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킹스 칼리지 런던)] [include(틀:킹스 칼리지 런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CL 출신 인물 Banner_02.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fff {{{-2 '''KCL Alumni Community'''}}}[br]{{{-1 '''관련 영상'''}}}}}} }}} || ||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lWocHm0pO0, height=27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J3CAa6Gbl0, height=27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g5fwEn4LBE, height=27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7v8eBqybSA, height=270)]}}} || }}}}}} || [[킹스 칼리지 런던]]('''KCL''')을 거쳐간 모든 '''출신 인물'''들에 관한 정보를 서술한 문서. 본 대학에서 '''출신 인물'''의 정의는 '''동문'''(학위를 수여받거나 학업을 이수, 혹은 공부했던 인물들)을 비롯 '''이사'''(Principal & President), '''의장'''(Chairman of the Council), '''교수''', '''강사''', '''연구원''' 그리고 '''주임 사제'''(Dean)등의 신분으로 재직했던 인물들을 총칭한다. 본 문서에서는 '''동문'''과 '''교원'''(이사, 교수, 강사, 연구원)으로 항목을 나눠서 '''KCL 출신 인물'''에 대해 서술한다. === 참고 자료 === '''KCL'''과 관련있는 인물들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자료들을 참고하길 바란다 ''':''' * [[https://www.kcl.ac.uk/about/our-people/nobel|[[파일:KCL 아이콘.png|width=18]] {{{#000,#white King's College London - Nobel Laureates ''':''' 노벨상 수상자}}}]] * [[https://www.kcl.ac.uk/about/our-people/fellows-of-kings|[[파일:KCL 아이콘.png|width=18]] {{{#000,#white Fellows of King's College London ''':''' 킹스 칼리지 런던 평의원 (FKC)}}}]][* 1847년 제정된 대학 평의원직으로 '''KCL'''을 거쳐간 출신 인물들을 대상으로 대학 이사회에서 선정 및 수여한다. '''KCL'''이 개인에게 수여할 수 있는 최고위 명예직으로 '''대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공인한다'''는 뜻이다.[br][br]동문 중엔 [[데즈먼드 투투]], [[피터 힉스]], [[쉬리다스 람팔]] 등이 있으며, 교원 출신 중엔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모리스 윌킨스]], [[제임스 화이트 블랙]] 등이 '''KCL''' 평의원직을 수여받은 대표적인 인물들이다.[br][br]'''KCL'''에서 학업을 이수하지 않았거나 재직하지 않은 인물들 중에서도 평의원직을 수여받은 인물들이 간혹 있는데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대표적이다. 비비안은 지난 2008년 '''KCL'''의 새로운 졸업식 가운 디자인 및 대학의 기타 색상 지정에 기여한 공로로 '''자신의 재능으로 대학의 발전에 기여한 자'''로 인정 받아 수여받은 것이며, 이는 특수한 케이스다.[br][br]'''KCL'''의 평의원직을 수여받은 인물들은 이름에 '''FKC'''가 따라 붙는다.]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Principals_of_King%27s_College_London|[[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18]] {{{#000,#white List of Principals of King's College London ''':''' 역대 이사 (Principal & President)}}}]]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deans_of_King%27s_College_London|[[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18]] {{{#000,#white List of Deans of King's College London ''':''' 역대 주임 사제 (Dean)}}}]]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lumni_of_King's_College_London|[[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18]] {{{#000,#white List of alumni of King's College London ''':''' 주요 동문 목록}}}]][* 동문 전체에 관한 목록이 아닌 대표적 인물들을 간추린 명단] *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Alumni_of_King%27s_College_London|[[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18]] {{{#000,#white Category: Alumni of King's College London ''':''' 동문 – 위키피디아 분류}}}]][* [[위키피디아]]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들 중 '''KCL'''에서 학위를 수여받거나 학업을 이수한 인물들을 지칭] *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Academics_of_King%27s_College_London|[[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18]] {{{#000,#white Category: Academics of King's College London ''':''' 교원 (교수 • 강사 • 연구원) – 위키피디아 