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면기하학)] [include(틀:원뿔곡선)] [목차] == 개요 == {{{+1 [[楕]][[圓]] / ellipse}}} [[기하학]]에 등장하는 [[도형]]의 일종으로, 수학적 정의는 || '''평면 상의 두 정점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 || 이다. 그러므로 [[원(도형)|원]] 역시 초점이 일치하는 하나의 타원으로 볼 수 있다. [[원뿔곡선]] 중 가장 간단한 형태로, 원을 잡아늘려서 만들 수도 있다. 유명한 알모양곡선(난형선, oval)의 하나이다 == 타원의 방정식 == * '''방정식''': [math(\displaystyle {\frac{(x-x_{0})^{2}}{a^{2}}+\frac{(y-y_{0})^{2}}{b^{2}}=1} )] * '''그래프''' * [math(a>b>0)] [[파일:타원_유형1_수정.png|width=200&align=center]] * [math(b>a>0)] [[파일:타원_유형2_수정.png|width=160&align=center]] * '''조건''': [math(\overline{\rm F'P}+\overline{\rm FP}=\textsf{const.})] * '''중심의 좌표''': [math(\mathrm{C}(x_{0},\,y_{0}))] * '''초점의 좌표''' * [math(a>b>0)]: [math(\mathrm{F}(\sqrt{a^{2}-b^{2}}+x_{0},\,y_{0}))], [math(\mathrm{F'}(-\sqrt{a^{2}-b^{2}}+x_{0},\,y_{0}))] * [math(b>a>0)]: [math(\mathrm{F}(x_{0},\,\sqrt{b^{2}-a^{2}}+y_{0}))], [math(\mathrm{F'}(x_{0},\,-\sqrt{b^{2}-a^{2}}+y_{0}))] * '''꼭짓점의 좌표''' * [math(a>b>0)]: [math(\mathrm{A}(a+x_{0},\,y_{0}))], [math(\mathrm{A'}(-a+x_{0},\,y_{0}))] * [math(b>a>0)]: [math(\mathrm{B}(x_{0},\,b+y_{0}))], [math(\mathrm{B'}(x_{0},\,-b+y_{0}))] * '''장축의 길이''' * [math(a>b>0)]: [math(2a)] * [math(b>a>0)]: [math(2b)] * '''단축의 길이''' * [math(a>b>0)]: [math(2b)] * [math(b>a>0)]: [math(2a)] * '''중심이 원점인 타원 [math(\boldsymbol{\dfrac{x^{2}}{a^{2}}+\dfrac{y^{2}}{b^{2}}=1})] 위의 점 [math(\boldsymbol{(x_{1},\,y_{1})})] 위를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math(\displaystyle \frac{xx_{1}}{a^{2}}+\frac{yy_{1}}{b^{2}}=1 )] * '''중심이 원점인 타원 [math(\boldsymbol{\dfrac{x^{2}}{a^{2}}+\dfrac{y^{2}}{b^{2}}=1})]의 기울기 [math(\boldsymbol{m})]의 접선''': [math(\displaystyle y=mx \pm \sqrt{a^2 m^2+b^2} )] === 유도 === [[파일:나무_타원방정식유도.png|width=200&align=center]] 먼저 타원의 중심이 원점이고 '''두 초점(foci)'''[* 타원은 초점이 2개이므로 focus의 복수형인 foci를 쓴다.]이 [math(x)]축 위에 있는, 가장 간단한 경우를 보자. 그림과 같이 두 초점이 [math(\mathrm{F}(c,\,0))], [math(\mathrm{F'}(-c,\,0))]이고, '''꼭짓점(vertex[* 긴 지름 위에 있는 꼭짓점], co-vertex[* 짧은 지름 위에 있는 꼭짓점])'''이 [math(\mathrm{A}(a,\,0))], [math(\mathrm{A'}(-a,\,0))], [math(\mathrm{B}(0,\,b))], [math(\mathrm{B'}(0,\,-b))]인 타원을 고려해보자. 타원의 정의에 따라 [mat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FP}})]는 일정해야 하고, 타원 위의 점 [math(\mathrm{P})]가 [math(\mathrm{A})] 위에 있다면, 그 길이는 [math(2a)]이어야 하므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sqrt{(x+c)^{2}+y^{2}}+\sqrt{(x-c)^{2}+y^{2}}=2a )] }}} 이것을 다시 쓰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sqrt{(x-c)^{2}+y^{2}}=2a-\sqrt{(x+c)^{2}+y^{2}} )] }}} 이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cx+a^{2}=a\sqrt{(x+c)^{2}+y^{2}} )] }}} 다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a^{2}-c^{2})x^{2}+a^{2}y^{2}=a^{2}(a^{2}-c^{2}))] }}} 맨 처음 식에 점 [math(\mathrm{B})]를 대입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2}=a^{2}-c^{2} )] }}} 이므로 이것을 이용하면, 아래의 타원 방정식이 나온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2}}{a^{2}}+\frac{y^{2}}{b^{2}}=1 )] }}} 단,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0b>0)]인 경우를 다루고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원점에서 그은 한 직선과 각 원이 만나는 점을 [math(\mathrm{Q,\,R})]라 하자. 