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타오위안 첩운|[[파일:타오위안 대중첩운 주식회사 로고.svg|height=30]]]]{{{#!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타오위안 공항 첩운 로고.svg|width=100]]||<(>{{{#9E56A2 '''{{{+1 桃園機場捷運}}}'''[br]Taoyuan Airport MRT[br]타오위안 공항 첩운}}}||}}}|| ||<-4><:>'''노선 정보'''|| ||<:>'''분류'''||<-3><:>도시철도|| ||<:>'''기점'''||<-3><:>[[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台北車站)|| ||<:>'''종점'''||<-3><:>[[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中壢)|| ||<:>'''역 수'''||<-3><:>25개[* 2, 3차 개통 구간 포함]|| ||<:>'''구성 노선'''||<-3><:>타오위안 공항 첩운|| ||<:>'''개업일'''||<-3><:>[[2017년]] [[3월 2일]]|| ||<:>'''소유자'''||<-3><:>[[타오위안|[[파일:타오위안시 휘장.svg|height=80]]]] [[신베이|[[파일:신베이시 휘장.svg|height=80]]]] [[타이베이|[[파일:타이베이시 휘장.svg|height=80]]]]|| ||<:>'''운영자'''||<-3><:>[[타오위안 첩운|[[파일:타오위안 대중첩운 주식회사 로고.svg|width=100]]]]|| ||<:>'''사용차량'''||<-3><:>[[타오위안 공항 첩운 1000형 전동차]][br][[타오위안 공항 첩운 2000형 전동차]]|| ||<:>'''차량기지'''||<-3><:>루주차량기지, 칭푸차량기지|| ||<-4><:>'''노선 제원'''|| ||<:>'''노선연장'''||<-3><:> 53.7 km|| ||<:>'''궤간'''||<-3><:>1,435㎜ [[표준궤]]|| ||<:>'''선로구성'''||<-3><:>[[복선]]|| ||<:>'''사용전류'''||<-3><:>[[제3궤조집전식|제3궤조]] 직류 750V|| ||<:>'''신호방식'''||<-3><:> [[지멘스]] Trainguard MT([[CBTC]]) || ||<:>'''영업속도'''||<-3><:>100㎞/h|| ||<:>'''설계최고속도'''||<-3><:>110㎞/h|| ||<:>'''통행방향'''||<-3><:>우측통행|| ||<:>'''개통연혁'''||<-3><:>2017년 3월 2일 타이베이 ~ 환베이 구간 개통[br]2023년 7월 31일 환베이~라오제시 구간 개통[br]2028년 7월 라오제시~중리 개통예정||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Taoyuan_International_Airport_Access_MRT_System_Map_in_operation.svg.png|width=100%]] || ||<-2><#fff> 노선도 || ||<:>[[파일:external/www.trsc.com.tw/ttyl.jpg|width=100%]]||<:>[[파일:external/media.zenfs.com/745e2d13-3606-4b56-a58c-aeca04711161.jpg|width=100%]]|| ||<#fff> 일반열차(普通車) ||<#fff> 급행열차(直達車) || {{{+1 桃園機場捷運 / Taoyuan Airport MRT}}} [목차] [clearfix] == 개요 == [[대만]] [[타오위안]]의 지하철인 [[타오위안 첩운]]의 [[도시철도]] 노선이자 [[타이베이시]]와 [[타오위안 국제공항]]을 잇는 [[공항철도]]. 타오위안시(64.01%), 신베이시(29.32%), 타이베이시(6.67%)가 대주주로 참여하는 타오위안첩운공사(桃園捷運公司)가 운영하는 노선이다. == 역사 == 개통에 우여곡절이 많았던 노선이다. 타오위안 국제공항과 타이베이 사이의 교통은 1979년 개항 이래 공항버스를 통해 이뤄지고 있었다. 하지만 운행경로인 [[중산고속공로]]의 정체가 극심해지면서 1990년대부터 공항철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시먼역]]을 출발해 타오위안 공항까지 이어지는 [[고무차륜열차]] 도시철도 노선인 중정공항첩운(中正機場捷運)[* '중정공항'은 타오위안 국제공항의 옛 명칭. 지금의 명칭으로 개정된 건 2006년이다.]이 입안되어 BOT 방식으로 건설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건설을 맡은 회사가 투자자금을 끌어오는 데 난항을 겪다가 결국 계획이 백지화되었다. 