 구조가 되었다.[* 일부에서는 아예 반다이로 넘어갔다는 의견도 있는데 엄연히 [[용자 시리즈|용자]], [[마신영웅전 와타루 시리즈|와타루]], [[엘드란 시리즈]]는 자사와 반다이가 공동으로 판권을 가지고 있는 체제다. 단, 기존에 자사가 완전히 꽉 잡고 있던 판권이 어느 정도 풀려서 반다이도 세 시리즈에 권한을 행사할 수가 있게 된 건 사실이다.] 합병전 토미와 타카라를 대표하던 [[조이드]]와 [[트랜스포머]]의 판권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토미 시절부터 [[월트 디즈니 컴퍼니]]와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공식 완구 제조업체이기도 하다. 타카라가 맡던 [[해즈브로]] 일본영업권도 지녔으나 2018년부터 일본법인 해즈브로 재팬으로 넘겼다. 또한 [[장갑기병 보톰즈]]로 대표되는 [[타카하시 료스케]] 감독의 리얼로봇 만화들의 판권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타츠노코 프로덕션]]을 합병하여 자회사로 두고 있었지만 2014년 1월 [[닛폰 테레비]]에 매각했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테라다 타카노부]]는 매번 타카라토미 판권작은 참전하기 힘들다고 너스레를 떨어놓고는 [[용자왕 가오가이가]], [[엘드란 시리즈]], [[조이드 제네시스]] 등을 차곡차곡 참전시키고 있다. 기존에 끊임 없이 치고 박던 타카라, 토미, 반다이의 경쟁관계를 생각하면 참으로 기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실 타카라 관련 작품들의 판권은 이미 거의 다 반다이로 넘어갔다고 봐도 무방하다. 2008년쯤을 전후로 로봇 완구가 매상에 도움이 안 되고 인기가 저하되었다며 보톰즈·용자·와타루를 비롯한 로봇 애니의 완구화 권리를 대거 정리하고 생산 라인도 없애버렸는데 2010년대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변신자동차 또봇|어린이용 로봇 완구류]]가 잘 나가기 시작하면서 크나큰 손해를 보았다. 이후 투자자들이 이 건을 두고 비난하자 [[토미카 히어로 시리즈]]와 [[토미카 하이퍼 레스큐 드라이브 헤드]]를 시작으로 다시 토미카를 소재로 한 변신 로봇 완구 사업을 전개하기 시작했으며, 2015년에는 [[다이아클론]]을 다시 부활시키고, 2018년에는 [[조이드 와일드]]를 시작으로 조이드도 다시 부활시켰다. 자사의 수많은 판권을 활용해서 캐릭터 게임도 만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기대에 못 미치는 퀄리티로 인해 일본에서는 '타카라[[쓰레기|고미]]'로 불리우며 [[똥겜|쿠소게]] 제작 전문회사로 낙인찍혔다. 2007년 이래로 [[KOTY]]에 매년 빠짐없이 후보작을 내보내는 위엄을 자랑하고 있다. 그외에도 동물 피규어 아니아, 국내명 애니멀 어드벤처도 의외로 유명하다. 동물외에도 공룡이 있는 다이노 시리즈, 바다동물이 중심인 해양 시리즈도 있다. [[스밋코구라시|스밋코]] 캐릭터 완구들도 발매하고 있다. 2015년부터는 [[WIXOSS|위크로스(WIXOSS)]]라는 [[TCG]]를 만들었다. 그 외에도 일본 내에서 [[듀얼마스터즈]]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원래 [[위자드 오브 더 코스트]]의 게임인데, 위자드 홈페이지에서 듀얼마스터즈 브랜드 사이트를 클릭하면 어째서인지 타카라토미 사이트로 넘어간다(....). [[북미판]] 발매가 중단된 것이 원인인 듯하다.] 2020년에 [[GRIDMAN UNIVERSE]] 프로젝트의 두번째 작품 [[SSSS.DYNAZENON]]에 합류하면서 [[전광초인 그리드맨]] 이후 28년만에 그리드맨 시리즈와 협업하게끔 되었다. 다소 호불호가 갈렸던 [[SSSS.GRIDMAN]]의 완구 프로포션과 라인업과 다르게 원조가 참여한 만큼 퀄리티는 보장된 셈이다. == 관련 상품 == * [[토미카]] * [[프라레일]] * [[리카짱]] * [[https://www.takaratomy.co.jp/products/koedachan/|코에다 짱]] * [[미크로맨]], [[다이아클론]] * [[트랜스포머 시리즈]] * [[비스트 사가]] * [[지아이 유격대]] * 쵸로 Q 시리즈 * [[듀얼마스터즈]] * [[조이드]] * [[메타코레]] * [[해적 룰렛|검은 수염 위기일발!]] * [[애니멀 어드벤처]] * [[https://www.takaratomy.co.jp/products/category/products_il000.html|옴니봇]] * [[WIXOSS]] *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 [[신카리온|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 [[https://www.takaratomy.co.jp/products/lol/|L.O.L. 서프라이즈!]] * [[디즈니]] * [[포켓몬스터 시리즈]] * [[https://www.takaratomy.co.jp/products/tgl/|수제 CLUB]][* [[산리오]] 판권 브랜드.] * [[토마스와 친구들]] * [[스밋코구라시]] * [[비드맨 시리즈]] * [[MAZICA PARTY]] * [[버그파이터]] * [[바쿠간]](리부트 이후) == 여담 == * 완구 사업에 힘을 쏟고 있지만 [[팡야]]를 퍼블리싱하기도 하는 등 게임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 [[색놀이]]로 악명높다. 특히 트랜스포머 피규어들은 이건 정말 아니다 싶을 정도로 색놀이가 엄청나다. 색놀이에 관해서는 나름 잔뼈가 굵은(?) 