이때, 점 [math(\mathrm{R})]에서 [math(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math(\mathrm{H})]라 하고, 점 [math(\mathrm{Q})]에서 선분 [math(\mathrm{RH})]에 내린 수선의 발을 [math(\mathrm{P})]라 하자. 이때, [math(\mathrm{\angle QOH \equiv \theta})]라 하면, 점 [math(\mathrm{P})]의 좌표는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x=a\cos{\theta} \qquad \qquad y=b\sin{\theta} )] }}} 이때, 점 [math(\mathrm{P})]의 자취는 위 그림처럼 타원을 나타내는데,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cos{\theta}=\frac{x}{a} \qquad \qquad \sin{\theta}=\frac{y}{b} )] }}} 이에 따라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2}}{a^{2}}+\frac{y^{2}}{b^{2}}=\sin^{2}{\theta}+\cos^{2}{\theta}=1 )] }}} 로, 타원의 방정식이 된다. 따라서 타원의 [math(\mathrm{\angle QOH \equiv \theta})]에 대한 매개변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x=a\cos{\theta} \qquad \qquad y=b\sin{\theta} )] }}} 각각의 좌표가 극좌표계에서 직교 좌표계로 변환했을 때 각각의 좌표의 표현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쉬우나 사용한 매개변수인 각이 극좌표계의 각(angle) 변수(즉, 위 그림에서 [math(\angle \rm POH)].)와 동일한 것이라 생각하면 안 된다. 극좌표계에서 각각의 변수를 어떻게 정의했는지 생각해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극좌표계에서 다시 직교 좌표계로 변환했을 땐 이 문단의 결과가 나오지 않으므로 반드시 주의하여야 한다.(바로 아래 문단 참조) === 중심이 원점에 있는 타원의 극 좌표계에서의 표현 === 타원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2}{a^2}+\frac{y^2}{b^2}=1 )] }}} 을 극 좌표계에서 직교 좌표계로 변환한다면, [math((r,\,\theta) \to (x,\,y))]에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cos{\theta} \\ y&=r\sin{\theta} \end{aligned} )] }}} 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이 결과는 앞서 밝혔듯이 매개변수로 타원을 나타냈을 때와 계산 결과가 같지 않다. [math(r)]을 구하기 위해 타원의 정의식을 이용하자. 타원의 정의식에 각 좌표를 대입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r^2\cos^{2}{\theta}}{a^2}+\frac{r^2\sin^{2}{\theta}}{b^2}=1 )] }}} 이것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 형태의 유용한 꼴로 고칠 수 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r^{2}}{a^2} \left[ 1-\left( 1-\frac{a^2}{b^2} \right )\sin^{2}{\theta} \right ]&=1 \qquad &&(0 1. 우선 직선의 방정식을 한 변수에 대하여 정리한다. 1. 1에서 정리한 직선을 타원의 방정식에 대입하고, 적절히 이항하여, 이차방정식을 만든다. 1. 2에서 나온 이차방정식에 판별식 [math(D)]를 적용한다. || 판별식의 부호에 따라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가 달라진다. * '''[math(\boldsymbol{D>0})]''': 타원과 직선은 두 점에서 만난다. * '''[math(\boldsymbol{D=0})]''': 타원과 직선은 접한다.(즉, 타원과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 '''[math(\boldsymbol{D<0})]''': 타원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파일:타원_직선과 위치 관계.png|width=190&align=center]] === 타원의 접선 === ==== 타원 위의 점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 ==== 문제 상황을 쉽게 하기 위해 우선은 타원의 중심이 원점인 경우를 먼저 다루자. 