대안으로 [[타이완 고속철도]] 타오위안 공항역 건설,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공항행 지선 건설, 기존 계획 재추진 등의 방안이 있었으나 결국 기존 계획을 다시 추진하되 정부가 직접 짓기로 하였다. 그 과정에서 계획이 조금 수정되어 고무차륜열차에서 일반 중전철로 바뀌고 기점역을 [[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함께 계획되어 있었던 타오위안 첩운 남선(桃園捷運藍線)과 직결하기로 하였다. 중정국제공항이 이름을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바꾼 것을 반영해 노선 이름도 타오위안 공항 첩운(桃園機場捷運)으로 바뀌었고, 마침내 2006년에 공사를 시작했다. [[타이베이 첩운]] 등과 달리 현 경계를 넘나드는 철도였기 때문에 공사는 중앙정부에서 맡았지만 운영사는 결정되지 않았는데, 타이베이 첩운 운영사가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해 언론에서 '''타이베이 첩운 자선(台北捷運紫線)'''이라는 이름이 종종 쓰였지만 2009년에 [[타이베이시]], [[신베이시]](당시 타이베이현), [[타오위안시]](당시 타오위안현)가 출자한 타오위안첩운공사가 운영하게 되면서 '타이베이 첩운' 네트워크에는 포함되지 않게 되었다. 그리하여 시설은 2012년에 완공되었고 이 때 [[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台北車站)]] ~ 공항 터미널 2역(機場第二航廈站)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었지만, 선로와 역사 준공 후 부실공사 논란과 신호 체계의 결함으로 인해 개통이 7번이나 연기되는 수모를 겪는다. 그러는 동안 2차 개통 구간인 환베이역(環北站)까지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5년이 지난 2017년에야 보수를 마치고 [[2017년]] [[3월 2일]]에 정식 개업했다. 이렇게 공사기간이 길어지면서 요금 또한 비싸지는 계기가 되었다. == 운행 == [[공항철도]] 본연의 임무는 물론, [[타이완 철로관리국|TRA]]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종관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신베이]]와 [[타오위안]]의 [[중산고속공로]]변 신도시 통근 수요를 처리하는 MRT 임무도 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북부지역 일대 주민이 [[서울]]로 접근하는데 큰 의의가 생긴 [[인천공항철도]]와 비슷하다. 그리고 대만 첩운 노선 최초로 급행열차를 운행하고 있는 점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과도 비슷하다. 열차는 일반열차와 급행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일반열차는 전 구간에서 운행하고 한국 지하철과 동일한 수준의 통근형 롱시트 열차로 운행하고 있고, 급행열차도 전구간에서 운행하지만 평일 아침/저녁시간대 각 3왕복, 토/휴일 6왕복을 제외하고는 전부 타오위안 공항 2터미널역까지만 운행하며, 박스 시트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원래는 [[환베이역]]까지 상시 급행을 굴릴 예정이었으나, [[타오위안시]]의 예산 문제로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이후로는 '''대피선을 [[링항역]] 한 개만 만들어서''' 이렇게 됐다. 일반열차에는 트렁크 수납공간만 있는 반면, 급행열차에는 트렁크 수납공간은 물론이고, 무선기기 충전이 가능하며, Wi-Fi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이 노선 역시 대만의 대중첩운법이 적용되어 다른 첩운 노선들처럼 물을 포함한 취식이 금지되어 있다. 급행열차에는 테이블과 컵홀더도 마련되어 있지만, 이는 과거 운영주체가 결정되기 전에 차량이 발주되었던 흔적이다. 타이베이역 ~ 타오위안 공항 제2터미널역 간 소요시간은 일반열차 47~50분[* 47분은 이른 아침이나 늦은 밤 급행이 없는 시간대에 대피 없이 운행하는 몇몇 열차에 한함. 나머지들은 예외없이 급행 대피가 있다.], 급행열차 38분이다. 일반, 급행 모두 15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두 열차의 차량은 대부분 [[일본]]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생산되었으나 일반열차 차량 중 일부가 대만의 타이완차량주식회사(TRSC)[* [[탕엥]] 등 대만 내 열차 제작 회사가 합병한 회사로, 한국의 현대로템과 비슷한 케이스다.]