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타임인조선)] [목차] == 1화 == * 준재가 읽는 책 제목이 헐 아니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세상에 어떻게 이런일이]]. * 준재가 떠올리는 외계인 중에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가 있다. == 2화 == * 준재가 언급한 외계인 두들겨 패는 간지 흑형 영화에서 나오는 기억을 지우는 카메라는 [[맨 인 블랙 실사영화 시리즈]]의 뉴럴라이저. == 6화 == * 갖바치 할아버지 머리 위에 뜬 칭호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패러디. == 7화 == * 준재가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를 할 때 나무꾼의 얼굴이 [[야가미 라이토]]. == 9화 == * 준재가 보여주는 책에 [[포켓몬스터(1997년 애니메이션)/주제가#s-2.2.1|포켓몬스터 무인판 엔딩]] 가사가 빼곡히 적혀 있다. == 10화 == * 대례가 준재의 그곳을 봤을 때 나오는 브금은 [[You Are My Girl]]. == 11화 == * 의원이 꺼내든 책 제목이 [[수학의 정석|의학의 정석]]. == 12화 == * 주모가 철수철수를 때릴 때 "[[올ㅋ]]는 무슨". == 20화 == * 서당에서 글을 배우는 중 사자성어에 [[f(x)|애부액수]](언덕을 달리면 이마를 닦는다)와 [[2NE1|두애니완]](사방이 막힌 물가는 진흙이 완고하다.)이 있다. == 21화 == * 똥 푸는 사람이 외치는 말이 "[[퍼가요]]~♡" * 주막에서 밥을 먹던 손님이 준재와 철수의 대화를 듣고 하는 말이 '''"거 녀석들! [[똥 먹는데 카레 얘기하지 마라|똥 먹는데 자꾸 밥 얘기 할래?]]"''' --춘주모: 맛이 없나 봅니다 손님-- * 준재와 철수가 소학을 사러갔을 때 주인이 권하는 춘화집 제목이 [[맥심(잡지)|맥심]]. * 일진이 대례에게 집적대다가 [[내가 고자라니|영 좋지 않은 곳을 걷어차이고]] 짓는 [[심영(야인시대)|표정]]. == 22화 == * 작가의 말 >장준재 [[몸통박치기#s-2]]!! >"준재르르르르르르~~~"[* 이 패러디는 후속작 [[좀비딸]]에서 "수아르르르르르르르르!"로 한 번 더 등장한다.] == 23화 == * 화 제목과 일진의 말, "[[이 구역의 미친년은 나야|이 구역의 미친놈이 바로 나야.]]" * 일진이 손에 묻은 똥을 보고 "[[호옹이|또옹이!!!]]" * 철수가 사온 책이 [[아오이 소라|소라 아오이]](小裸 娥娛利)와 [[맥심(잡지)|맥심]](脈心). * 철수가 읽는 책의 내용이 [[엑스박스]]. == 24화 == * [[화질구지]]라는 새가 실존한다(...). == 25화 == * 기생들이 외치는 구호가 "술이 들어간다 술이 들어간다 쭉쭉쭉쭉!!! 쭉쭉쭉쭉!!!" * 준재가 먹다 남은 술을 마시고 취해서 신발에 대고 하는 말이 ''여보세여..? 여보세여...?? [[김미영 팀장|미영아]] 전화좀 받아..." * 대례와 주모가 노상방뇨를 하려는 준재와 손님을 저지하려는 모습은 [[이나중 탁구부|"해치우자!" "그래!"]]의 패러디. == 27화 == * 준재가 제술시험에서 지은 시 내용이 [[Ring Ding Dong]] 가사. * 대례가 준재와 철수에게 놀림받자 [[에네르기파]]를 날린다. == 28화 == * 마을 입구에 있는 장승들의 얼굴이 [[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과 [[징징이(네모바지 스폰지밥)|징징이]]. == 31화 == * 철수가 약재를 사러 가는 주모에게 "[[올때 메로나]]." * 중2병에 걸린 양반이 철수의 음식을 먹고 "[[너무 흥분해서 영어가 나왔네요|너무 당황해서 나도 모르게 자치통감을 읊어버렸네]]." == 특집 <타임인조선 4컷극장> == * 준재의 옆자리에 앉은 오타쿠가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석류를 먹는다고? 그래서 이렇게 아름다운건가?]]" * 하교하는 대례 앞에 나타난 토끼는 [[역전! 