반다이도 한 수 접고 들어갈 정도. *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해즈브로]]가 타카라의 [[다이아클론]] 등의 판권을 사서 만들어 낸 것으로 유명. 이후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일본에 역수출하게 되고, 현재 타카라토미와 해즈브로가 상호 협력 및 공동개발을 하며 트랜스포머 완구생산의 양대산맥으로 있다. 특징은 타카라토미가 도색이나 마감은 하스브로보다 우월한데[* 대체로 하스브로가 80년대 당시 완구의 디자인을 고증하는 방향으로 가면 타카라토미는 반대로 당시 애니메이션의 디자인을 고증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색보다도 더 중요한 '''내구성'''이 떨어져서 많이 비판받는다는 듯. 단, 이는 주로 영화나 최신 애니메이션 상품에 한해서이고 MP 시리즈 특히 G1 등 구작 캐릭터의 리메이크는 담당의 덕심이 듬뿍 들어가 도색만이 아니라 금형 수정 및 신규 부품 추가 등이 이루어져 해즈브로판보다 더 나아진 경우도 많다. --그러나 그렇게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다던 [[마스터피스(완구)|마스터피스]] 무비 시리즈의 상황을 보면 암울하다-- 게다가 마스터피스의 경우 가격이 점점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어서 비판받고 있다. --아무리 마스터피스라고 해도 그렇지, 14cm 이하의 디럭스 크기의 MPM-09 재즈 가격이 한화 약 13만원대라는 건 말이 안된다.-- * [[손오공(기업)|손오공]]하고 자주 제휴하기도 했고 2011년엔 독점유통도 양도하는 등 관계가 깊은 파트너이기도 했다. [[최강! 탑플레이트]]의 표절 건으로 인연이 끊겼다는 설이 있는데 일단 공식적으로 밝혀진 이유는 없지만 [[베이블레이드 버스트|후속작]]이 손오공이 아닌 영실업에서 발매했다는걸 생각해보면 표절 논란의 여파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 여기 사장이었던 사람이 퇴사 후 '드림즈 컴 트루'라는 회사를 차렸다. '''[[로보카 폴리]]'''의 일본 판매를 맡은 업체. 이 외에 2013년에 [[부시로드]]와 업무 협약을 맺은 바 있다. [[http://www.animate.tv/news/details.php?id=1358405962|(#)]] 이것 때문인지는 몰라도 한동안 2010년대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사장이었던 헤럴드 조지 메이라는 네덜란드인은 NJPW 사장 취임 직전에 타카라토미 사장직을 역임한 바가 있다. * 2000년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트랜스포머 카로봇]](정의의 용사 카봇)의 주역 로봇 [[파이어 콘보이|갓 파이어 콘보이]] 피규어를 2018년에 복각했는데 고관절 각도가 비틀려 있어서 제대로 서지 못한다던가 음성 기믹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가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전량 [[리콜]] 조치를 하게 되어 큰 타격을 입었다. [[https://bbs.ruliweb.com/family/242/board/300017/read/2154704|(#)]] * [[트랜스포머 시리즈]] 피규어의 고급화 브랜드인 [[마스터피스(완구)|마스터피스 시리즈]]를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퀄리티에 비해 지나치게 비싼 가격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사실 G1 마스터피스의 경우 대부분 비싼만큼 그 값을 한다는 평이 많지만 MPM의 경우 돈값을 잘 못한다는 평을 듣고 있다. * [[2020 도쿄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미라이토와와 소메이티]] 관련 장난감 제작도 맡고 있는데, 일러스트레이터인 타니구치 료가 타카라토미와 연관이 깊은 작가여서 그렇다. == 타카라토미 그룹 == === 일본 국내 === * [[타카라토미 아츠]]: 기획, 제조 및 캡슐 장난감, 라이센스 의류, 트렌드 제품, 라이프 스타일 제품, 계절 제품, 봉제, 사탕 장난감, 게임 소프트를 판매. * TOMYTEC: 기존 토미에서 만들던 TOMIX 단품들과 악세사리들을 걸쳐 [[토미카 리미티드 빈티지]] 계열, 초로Q Zero, 1/144 스케일 채색 완료 항공기 프라모델 라인업인 技 MIX 시리즈를 판매하고 있으며, 2013년 1/144 스케일의 조이드 프라모델을 새롭게 판매하고 있다.[* [[코토부키야]]의 HMM 시리즈와 비교해보면 스케일도 작으면서 가격은 스케일에 비해 비싸고, 프로포션과 디테일 등은 1980~2000년대 초반까지 토미가 팔던 조이드 수준이라 별 메리트가 없다는 평.] 게다가 총기 플라모델인 [[리틀 아머리]]가 출시하여 [[figma]]랑 연계시켜 소품용으로 쓴다. * 타카라토미 마케팅 * 타카라토미 필드텍 * 주식회사 페니 * 주식회사 키디랜드 === 해외 === * 토미 인터내셔널: 디자인 및 장난감과 유아 제품의 마케팅. * 토미 홍콩 지사: 장난감 등을 생산 및 아시아 지역에서 판매. * 토미 태국 지사: 장난감 등을 태국에서 생산. * 토미 선전 지사: 장난감 등을 중국에서 생산. * 토미 상하이 지사: 장난감 등을 중국에 판매. * 토미 아시아 지사: 디자인 및 장난감과 유아 제품의 마케팅. * 주식회사 티아츠코리아: 기획, 제조 및 한국에서 장난감과 캡슐 장난감 판매. ~~한국만 T-ARTS 간판을 달고 있다. 이유는 [[타카라토미 아츠]] 참고~~ [[분류:타카라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