에서 라이센스 생산되었다. 급행열차는 전량 일본 [[가와사키 차량|가와사키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일반열차는 4량, 급행열차는 5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장래 제 3터미널 개항과 [[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까지 연장이 완료되면 급행열차는 현재 시종점역인 [[공항 터미널 2역]]을 넘어 '''공항 터미널 3역''' - [[타오위안역(고속철도)|고속철도 타오위안역]] - [[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에 정차할 예정이다. [[타오위안 공항 첩운]]은 일부 도시와 국가처럼 탑승수속과 출국심사, 수하물 탁송이 가능한 [[도심공항터미널#s-2.2.3|도심공항 체크인(In-town Check-in) 서비스]]를 [[타이베이역]]과 [[신베이산업단지역]]에서 제공한다. [[타이베이역]] 서비스 제공 항공사는 [[중화항공]], [[에바항공]], [[만다린항공]], [[유니항공]], [[캐세이패시픽항공]], [[스타럭스항공]]이며 '''이용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다.''' [[신베이산업단지역]] 서비스 제공 항공사는 [[중화항공]], [[에바항공]], [[만다린항공]], [[유니항공]], [[타이거항공 타이완]]이며 '''이용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다.''' 운행이 시작되면서 [[타이베이]]와 [[타오위안 국제공항]] 간 편리한 이동은 물론, [[타오위안 국제공항]]과 [[타이완 고속철도|THSR]] [[타오위안역(고속철도)|타오위안역]] 간 이동도 수월해져 공항과 [[타이완]] 중남부[* [[타이중]], [[타이난]], [[가오슝]] 같은 주요 대도시와 [[타이완 고속철도|THSR]]이 지나는 도시인 [[신주시|신주]], [[먀오리]], [[장화현|장화]], [[윈린]], [[자이시|자이]]까지.]의 접근성도 높아지게 됐다. 타오위안 공항 첩운 타이베이역은 [[타이완 철로관리국|TRA]] [[타이베이역]] 서쪽 부지에 위치해 있어 [[타이베이 첩운|MRT]] 타이베이역과 꽤 떨어져 있다. 오히려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MRT]] [[베이먼역]]과 더 가까우며 여차하면 타이베이의 대표 번화가인 [[시먼역]]까지는 걸어가도 될 거리다. 이처럼 타이베이역 접근성이 생각보다 떨어지고 버스요금이 공항철도보다 더 저렴해서, 공항철도 개통 이후 폐지가 예정되어 있었던 타이베이역-공항 간 버스[* 국광버스에서 운행하는 1819번 버스 등]는 야간 운행 등의 수요가 있어 지금도 절찬리 운행중이다. 1840번이나 5203번 등의 버스는 시내 안쪽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더 편리한 점도 있다. 영업거리는 [[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台北車站)]]에서 [[타오위안 국제공항]]을 경유해 [[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中壢車站)]]까지 총 53.7km. 2023년 7월 기준 라오제시역까지 열차가 운행한다. 추후 [[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까지 완전 개통이 이루어지면 [[타이완 고속철도|THSR]]을 이용하지 않고 타이완 중남부 지역으로 향하는 [[타이완 철로관리국|TRA]] 이용객의 편의가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과 [[타오위안 국제공항]] 인근, 체육대학역(體育大學站)과 [[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 인근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모두 지상 고가 구간이다. 노선이 지나는 지역의 지형 기복이 상당해 중전철 치고는 상당한 급경사를 자랑한다.[* 최고 49.2퍼밀. 한국의 중전철 경사는 최고 35퍼밀이다. 이는 상술했던 것처럼 초기에는 [[고무차륜열차]] 방식으로 노선이 계획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중전철로 변경하면서 구배, 곡선을 완화했지만, 여전히 후덜덜한 수치의 급경사이다. 이 때문에 일반열차, 급행열차 전동차 전 편성이 전량 동력차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중간 급경사와 급커브 구간이 꽤 있어 표정속도를 깎아먹는데 이러한 점만 없어도 지금보다 운행시간 단축과 속도 향상을 이룩할 것이다. 