타원 위의 접선의 기울기는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2x}{a^{2}} +\frac{2y}{b^{2}} \frac{dy}{dx}=0 \, \to \, \frac{dy}{dx}=-\frac{b^{2}}{a^{2}}\frac{x}{y} )] }}} 타원 위의 점 [math((x_{1},\,y_{1}))]을 고려하면, 이 점 위의 접선의 기울기는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b^{2}}{a^{2}}\frac{x_{1}}{y_{1}} )] }}} 따라서 이 점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y_{1}=-\frac{b^{2}}{a^{2}}\frac{x_{1}}{y_{1}}(x-x_{1}) )] }}} 이므로 이것을 다시 쓰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x_{1}}{a^{2}}+\frac{yy_{1}}{b^{2}}= \frac{x_{1}^{2}}{a^{2}}+\frac{y_{1}^{2}}{b^{2}} )] }}} 이고, 우변은 타원 위의 점이므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x_{1}}{a^{2}}+\frac{yy_{1}}{b^{2}}=1)] }}} 이다. 만약 타원의 중심이 [math((x_{0},\,y_{0}))]이라면, 평행이동을 이용하면 되므로 평행이동을 한 뒤의 타원 위의 점 [math((x_{2},\,y_{2}))] 위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x_{0})(x_{2}-x_{0})}{a^{2}}+\frac{(y-y_{0})(y_{2}-y_{0})}{b^{2}}=1)] }}} ==== 특정한 기울기의 접선의 방정식 ==== 구하는 접선을 [math(y=mx+n)] ([math(m,\, n)]은 상수)으로 놓자. 이것을 타원의 식에 대입하고 적절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a^{2}m^{2}+b^{2})x^{2}+2a^{2}mnx+a^{2}(n^{2}-b^{2})=0 )] }}} 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면, 직선과 타원은 접한다. 즉, 판별식이 0이어야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n=\pm \sqrt{a^{2}m^{2}+b^{2}})] }}} 이상에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mx\pm \sqrt{a^{2}m^{2}+b^{2}})] }}} 만약, 타원의 중심이 [math((x_{0},\,y_{0}))]이라면, 평행 이동을 이용해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m(x-x_{0})\pm \sqrt{a^{2}m^{2}+b^{2}}+y_{0})] }}} 임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기타 성질 == === 성질 1 === [[파일:나무_타원 외내부 점.png|width=24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타원 [math(x^2/a^2+y^2/b^2=1 \,\, (a>b>0))]와 두 초점 [math(\rm F')], [math(\rm F)]가 있고, 임의의 외부의 점 [math(\rm A)]와 임의의 내부의 점 [math(\rm B)]를 고려하자. 이때, [math(\overline{\rm F'B})]의 연장선상 혹은 [math(\overline{\rm F'A})]에는 타원 위의 점 [math(\rm P)]가 있다. 단, 그림에서는 두 경우에 대하여 [math(\rm P)]가 같은 것으로 묘사돼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르다. '''[1] [math(\overline{\rm \bf F'A}+\overline{\rm \bf FA})]'''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A}+\overline{\rm FA}=\overline{\rm F'P}+\overline{\rm PA}+\overline{\rm AF} )] }}} 로 쓸 수 있다. 한편, 삼각형 [math(\rm PFA)]에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보다 작아야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P}<\overline{\rm PA}+\overline{\rm FA} )] }}} 그런데 [math(\overline{\rm F'P}+\overline{\rm PA}+\overline{\rm AF}>\overline{\rm F'P}+\overline{\rm FP})]이고, 이에 따라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A}+\overline{\rm FA}>\overline{\rm F'P}+\overline{\rm FP}=2a)] }}} 한편, 타원의 정의에 따라 타원의 두 초점과 타원 위의 임의의 점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합은 [math(2a)]로 일정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 '''타원의 두 초점과 타원 외부의 점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합은 타원의 두 초점과 타원 위의 임의의 점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합보다 크다.''' || '''[2] [math(\overline{\rm \bf F'B}+\overline{\rm \bf FB})]'''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B}+\overline{\rm FB}=\overline{\rm F'P}-\overline{\rm PB}+\overline{\rm BF} )] }}} 로 쓸 수 있다. 