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쑤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다른 뜻1,other1=저장성의 행정구역, rd1=타이저우시(저장성))] [include(틀:장쑤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000,#ddd 장쑤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泰州, ruby=Tàizhōu)][ruby(市, ruby=Shì)]}}}'''[br]타이저우시 | Taizhou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泰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장쑤성]] 타이저우시 하이링구[br]펑황둥루58호[br]江苏省泰州市海陵区凤凰东路58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5,787.25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3현급시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4,512,762명 ^^(2018)^^ || ||<-2> '''{{{#ffff00 인구밀도}}}''' || 780명/km² || ||<-2> '''{{{#ffff00 HDI}}}''' || 0.795 ^^(2016)^^ || ||<-2> '''{{{#ffff00 서기}}}''' || 주리판(朱立凡) || ||<-2> '''{{{#ffff00 시장}}}''' || 완원화(万闻华)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943억 9,492만 ^^(2020)^^ || || '''{{{#ffff00 1인당}}}''' || $20,917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매화]] || || '''{{{#ffff00 시목}}}''' || [[은행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苏M'''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泰'''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2'''1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523''' || ||<-2> '''{{{#ffff00 우편번호}}}''' || '''2253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JS-12''' ||}}}}}}}}} || ||<-3> [[http://www.taizhou.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장쑤성]] 중부의 지급시. [[양저우]]에서 동쪽으로 4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시가지는 장강 북안의 복잡하게 얽힌 수로들을 끼고 형성되어 있다. 관할 인구 50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160만이 거주한다. 남쪽으로 350km 떨어진 [[저장성]]의 타이저우와 한국어, 한자, 영어 발음이 모두 같다. 중국어에서는 장쑤성 타이저우는 성조가 4성, 저장성 타이저우는 1성으로 구분된다. 출신 유명인물로 중국의 전 [[중화인민공화국 주석|국가주석]] [[후진타오]], 현 [[중화인민공화국 응급관리부|응급관리부]]장 [[황밍]]이 있다. == 역사 == 고대 지명은 해릉(海陵)이었고, [[전한]]대부터 해당 명칭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명칭은 현재 하이링구 지명으로 남아있다. [[5대10국]]기 [[남당]] 시기에 현 지명의 유래인 태주가 설치되었으며, 회남 지역의 소금이 집산되는 상업 도시로 발전하였다. [[중화민국]] 시기 타이저우는 잠시동안 타이현(泰县)으로 개명되었고, [[1938년]]에 다시 타이저우시가 부활한다. 이후 타이현과 타이저우시는 통합/분리를 반복하고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초기까지 지속되다가 최종적으로 하나가 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타이저우는 [[양저우시]] 소속 현급시였으며 [[1996년]]에 [[지급시]]로 승격한다. == 교통 == 서북쪽 15km 지점에 양저우 타이저우 국제공항(扬州泰州国际机场)이 있다. 이름 그대로 양저우와 공동관리 공항이며, [[제주국제공항]]과 연결되는 한국착발 노선이 존재한다. == 기타 == 한국의 [[음성군]]과 자매결연 도시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이저우시(저장성), version=5,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