향후 지속적으로 역을 늘릴 계획이며, 계획에 따르면 최종 완공은 [[티스푼 공사]] 때문에 2028년으로 밀린 상태이다. [[중리역(타오위안)|중리역]]에서 한 정거장 연장한 중리체육공원역 구상이 발표된 적이 있는데, 이 구간은 원래 계획대로 타오위안 첩운 녹선의 지선으로 갈지 아니면 공항선의 연장선에 포함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 요금 체계 == 기본요금은 [[신 대만 달러|NT$]]20 이며 최대 운임 상한선은 NT$150이다. 이후로는 아무리 멀리 가도 NT$150만 부과된다. 요금은 타이베이역 ~ 타오위안 공항 1터미널 / 2터미널 역 구간 기준 NT$150. 현지에서는 비싸다고 말이 많은데[* 그렇게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 이노선의 시종점역인 타이베이역~중리역 구간을 기존철도로 가면 [[쯔창하오]]의 지정석 기준 NT$89이며, [[구간차]]나 쯔창하오의 입석을 이용하면 NT$57이기 때문이다. 고작 도시철도 수준의 역할을 하는 노선이 특급 지정석 기준으로도 2배가량 비싸고 보통열차와 비교하면 거의 3배가 비싸다. 동일 구간에서 공항철도가 영업거리는 더 길지만 비슷한 영업거리인 타이베이역-공항호텔역 구간과 비교해도 심하게 비싼 수준이다. 거기에 속도가 그렇게 빠른 것도 아니라서 같은 거리로 놓고 보면 구간차보다도 느리다.] 이것도 그나마 10달러 낮춘 것이다. 참고로 개통 초창기 MRT요금은 NT$160이었는데 이 요금은 타이베이-타오위안 간 고속철도 요금과 동일하다.[* 참고로 인천공항철도는 공항2터미널-서울역간 일반열차 요금이 현금기준 4850원, 대만달러로 대략 100달러 초반 수준으로 이 노선보다 30% 안쪽으로 저렴하다. 심지어는 수도권 전철과 환승도 가능하다. 그나마 직통열차는 기본요금이 9000원 정도라 이 노선보다 비싸다.] 직통열차와 일반열차 운임은 동일하므로 장거리 이용 시에는 직통열차를 이용하면 된다. 정기권 할인이 제공되는데 7일, 30일, 60일, 90일 단위의 정기권을 구입하면 최대 40%의 요금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7일 정기권의 경우 25% 할인이 제공된다. 그리고 10명 이상 승객이 사용 가능한 단체권을 구매하면 20%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1일권도 판매하는데 1일권을 이용하면 타이베이역에서 공항까지 왕복표 값은 뽑는다. 요금 지불은 현금으로 1회권을 구입하거나 [[이지카드]], [[이카퉁(대만)|이카퉁(i-pass)]], i-cash 3종의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이 외에 NFC 결제 방식으로 구글페이, 삼성페이, 애플페이도 사용할 수 있고 비접촉식 신용카드로 탑승이 가능하다. 또한 개찰구가 QR코드를 인식하기에 [[라인페이]]와 [[이카퉁(대만)|이카퉁페이]]로도 지불이 가능하다. 첩운 개통 후 공항 내 셔틀버스를 폐지(심야는 유지)하고 공항 첩운을 셔틀 교통편으로 사용하고 있다. 공항 터미널 1역 - 공항 터미널 2역 - 공항호텔역 구간은 교통카드 이용 시 무료 운임이 적용된다. [[타이베이 첩운]], [[타이베이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없는 대만 대중교통 특성을 감안할 경우 타이베이 시내까지 운행하는 공항버스를 이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심지어 공항철도 개통 이후로 버스편 운임이 내려갔기에 공항버스 이용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참고로 타오위안 공항 첩운과 타이베이 첩운 조인트 티켓도 판매하고 있는데, 48시간권과 72시간권 두 종류가 각각 NT$520, NT$600에 판매하고 있다. 공항철도 두 번 이용 시 NT$300이며, 타이베이 첩운이 기본 요금 NT$20에 웬만한 거리는 NT$35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된다. 장거리 이동의 경우 도중에 내려서 개찰구 나왔다 다시 타면 한 번에 쭉 가는 것보다 싸질 수 있다. 타오위안 공항에서 타이베이역은 3번으로 나눠 탈 경우 3번의 운임 합산을 최소 NT$100까지로 낮출 수 있다[* 운임이 100 나오는 조합의 경우의 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급행 정차역에서만 내렸다 타는 것이 가장 편하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개찰구를 몇번 빠져나와야 하는데다가 운행 간격이 15분이라 한국 돈 2500원 아끼려다 시간이 더 낭비될 수 있다. 