한편, 삼각형 [math(\rm PFB)]에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보다 작아야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BF}<\overline{\rm PB}+\overline{\rm FP} )] }}} 그런데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F'P}-\overline{\rm PB}+\overline{\rm BF}&<\overline{\rm F'P}-\overline{\rm PB}+\overline{\rm PB}+\overline{\rm FP} \\ &=\overline{\rm F'P}+\overline{\rm FP} \end{aligned} )] }}} 이에따라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overline{\rm F'A}+\overline{\rm FA}<\overline{\rm F'P}+\overline{\rm FP}=2a)] }}} 한편, 타원의 정의에 따라 타원의 두 초점과 타원 위의 임의의 점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합은 [math(2a)]로 일정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 '''타원의 두 초점과 타원 내부의 점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합은 타원의 두 초점과 타원 위의 임의의 점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합보다 작다.''' || 이 문단에서는 특정한 타원의 경우에만 증명했지만 일반적인 타원에서도 성립한다. 위 결과를 요약하면 식으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B}+\overline{\rm FB}<2r_{\text{max}}<\overline{\rm F'A}+\overline{\rm FA} )] }}} 로 쓸 수 있다. [math(r_{\text{max}})]는 타원의 긴반지름이다. === 성질 2 === [[파일:나무_타원_성질_2_NEW_NEW.png|width=30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타원 [math(x^2/a^2+y^2/b^2=1 \,\,(a>b>0))]와 두 초점 [math(\rm F')], [math(\rm F)]가 있고, 해당 타원의 한 접선 [math(l)]이 있다고 하자. 이때, [math(\rm F')], [math(\rm F)]에서 [math(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ath(\rm A)], [math(\rm B)]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 [math(\displaystyle \overline{\rm F'A} \cdot \overline{\rm FB}=b^{2})]}}} 우선 접선 [math(l)]의 방정식은 기울기 [math(m)]일 때, [math(y=mx \pm \sqrt{a^2 m^2+b^2})]이고, [math(\overline{\rm F'A})], [math(\overline{\rm FB})]는 각각 [math(\rm F')], [math(\rm F)]에서 [math(l)]까지의 거리와 같다. 이에 [math({\rm F'}(-\sqrt{a^2-b^2},\,0))], [math({\rm F}(\sqrt{a^2-b^2},\,0))]이므로 [[직선]] 문서에서 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참조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F'A}&=\frac{| -m\sqrt{a^2-b^2} \pm \sqrt{a^2 m^2+b^2} |}{\sqrt{m^2+1}} \\ \overline{\rm FB}&=\frac{| m\sqrt{a^2-b^2} \pm \sqrt{a^2 m^2+b^2} |}{\sqrt{m^2+1}} \\ \\ \therefore \overline{\rm F'A} \cdot \overline{\rm FB}&=\frac{| a^2 m^2+b^2-m^2(a^2-b^2) |}{m^2+1} \\&=\frac{|b^2||m^2+1|}{m^2+1}=b^2 \end{aligned})]}}} 이 문단은 특정한 타원에 대해서 증명을 했지만 일반적으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 [math(\displaystyle \overline{\rm F'A} \cdot \overline{\rm FB}=r_{\min}^{2})]}}} 이 성립한다. 여기서 [math(r_{\min})]은 타원의 짧은 반지름이다. ==== 부가 성질 ==== [[파일:나무_타원_성질_2_부가성질_NEW_NEW.png|width=300&align=center]] 위에서 증명한 두 점 [math(\rm A)], [math(\rm B)]는 위의 그림과 같이 한 원 [math(x^2+y^2=a^2)] 위에 있는데 더 일반적으로 말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 '''한 초점에서 접선에 내린 수선의 발의 자취는 타원의 장축을 지름으로, 타원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다.''' || 이것을 증명하기 위해 한 초점에서 내린 수선의 발을 [math({\rm C}(X,\,Y))]라 하자. 