분류}}}]] *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Fellows_of_King%27s_College_London|[[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18]] {{{#000,#white Category: Fellows of King's College London ''':''' 킹스 칼리지 런던 평의원 (FKC) – 위키피디아 분류}}}]] == 상세 == === 한국 관련 출신 인물 === * 본 항목의 리스트는 [[킹스 칼리지 런던]]과 관련있는 한국인(한국계 포함) 동문 및 교원을 포함한 출신 인물들에 관한 정보이다. ==== 동문 ==== || '''성명''' || '''관계''' || '''비고''' || || 김혜선 || [[학사]]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915000076|관련기사]]] || || [[이루마]] || [[학사]] || 뉴에이지 음악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https://www.kcl.ac.uk/kings-classical-alumni-playlist|King's Classical Alumni Playlist]] 참고] || || 방인성 || [[학사]] || 교회개혁운동을 이끌고 있는 한국의 목사. 교회개혁실천연대 고문 역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97006|관련기사]][br][[https://www.youtube.com/watch?v=v0bpoQGp2pE|JTBC 뉴스 인터뷰]]] || || 차원영 || [[학사]] || 차광렬 [[차병원그룹]] 회장의 장녀이자 김남호 [[DB그룹]] 회장 부인[*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27394|관련기사]]] || || [[피터 빈트]] || [[학사]] ||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영국인 방송인이자 영어 강사[* [[https://www.youtube.com/watch?v=KzwLKGbYrFM|조승연의 탐구생활 출연]][br][[https://www.youtube.com/channel/UC0pZ_A1ikxLTT161FMTIyIw|개인 YouTube 채널]]] || || [[이도훈]] || [[석사]] || 제8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제6대 외교부 제2차관 역임 || || [[이상식]] || [[석사]] || 부산지방경찰청장 및 국무총리비서실 민정실장 역임[* [[http://www.shinmoongo.net/149868|관련 기사]]] || || [[전성하]] || [[석사]] || 뇌과학자, 교육자, 기업인이자 정치인 || || [[조지은(언어학자)|조지은]] || [[박사]] || [[옥스퍼드 대학교]] [[https://orinst.web.ox.ac.uk/people/jieun-kiaer|{{{#black,#white 아시아–중동학부}}}]] 전임교수 || || 신동훈 || [[박사]] || 한국 작곡가 최초로 영국비평가협회가 수여하는 '젊은 작곡가상'을 수상한 음악인[*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18/2020061800225.html|관련기사]]] || ==== 교원 ==== || '''성명''' || '''관계''' || '''비고''' || || 전광호 || 교수 || 前 [[킹스 칼리지 런던]] [[https://www.kcl.ac.uk/dsd|{{{#black,#white 안보학부}}}]] 교수[* [[https://www.yna.co.kr/view/AKR20090609003200085|관련 기사]]] || || 이혜경 || 교수 || [[킹스 칼리지 런던]] [[https://www.kcl.ac.uk/cmci|{{{#black,#white 문화, 미디어, 창조산업학부}}}]] 교수[* [[https://www.kcl.ac.uk/people/hye-kyung-lee|King's People]]] || || 케이 조 || 교수 || [[킹스 칼리지 런던]] [[https://www.kcl.ac.uk/ioppn|{{{#black,#white 신경과학 및 기초 임상 신경과학부 (IoPPN)}}}]] 교수[* [[https://www.kcl.ac.uk/people/kei-cho-1|King's People]][br][[https://www.youtube.com/watch?v=TzS3Y9TNwZU|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br][[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19/2019121903689.html|관련 기사]]] || || [[오세훈]] || 방문연구원 || 제33•34•38•39대 [[서울특별시장]][* [[https://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5281021531&code=910100|경향신문 기사]]] || || [[박진]] || 방문연구원 || 제40대 [[외교부장관]] || === 동문 (한국 관련 인물 제외) === * ''' ''Alma Mater'' '''가 [[킹스 칼리지 런던]], 혹은 킹스 칼리지 런던의 전신(前身)[* * [[https://en.wikipedia.org/wiki/Queen_Elizabeth_College|{{{#black,#white Queen Elizabeth College}}}]][br]* [[https://en.wikipedia.org/wiki/Chelsea_College_of_Science_and_Technology|{{{#black,#white Chelsea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하 Chelsea College)[br]* {{{#black,#white King's College Hospital Medical School}}}[br]* {{{#black,#white Guy's Hospital Medical School}}}[br]* [[https://en.wikipedia.org/wiki/St_Thomas%27s_Hospital_Medical_School|{{{#black,#white St Thomas's Hospital Medical School}}}]][br]*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Medical_and_Dental_Schools_of_Guy%27s_and_St_Thomas%27_Hospitals|{{{#black,#white United Medical and Dental Schools of Guy's and St Thomas' Hospitals}}}]] (이하 UMDS)]인 인물들만 아래의 분야별 동문 리스트에 추가할 것. * 한국인 혹은 한국계 동문에 관한 정보는 위의 [[킹스 칼리지 런던/출신 인물#s-2.1.1|한국 관련 출신 인물 - 동문]] 항목에 추가하기 바란다. ==== 학술 • 교육 • 연구 • 기술 • 의료 분야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파일: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 교수.