야매요리|야매토끼]], 직전에 대례가 말하려고 했던 토끼는 [[부토(웹툰)|부토]]. == 32화 == * 황찬기 박사가 연초를 꺼내는 주머니에 [[에쎄|에쎄 순]] 그림이 그려져 있다. == 33화 == * 대례를 놀리는 남자아이가 든 목각 인형은 [[뽀로로]], 대례가 든 목각 인형은 [[피카츄|번뇌하는 들쥐]](...), 김상지가 대례에게 준 목각 인형은 [[둘리]]. == 34화 == * 김상지가 장준재에게 "[[비누 좀 주워줘|거기 창포좀 주워주게]]." * 준재가 도끼를 놓쳤을 때 "[[퍼거스(마비노기)|하하, 손이 미끄러졌네!]]" == 39화 == * 준재가 철수에게 "[[포켓몬스터|가랏 철수몬! 몸통박치기!]]" --철수르르르르-- == 40화 == * 감진사가 밀매한 물품 중에 [[플레이보이]]가 있다. == 41화 == * 라이벌 주막 이름이 [[김밥천국|국밥천국]]. == 42화 == * 달래 어머니가 부서진 문을 보고 [[정읍사|아흐롱디리]]를 외친다. * 라이벌 주막에서 쓰는 조미료 이름이 미미(美味). [[요리왕 비룡]]의 미미와 [[미원(조미료)|미원]]을 함께 패러디했다. == 43화 == * 화 제목이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준재가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이소라)|바람이 분다]]와 [[군밤타령]]을 섞어서 부른다(...). * 사람들이 모내기를 할 때 [[님과 함께]]를 부르며, [[쾌지나 칭칭 나네]]는 [[태진아]] 칭칭 나네로 바꿔 부른다. == 50화 == * 저승사자 중 한 명이 [[해원맥(신과함께)|해원맥]]으로 나온다. == 51화 == * 장범재가 아들이 초월이에게 맞은 꼴을 보고 [[호옹이]]를 외친다. == 54화 == * 주막에 들린 포졸의 얼굴이 [[포돌이]]. == 55화 == * 반쪽 양반이 보여주는 책 이름이 [[리빙 포인트|리빙포인투]](利憑飽仁透). 지나치게 당연한 내용까지 패러디했다. == 56화 == * 철수가 별에게 소원을 빌 때 "[[국기에 대한 경례|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이 함께 하기를]]." == 57화 == * 정조가 신하의 말에 답할 때 "그래 그렇소. [[킹왕짱|왕. 짱. 킹.]]" == 61화 == * 율곡 이이가 살아 생전에 외쳤다는 구호인 "전하,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마린]]을 뽑으소서."는 2000년대 초반에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던 [[십만양병설|십만마린양병론]]의 패러디. * 노론들이 결의를 다질 때 "[[EE(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외쳐! 이이!!]]" == 63화 == * 화 제목이 [[소나기(소설)|소나기]]. 소년과 소녀가 움막으로 비를 피하는 장면까지 유사하다. == 70화 == * 저격수가 중얼거리는 말은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저격수 다니엘 잭슨이 저격할 때 읊는 기도문. == 71화 == * 준재 뒤에서 학재가 기를 넣는 장면은 [[부자 에네르기파]]를 패러디. == 74화 == * 집이 무너지는 소리가 "[[와장창]] 콰장창 [[이윤창]]."[* 이 패러디는 후속작 [[좀비딸]]에서 한 번 더 써먹는다.] == 76화 == * 화 제목이 [[용의 눈물]]. == 79화 == * 포졸들이 준재를 잡았을 때 "[[잡았다 요놈]]!" == 80화 == * 선비가 그리는 만화의 여캐 이름이 [[이말년|말련]]. 그림체도 이말년풍이다. == 91화 == * 반쪽 양반이 김 상궁을 보고 놀랐을 때 햠어퍗잠야라고 비명을 지른다. == 100화 == * 학재가 주모에게 명령할 때 [[천본앵(블리치)|흩날려라 천본앵]]을 외친다. * 작가의 말: 마지막까지 [[황선자|우리 존재 파이팅]]! == 101화 == * 화 제목이 [[백 투 더 퓨처 시리즈|백 투 더 퓨처]]. == 102화 == * 철수가 주모에게 [[안알랴줌]]을 시전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임인조선, version=202)] [[분류: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