우선 점 [math({\rm C}(X,\,Y))]는 타원의 한 접선 [math(y=mx \pm \sqrt{a^2 m^2+b^2})] 위의 점이므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mX \pm \sqrt{a^2 m^2+b^2} \quad \to \quad Y-mX= \pm \sqrt{a^2 m^2+b^2} )] }}} 이고, 양변을 제곱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2}-2mXY+m^2 X^2=a^2 m^2+b^2)] }}} 한편, 직선 [math(\rm FH)] (혹은 [math(\rm F'H)])의 직선의 방정식은 접선과 수직이므로 기울기는 [math(-m^{-1})]이고, [math(x)]절편의 절댓값은 타원의 초점 길이와 같으므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frac{x}{m} \pm \frac{\sqrt{a^2-b^2}}{m} )] }}} [math({\rm C}(X,\,Y))]는 이 직선 위의 점이기도 하므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frac{X}{m} \pm \frac{\sqrt{a^2-b^2}}{m} \quad \to \quad mY+X= \pm \sqrt{ a^2 -m^2 } )] }}} 이고, 양변을 제곱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m^2 Y^2+2mXY+X^2=a^2 - b^2 )] }}} 위의 두 과정에서 나온 결과를 더하면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2+1) Y^2+(m^2+1)X^2&=(m^2+1)a^2 \\ X^2+Y^2&=a^2 \end{aligned} )] }}} 이때, [math((X,\,Y))]가 기술하는 도형은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타원의 장축의 길이인 [math(2a)]인 원이므로 맨 위의 결과가 나오게 된다. === 성질 3 === [[파일:나무_타원_성질4.png|width=24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타원 [math(x^2/a^2+y^2/b^2 \,\,(a>b>0))]에 외부의 점 [math(\rm P)]로부터 접선을 그었을 때, 두 접선 [math(l_{1})], [math(l_{2})]가 점 [math(\rm P)]에서 직교한다면, 점 [math(\rm P)]의 자취는 원 [math(x^2+y^2=a^2+b^2)]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말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타원 외부의 점에서 두 접선을 그었을 때, 두 접선이 직교하는 점의 자취는 원이다.''' || 이것의 증명은 우선 접선 [math(l_{1})], [math(l_{2})]의 방정식을 결정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math(l_{1})]의 기울기를 [math(m)]이라 놓으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l_{1}:\, y=mx \pm \sqrt{a^2 m^2+b^2} )] }}} 그런데 [math(l_{1})], [math(l_{2})]는 직교하므로 [math(l_{2})]의 기울기는 [math(-m^{-1})]이다. 즉,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l_{2}:\, y=-\frac{x}{m} \pm \sqrt{\frac{a^2}{m^2}+b^2} )] }}} 으로 쓸 수 있다. 한편, [math({\rm P}(X,\,Y))]라 놓으면 각각은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_{1}:\,Y&=mX \pm \sqrt{a^2 m^2+b^2} \\ l_{2}:\,Y&=-\frac{X}{m} \pm \sqrt{\frac{a^2}{m^2}+b^2} \end{aligned} )] }}} 이때 식을 변형하여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_{1}:\,Y-mX&= \pm \sqrt{a^2 m^2+b^2} \\ l_{2}:\,mY+X&= \pm \sqrt{a^2+b^2 m^2} \end{aligned} )] }}} 으로 쓸 수 있고, 각각의 양변을 제곱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_{1}:\,Y^2-2mXY+m^2X^2&= a^2 m^2+b^2 \\ l_{2}:\,m^2 Y^2+2mXY+X^2&= {a^2+b^2 m^2} \end{aligned} )] }}} 각각을 더하고 정리함으로써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2+Y^2&=a^2+b^2 \end{aligned} )] }}} 이 나오게 된다. [math((X,\,Y))]가 기술하는 도형은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제곱이 [math(a^2+b^2)]인 원이므로 맨 위의 결과가 나오게 된다. === 성질 4 === [[파일:나무_타원_성질5.png|width=24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타원 [math(x^2/a^2+y^2/b^2 \,\,(a>b>0))]을 고려하고, 타원 위의 한 점 [math(\rm P)]를 지나는 접선 [math(l)]과 원점을 통과하며, [math(l)]과 평행한 직선과 타원과의 두 교점을 각각 [math({\rm A}(x_{1},\,y_{1}))], [math({\rm B}(x_{2},\,y_{2}))]라 하자. 