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막스 타일러|[[파일:막스 타일러_프로필.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시슬리 손더스|[[파일:시슬리 손더스_간호사.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피터 힉스|[[파일:Peter Higgs portrait_01.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이클 레빗|[[파일:마이클 레빗_KCL.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이클 호턴|[[파일:KCL_마이클 호턴_Portrait.jpg|width=150&height=205]]]]}}} || ||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white 프레더릭 G. 홉킨스}}}]] || [[막스 타일러|{{{#white 막스 타일러}}}]] || [[시슬리 손더스|{{{#white 시슬리 손더스}}}]] || [[피터 힉스|{{{#white 피터 힉스}}}]] || [[마이클 레빗|{{{#white 마이클 레빗}}}]] || [[마이클 호턴|{{{#white 마이클 호턴}}}]] || || {{{-2 [[케임브리지 대학교|{{{#black,#white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br][[틀:역대 왕립학회장|{{{#black,#white 제45대 왕립학회장}}}]]}}} || {{{-2 록펠러 재단[br]바이러스 연구소장}}} || {{{-2 세계 최초 호스피스[br]설립자}}} || {{{-2 [[에든버러 대학교|{{{#black,#white 에든버러 대학교 교수}}}]]}}} || {{{-2 [[스탠퍼드 대학교|{{{#black,#white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 {{{-2 [[앨버타 대학교|{{{#black,#white 리카싱 응용바이러스[br]연구소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피터 힉스]] ||[[힉스 입자]]로 유명한 이론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울프상]], [[폴 디랙|디랙 상]] 수상자[* [[https://www.kcl.ac.uk/people/peter-higgs|King's People - Peter Higgs]]] || ||[[시슬리 손더스]] ||말기 환자 간병 및 완화치료의 선구자. 간호학에서 [[호스피스]] 케어의 목적성과 중요성을 확립[* [[https://www.kcl.ac.uk/people/dame-cicely-saunders|King's People - Cicely Saunders]]] || ||[[막스 타일러]] ||[[황열병]]에 관한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남아공의 바이러스학자이자 면역학자 ||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 ||[[노벨 생리학·의학상]], 코플리 메달을 수상한 영국의 생화학자 || ||[[토머스 호지킨]] ||영국의 의사이자 병리학자. [[호지킨 림프종]]의 발견으로 유명[* [[https://www.kcl.ac.uk/people/thomas-hodgkin|King's People - Thomas Hodgkin]][br][br]'''KCL'''의 가이스 캠퍼스엔 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그의 이름을 딴 빌딩이 있다] || ||[[어니스트 스탈링]] ||생리학 분야의 기본이 되는 개념들과 법칙들을 정립한 영국의 생리학자[* [[https://www.kcl.ac.uk/people/ernest-starling|King’s People - Ernest Starling]]] || ||[[리처드 돌]] ||[[흡연]]과 [[폐암]]의 상관관계를 최초로 규명한 영국 출신의 의사이자 전염병학자. 로열 메달, 가드너 국제상, [[https://ko.wikipedia.org/wiki/%EC%87%BC%EC%83%81|쇼 상]] 수상자 || ||[[프랜시스 골턴]] ||빅토리아 시대의 유전학자 || ||[[존 밀른]] ||현대 지진학의 창시자. 최초의 근대적 수평 [[지진계]]를 발명한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광산 기술자. 로열 메달, 라이엘 메달 수상자[* [[http://www.japano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2|관련 기사]]] || ||[[레이몬드 카텔]] ||개인 심리적 구조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심리학자. 자기보고검사인 [[16 Personalities|16가지 성격요인]]으로 유명 || ||[[루이스 슬로틴]] ||[[맨해튼 계획]]에 참여했던 물리학자 || ||[[마이클 레빗]]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구조 생물학자이자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https://www.kcl.ac.uk/people/m-levitt2|King's People - Michael Levitt]]] || ||[[마이클 호턴]]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이자, [[래스커상]] 수상자. 