저렴하게 공항으로 가고싶다면 차라리 버스편을 알아보는게 좋다. 타이베이역-창겅병원역 구간 시내버스 운임이 NT$30, 창겅병원역-타오위안 공항 전철 운임이 NT$50이며 고속도로로 직통 운행하며 최대 15분 간격으로 배차간격도 좋은 편이다. 다만 시내버스 정류장이 첩운역과 400m 거리라서 더운 날씨에 짐이 많으면 그냥 쭉 타고 오는게 나을 수 있다. 오히려 버스 + 공항첩운 조합은 첩운역과 거리가 있는 위안산 방면(936번), 쑹산공항과 싱톈궁역 방면(945번)에서 오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차량 == * [[타오위안 공항 첩운 1000형 전동차]] * [[타오위안 공항 첩운 2000형 전동차]] ||<:>[[파일:external/www.trsc.com.tw/ttyl.jpg|width=100%]]||<:>[[파일:external/media.zenfs.com/745e2d13-3606-4b56-a58c-aeca04711161.jpg|width=100%]]|| ||<#EEEEEE><:>[[타오위안 공항 첩운 1000형 전동차]] (일반열차, 普通車)||<#EEEEEE><:>[[타오위안 공항 첩운 2000형 전동차]] (급행열차, 直達車)|| == 역 일람 == [[파일:road_02-1_big.jpg|width=500]] 공항철도 특성상 환승노선에는 [[첩운]] 이외의 일반철도도 기록한다. 취소선은 미개통 역이나 미개통 구간을 나타낸다. 제2터미널역부터 중리역까지는 본래 타오위안 첩운 남선으로 계획되었던 구간이다. 현재에는 이 구간이 타오위안 공항 첩운으로 통합되었으므로 타오위안 공항 첩운으로 안내된다. ||<-9><#9E56A2><:>{{{#ffffff 타오위안 공항 첩운}}}|| ||<|2><:>노선명||<|2><:>역번호||<|2><:>한국어||<|2><:>중국어||<|2><:>영어||<-2><:>승강장||<|2><:>급행||<|2><:>환승노선|| ||<:>형태||<:>횡단|| ||<|27><:>桃園捷運[br]機場線|| A1 || [[타이베이역(타오위안 공항 첩운)|타이베이역]] || 台北車站 || Taipei[br]Main Station || │■││■│ || ○ || ◆ || {{{#e3002d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br]{{{#0072c6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br]{{{#05752b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베이먼역]]과 지하 연결통로가 있다.][br][[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height=20]] [[타이완 고속철도]][br][[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height=20]]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TRA 종관선]] || || A2 || [[싼충역|싼 충]] || 三重 || Sanchong || │■│ || ○ || ┃ || {{{#fca311 ●}}}[[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 || ~~A2a~~ || ~~[[얼충역|얼 충]]~~[* 계획 중] || ~~二重~~ || ~~Erchong~~ || || || ┃ || || || A3 || [[신베이산업단지역|신베이산업단지]] || 新北產業園區 || New Taipei[br]Industrial Park || {{{#gray │}}}■││■{{{#gray │}}} || ○ || ◆ || {{{#f9dd16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 || A4 || [[신좡부도심역|신좡부도심]] || 新莊副都心 || Xinzhuang Fuduxin || ■││■ || || ┃ || || || A5 || [[타이산역|타이산]] || 泰山 || Taishan || ■││■ || || ┃ || || || ~~A5a~~ || ~~[[푸런대학병원역|푸런대학병원]]~~ || ~~輔大醫院~~ || ~~Fu Jen University Hospital~~ || || || ┃ || ~~[[신베이 첩운]][br]우구타이산경전철~~ || || A6 || [[타이산구이허역|타이산구이허[br]{{{-2 (밍지과학기술대)}}}]] || 泰山貴和[br]{{{-2 (明志科大)}}} || Taishan Guihe[br]{{{-2 (Ming Chi University of Technology)}}} || ■││■ || || ┃ || || || A7 || [[국립타이완체육대학역|국립타이완[br]체육대학[br]{{{-2 (구이산러산)}}}]] || 體育大學[br]{{{-2 (龜山樂善)}}} || National