이때, [math(\triangle \rm PAB)]는 일정하다. 이것의 증명은 [math(l)]의 기울기를 [math(m)]이라 놓으면, [math(l:\, y=mx \pm \sqrt{a^2 m^2+b^2})]이고, 직선 [math(\rm AB)]의 방정식은 [math(y=mx)]로 놓을 수 있다. 해당 직선과 타원의 방정식을 연립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frac{x^2}{a^2}+\frac{m^2 x^2}{b^2}=1 \quad \to \quad \frac{m^2 a^2+b^2}{a^2 b^2}x^2-1=0 )] }}} 따라서 이 방정식의 해는 [math(x_{1})] 혹은 [math(x_{2})]인데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두 근의 합은 [math(x_{1}+x_{2}=0)], 두 근의 곱은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x_{1}x_{2}=-\frac{a^2 b^2}{m^2 a^2+b^2} )] }}} 이므로 [math((x_{1}-x_{2})^2=(x_{1}+x_{2})^2-4x_{1}x_{2})]에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x_{1}-x_{2})^{2}=\frac{4a^2 b^2}{m^2 a^2+b^2} )] }}} 이다. 이때, [math(y_{1}=mx_{1})], [math(y_{2}=mx_{2})]에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_{1}-y_{2})^{2}=m^2(x_{1}-x_{2})^2 )] }}} 따라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overline{\rm AB}&=\sqrt{(x_{1}-x_{2})^{2}+(y_{1}-y_{2})^{2}} \\&=\frac{2a b\sqrt{1+m^2}}{\sqrt{m^2 a^2+b^2}} \end{aligned} )] }}} 을 얻을 수 있고, 삼각형 [math(\rm PAB)]의 높이는 원점에서 접선 [math(l)]까지의 거리이므로 다음과 같이 일정하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sqrt{m^2 a^2+b^2}}{\sqrt{1+m^2}} \end{aligned} )] }}} 따라서 아래의 결과를 얻는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triangle \rm PAB &=\frac{1}{2} \cdot \frac{2a b\sqrt{1+m^2}}{\sqrt{m^2 a^2+b^2}} \cdot \frac{\sqrt{m^2 a^2+b^2}}{\sqrt{1+m^2}} \\&=ab \end{aligned} )] }}} 이 문단에서는 특정한 타원을 예로 들었지만 이는 일반적인 타원에서 성립한다. 복잡하게 계산했지만 타원이 원의 선형변환인 것을 생각한다면 매우 당연한 성질이다. ==== 부가 성질 ==== 타원이 하나 주어져 있고, 두 초점 [math(\rm F)], [math(\rm F')]과 타원 위의 임의의 점 [math(\rm P)]에 대하여 삼각형 [math(\rm PF'F)]가 [[직각삼각형]]이라면 그 넓이는 짧은 반지름의 제곱의 값으로 일정하다. [[파일:나무_타원_직각삼각형.png|width=240&align=center]] 이것의 예로 그림과 같이 타원 [math(x^2/a^2+y^2/b^2 \,\,(a>b>0))]을 고려하여 증명하여 보자.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FF'}&=2c \\ \overline{\rm FP}&=t \\ \overline{\rm F'P}&=s \end{aligned} )] }}} 라 놓으면 타원의 성질에 의하여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s=2a \end{aligned} )] }}} 삼각형 [math(\rm PF'F)]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t^2+s^2=4c^2)] }}} 이에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2ts&=(t+s)^2-(t^2+s^2) \\ &=4(a^2-c^2) \\ &=4b^2 \end{aligned} )] }}} 한편 다음과 같이 일정하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triangle{\rm PF'F}=\frac{1}{2}ts=b^2)] }}} === 성질 5: 타원의 [[광학]]적 성질 === [[광학]]에서 빛은 반사한 표면에 대하여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게 반사된다. 