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CPU의 쿨러 유형, rd1=CPU 쿨러)] [include(틀:부동산)] ||[[파일:TowerAPT.jpg|width=500]]|| ||타워형 구조 아파트의 조감도 사진은 Y자 구조의 [[역삼동(강남구)|역삼동]] 개나리 SK뷰.|| ||[[파일:2016-07-17 22;57;48.jpg|width=400]]|| ||34평(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타워형 구조|| ||[[파일:2016-07-17 23;04;51.jpg|width=400]]|| ||49평(전용면적 123㎡) 아파트의 타워형 구조|| [목차] == 개요 == [youtube(0aoVMsDcTRI)] [[아파트]] 건물 모양이 ㅡ자가 아닌 Y자 혹은 T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다른 말로는 탑상형이라고도 한다. [[주상복합]] 아파트는 대부분 타워형 구조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일반 아파트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구조이다. 거실과 주방 두 방향만 조망할 수 있는 판상형과 달리 여러 방향으로 창이 나 있어 뷰가 다채로운 특징이 있으며, 거실과 방들이 복도를 두고 떨어져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판상형보다 잘 지켜질 수 있는 구조이다. 과거 2010년대 이전 주상복합 아파트들이 사용했던 타워형 구조는 환기가 불편하다는 평이 있었지만 요즘 지어지는 타워형은 환기나 채광 등이 많이 개선되어 판상형과 차이가 거의 없다. 그래도 이려한 인식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라서 아직은 [[판상형]] 구조보다 선호도가 약간 떨어지기에, 최근 건설사들은 타워형 세대를 정남향 또는 앞동에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선호도를 보완하는 편이다. == 장점 == * 판상형에 비해 외관이 세련되었다. * 작은 방들이 복도를 두고 거실과 떨어져 있으며 안방만 거실 쪽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부부와 자녀간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판상형보다 용이하다. * 거실과 부엌이 연결된 [[LDK]] 구조로 개방감이 뛰어나다. * 건설사에서 선호도 보완 및 판상형과의 수요 분산을 위해 앞동이나 정남향 배치를 받은 경우가 많다. * 판상형과 달리 여러 방향의 뷰를 감상할 수 있다. == 단점 == * 초기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쓰이던 타워형 구조는 주방에 창문이 없는 등 한 쪽 면에만 창문이 있는 경우가 많아 환기가 잘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이 타워형 전체에 대한 기피를 부른 원흉(...)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시공되는 대부분의 타워형 아파트는 초기의 타워형 아파트보다 구조나 창문의 배치가 많이 개선되어서 환기가 판상형 못지 않게 잘 되는 편이다. * 판상형 아파트에 비해 공사비가 많이 든다.[* 하지만 선호도 분산을 위해 분양가는 타워형이 판상형보다 대개 저렴하다(...)] * 아직까지는 판상형 타입에 비해 선호도가 약간 떨어진다. [[분류:건축물]][[분류:건축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