Taiwan Sport University[br]{{{-2 (Guishan Leshan)}}} || ■││■ || || ┃ || || || A8 || [[창겅병원역|창겅병원]] || 長庚醫院 ||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 │■││■│ || || ◆ || || || A9 || [[린커우역|린커우]] || 林口 || Linkou || ■││││■ || || ┃ || || || A10 || [[산비역|산 비]] || 山鼻 || Shanbi || ■││■ || || ┃ || || || A11 || [[컹커우역|컹커우]] || 坑口 || Kengkou || {{{#gray │}}}■││■{{{#gray │}}} || || ┃ || ~~타오위안 첩운 녹선~~ || || A12 || [[공항 터미널 1역|공항 터미널 1]] || 機場第一航廈 || Airport Terminal 1 || │■│ || ○ || ◆ || || || A13 || [[공항 터미널 2역|공항 터미널 2]] || 機場第二航廈 || Airport Terminal 2 || ■││■ || || ◆[* 대부분 급행열차 종착. 일부 열차 환베이까지 운행.] || || || ~~A14~~ || ~~[[공항 터미널 3역|공항 터미널 3]]~~[* 아직 공사중인 터미널이며 현재는 모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한다. 급행은 이 역이 개통하는 즉시 정차 예정이다.] || ~~機場第三航廈~~ || ~~Airport Terminal 3~~ || || || --◆-- || || || A14a || [[공항호텔역|공항호텔]] || 機場旅館 || Airport Hotel || │■│ || ○ || ┃ || || || A15 || [[다위안역|다위안]] || 大園 || Dayuan || ■││■ || || ┃ || || || A16 || [[헝산역|헝 산]] || 橫山 || Hengshan || ■││■ || || ┃ || ~~타오위안 첩운 녹선~~ || || A17 || [[링항역|링 항[br]{{{-2 (다위안국제고)}}}]] || 領航[br]{{{-2 (大園國際高中)}}} || Linghang[br]{{{-2 (Dayuan International Senior High School)}}} || {{{#gray │}}}■││■{{{#gray │}}} || || ┃ || || || A18 || [[타오위안역(고속철도)|고속철도[br]타오위안]] || 高鐵桃園站 || Taoyuan HSR Station || ■││■ || ○ || ◆ [*A 일부 급행열차 정차] ||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height=20]] [[타이완 고속철도]] || || A19 || [[타오위안체육공원역|타오위안[br]체육공원]] || 桃園體育園區 || Taoyuan[br]Sports Park || ■││■ || || ┃ || || || A20 || [[싱난역|싱 난]] || 興南 || Xingnan || ■││■ || || ┃ || || || A21 || [[환베이역|환베이]] || 環北 || Huanbei || │■│ || ○ || ◆ [*A] || || || A22 || [[라오제시역|라오제시]] || 老街溪 || Laojie River || │■│ || ○ || - [* 신호상 문제로 인해 급행열차 시종점은 환베이역이므로 라오제시역에 들어오지 않는다.] || || || ~~A23~~ || ~~[[중리역(타오위안)|중 리]]~~[* 2028년 개통 예정] || ~~中壢~~ || ~~Zhongli~~ || --│■│-- || --○-- || -- - -- ||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height=20]]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TRA 종관선]] || || ~~A24~~ || ~~[[중리체육공원역|중리체육공원]]~~[* 구상 중 ] || ~~中壢體育園區~~ || ~~Zhongli[br]Sports Park~~ || || || || ~~타오위안 첩운 녹선 중리지선~~ || == 전구간 주행 영상[* 운전실에서 촬영한 영상들이다.] == || [youtube(GEYrgEZ1Ozg)] || [youtube(lnyGpJRfrnw)] || || 일반열차 타이베이-환베이 전구간 전면 주행 영상 || 일반열차 환베이-타이베이 전구간 전면 주행 영상 || || [youtube(1I1wQo6iKik)] || [youtube(KVfyxQkDKGk)] || || 급행열차 타이베이-공항 터미널 2 전구간 전면 주행 영상 || 급행열차 공항 터미널 2-타이베이 전구간 전면 주행 영상 || [[분류:타오위안 공항 첩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