이러한 광학적 성질이 타원에선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자. [[파일:나무_타원_광학적성질.png|width=24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초점이 각각 [math(\rm F)], [math(\rm F')]인 타원 위의 임의의 점 [math(\rm P)]에서의 접선 [math(l)]을 고려해보자. 만약 광선을 [math(\rm F \to \rm P)]로 방사하여 [math(\rm F')]에 도달했다고 하자. 이때, 빛이 이 경로로 따름을 증명하려면 [math(\angle \rm FPT=\angle \rm F'PQ)]임을 증명하면 된다.[* 다만 해당 각들이 각각 입사각, 반사각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입사각과 반사각은 접선과 수직이면서 접점과 수직인 직선과 광선과의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점 [math(\rm P)]가 아닌 접선 위의 임의의 점 [math(\rm Q)]를 고려해보자. [math(\rm Q)]가 [math(\rm P)]가 아니기 때문에 [math(\rm Q)]는 항상 타원의 외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성질 1에서 증명했던 바와 같이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Q}+\overline{\rm FQ}>\overline{\rm F'P}+\overline{\rm FP} )] }}} 따라서 접선 위의 임의의 점 [math(\rm R)]을 고려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R}+\overline{\rm FR} \geq \overline{\rm F'P}+\overline{\rm FP} )] }}} 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시켜려면, 점 [math(\rm F)]를 [math(l)]에 대해 대칭시킨 점 [math(\rm G)]와 [math(\rm P)], [math(\rm F')]은 한 직선 상에 있어야 한다. 한편, 삼각형 [math(\rm GPF)]는 [math(\overline{\rm PG}=\overline{\rm PF})]인 이등변삼각형이고, 점 [math(\rm T)]는 [math(\overline{\rm GF})]의 수직이등분점이므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angle{\rm GPT}=\angle{\rm FPT} )] }}} 이고, 맞꼭지각으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angle \rm FPT=\angle \rm F'PQ)] }}} 가 성립한다. 따라서 광선은 [math(\rm F \to \rm P \to \rm F')]에 도달한다. 이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타원 내부의 한 초점에서 방사된 빛은 다른 초점에서 모인다.''' || [[파일:나무_타원_광학추적_ai_NEW.png|width=240&align=center]] [[https://www.youtube.com/watch?v=BL0WT3uZjjk|타원 당구대]]와 같이, 기구 제작에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 성질 6 === [[파일:나무_타원_중심.png|width=24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중심이 [math(\rm O)]인 타원 [math(x^2/a^2+y^2/b^2=1 \,\, (a>b>0))] 위의 두 점 [math(\rm A)], [math(\rm B)]를 지나는 직선 [math(l)]을 고려하자. 이때, 평행한 [math(l)]들에 대하여 그 교점 [math(\rm A)], [math(\rm B)]의 중점의 자취는 '''타원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 위에 위치하게 된다. 더욱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타원의 두 점을 지나는 평행한 직선들에 대하여 그 교점의 중점의 자취는 타원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 이것의 증명은 [math(l:\, px+q)]이라 놓는 것부터 시작된다. [math({\rm A}(x_{1},\,y_{1}))], [math({\rm B}(x_{2},\,y_{2}))]라 두자. 이때, 직선 [math(l)]과 타원의 방정식을 연립함으로써 다음을 얻는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x^2}{a^2}+\frac{(px+q)^2}{b^2}&=1 \\ b^2 x^2+a^2 (px+q)^2-a^ 2b^2 &=0 \\ (a^2 p^2 +b^2)x^2+2a^2 pqx+a^2 q^2+a^2 b^2&=0 \end{aligned} )] }}} 이것의 해는 [math(x_{1})]과 [math(x_{2})] 중 하나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_{1}+x_{2}=-\frac{2a^2 pq}{a^2 p^2 +b^2} \end{aligned} )] }}} 만약 [math({\rm M}(X,\,Y))]라 놓으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frac{x_{1}+x_{2}}{2} \\&=-\frac{a^2 pq}{a^2 p^2 +b^2} \\ Y&=p \left( \frac{x_1+x_2}{2} \right)+q \\&=-\frac{a^2 p^2 q}{a^2 p^2 +b^2}+q \\&=\frac{-a^2 p^2 q+q(a^2 p^2 +b^2)}{a^2 p^2 +b^2} \\&=\frac{qb^2}{a^2 p^2 +b^2} \end{aligned} )] }}} 위 결과를 사용하면 [math(X)]와 [math(Y)]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Y=-\frac{b^2}{a^2 p}X)] }}} [math((X,\,Y))]가 기술하는 도형은 원점(타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해당 내용이 증명되었다. 위의 성질들을 이용하여 임의의 타원의 중심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다음의 단계를 따른다. [[파일:나무_타원중심_작도_ai.png|width=190&align=center]] 1. 타원에 두 점을 지나는 각각의 두 평행한 직선 [math(a)], [math(b)]를 그린다. 1. 직선 [math(a)]와 타원의 교점 [math(\rm A)], [math(\rm B)]의 중점 [math(\rm M)]을 찾는다. 1. 직선 [math(b)]와 타원의 교점 [math(\rm C)], [math(\rm D)]의 중점 [math(\rm N)]을 찾는다. 1. 직선 [math(\rm MN)]을 그린다. 1. 타원에 두 점을 지나는 각각의 두 평행한 직선 [math(c)], [math(d)]를 그린다. 단, 1에서 그린 직선의 기울기와는 다른 직선을 사용한다. 1. 직선 [math(c)]와 타원의 교점 [math(\rm D)], [math(\rm E)]의 중점 [math(\rm P)]을 찾는다. 1. 직선 [math(d)]와 타원의 교점 [math(\rm F)], [math(\rm G)]의 중점 [math(\rm Q)]를 찾는다. 1. 직선 [math(\rm PQ)]를 그린다. 1. 두 직선 [math(\rm MN)], [math(\rm PQ)]의 교점 [math(\rm O)]가 타원의 중심이 된다. === 성질 7 === 타원의 중심, 단축, 장축으로 초점을 찾아 보자. 타원의 중심에 타원의 긴 반지름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 후 그 원의 중심을 짧은 지름상의 꼭짓점으로 옮기면 장축과 해당 원이 만나는 두 교점이 타원의 초점이 된다. 계산의 단순화를 위해 타원 [math(x^2/a^2+y^2/b^2=1 \,\,(a>b>0))]로 계산해 보자. [[파일:나무_타원_초점찾기.png|width=240&align=center]] 위 그림과 같이 짧은 지름상에 있는 한 꼭짓점 [math(\rm P)]에 대해 타원의 성질에 의하여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P}+\overline{\rm PF}=2a )] }}} 이고, 두 삼각형 [math(\rm POF)], [math(\rm POF')]에서 [math(\overline{\rm OP})]는 공통, [math(\rm O)]는 타원의 중심이므로 [math(\overline{\rm OF'}=\overline{\rm OF})]이고, [math(\angle{\rm POF}=\angle{\rm POF'})]이므로 두 삼각형은 합동이므로 [math(\displaystyle \overline{\rm F'P}=\overline{\rm PF} )]이다. 따라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overline{\rm F'P}=\overline{\rm PF}=a )] }}} 임을 얻는다. 따라서 두 초점은 중심이 [math(\rm P)]이고, 반지름이 [math(a)]인 원 위에 있다. 또, 타원의 초점은 장축 위에 있으므로 곧 해당 원과 장축의 교점이 두 초점이 된다. == [[중심력]]장과 타원 == 중력장, 전자기장 등의 역제곱법칙을 만족하는 [[중심력]]장 하에서 중심력장에 속박된 물체는 외부의 힘을 받지 않을 경우 타원 운동을 한다. 행성과 항성들은 이러한 타원 궤도 위에서 [[케플러 법칙]]을 따라가며 움직인다. == 어원 == * '''한자어''' 본래는 橢圓(타원)[* 원래는 [[수나라]]의 국명에 쓰였던 隋에 길쭉하다는 의미도 있었는데 여기에 木을 붙여서 의미를 분화시킨 것이다.]이며 楕(타)는 橢(타)의 약자이다. 楕(타)와 橢(타)에는 '둥글 길쭉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타원이라는 용어는 자코모 로(Giacomo Rho, 나아각羅雅各, 1598~1638)의 「측량전의測量全義」(1631년)에 처음 등장한다.[[https://blog.naver.com/myjong1004/130001327815|#]] * '''영문''' * ellipse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폴로니우스가 [[원뿔곡선]]을 분류하며 붙인 이름으로, 절단면이 원뿔면보다 덜 기울어져 있는 것에 '모자라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ἔλλειψῐς에서 유래했다. * oval은 [[알]]을 뜻하는 라틴어 ovum에서 유래했다. == 관련 문서 == * [[수학 관련 정보]] * [[기하학]] * [[원뿔곡선]] * [[원(도형)]] * [[타원면]]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긴반지름, version=2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짧은반지름, version=28)] [[분류:해석 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