헤파티티스 C와 헤파티티스 D 게놈 발견[* [[https://www.kcl.ac.uk/news/nobel-prize-medicine-kings-alumnus-michael-houghton-heptatitis-c|King's News Centre]]]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이자 인류 미래 연구소 창립 소장 || ||[[에이브러햄 피네오 게스너]] ||캐나다의 지질학자이자 발명가. [[등유]]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물로 원유의 증류공정을 최초로 발견 || ||[[패트릭 스텝토]] ||[[시험관 아기|체외수정]]을 개발해 불임치료에 획기적 돌파구를 마련한 영국 출신의 산부인과 의사[* 안타깝게도 1988년 사망하여 201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결국 스텝토와 시험관 아기를 공동으로 연구한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B2%84%ED%8A%B8_%EC%97%90%EB%93%9C%EC%9B%8C%EC%A6%88|로버트 에드워즈]] 혼자 수상하였다.] || ||[[앤서니 포슨]] ||단백질 신호전달과 [[암]] 연관성 연구로 유명한 과학자. [[울프상]], [[https://ko.wikipedia.org/wiki/%EA%B5%90%ED%86%A0%EC%83%81|교토 상]] 수상자. [[토론토 대학교]] 교수[*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05011203818|관련 기사]]] || ||헬렌 그윈본 ||영국의 식물학자이자 진균학자(眞菌學者). 대영제국 훈장 1등급(GBE) 수훈자 || ||[[키스 캠벨(생물학자)|키스 캠벨]] ||영국의 생물학자. 복제 양 [[돌리]]로 유명. 쇼 상 수상자 || ||로버트 존 바틀렛 ||영국의 심리학자. 前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Psychological_Society|영국 심리학회]](BPS) 회장 || ||마이클 피셔 ||통계역학의 다양한 분야, 특히 상전이와 임계 현상의 이론에 공헌한 영국의 물리학자. [[울프상]] 수상자 || ||앤드루 페이비언 ||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천문학연구소 교수이자 왕립천문학회(RAS) [[회장]] || ||스티븐 로즈 ||[[알츠하이머]] 병 치료와 기억 형성에 관여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신경생물학자 || ||[[에드워드 월터 몬더]] ||영국의 저명한 천문학자.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9A%B4%EB%8D%94_%EA%B7%B9%EC%86%8C%EA%B8%B0|몬더 극소기]]라는 태양 활동 주기 연구로 유명. 흑점 연구와 태양 자기장 연구로 태양 연구 분야에 크게 기여 || ||에드워드 제임스 스톤 ||영국의 천문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Astronomical_Society|왕립천문학회]](RAS) [[회장]]이자 RAS 골드 메달 수상자 || ||더들리 스탬프 ||20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지리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Geographical_Society|왕립지리학회]](Royal Geographical Society) [[회장]] || ||존 휴스 ||[[래스커상]]을 수상한 영국의 신경과학자. [[왕립학회]]회원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 || ||R. 존 엘리스 ||엽록체 관련 연구로 유명한 영국의 효소학자. 가드너 국제상 수상자 || ||리처드 홀스턴 ||영국의 유전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Institute_of_Cancer_Research|영국 암 연구소]](Institute of Cancer Research) 교수[*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693663&thread=22r08|관련 기사]]] || ||노린 머리 ||영국의 분자 유전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The_Genetics_Society|영국 유전학회]](Genetical Society) 회장 및 [[왕립학회]] 부회장 역임 || ||앤드루 킹 ||영국의 신경 생리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이자 영국 [[https://ko.nipponkaigi.net/wiki/Wellcome_Trust|웰컴 트러스트]] 재단 선임 연구원 || ||루돌프 피터스 ||영국의 생화학자. 로열 메달 수상자 || ||[[라자 라마나]] ||인도 최초의 핵실험을 주도한 핵물리학자. 인도 바바 원자력연구소(BARC) 소장, 인도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및 국방부 차관 역임[* [[https://www.joongang.co.kr/article/394151#home|중앙일보 부고 기사]]] || ||키스 걸 ||영국의 분자 미생물학자 겸 생화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이자 [[옥스퍼드 대학교/컬리지#s-5.34|세인트 에드문드 홀]]의 학장(Principal) || ||무하마드 압둘 바리 ||방글라데시계 영국인 물리학자. 前 [[https://en.wikipedia.org/wiki/Muslim_Council_of_Britain|영국 무슬림위원회]] 사무총장 || ||토머스 본드 ||영국의 외과의사. 세계 최초의 [[프로파일러]] 중 한명[*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Bond_(British_surgeon)|참고 1]] [[https://en.wikipedia.org/wiki/Offender_profiling|참고 2]]] || ||제임스 고언스 ||영국의 의사이자 면역학자. 로열 메달 수상자이자 [[울프상]] 수상자[*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0-020-0696-3|관련기사]]] || ||키프로스 니콜라이데스 ||영국의 의사이자 모체태아의학의 거두. 2020년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cademy_of_Medicine#Awards|NAM]] 수상자. [[넷플릭스]] 의학 다큐멘터리 [[https://www.youtube.com/watch?v=Fft5igeEIEM|서전스 컷: 수술대 위의 개척자들]] 시즌 1-1화 출연자 || ||앤드루 폴러드 ||영국의 면역학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개발처인 [[https://www.ovg.ox.ac.uk/|옥스퍼드 백신그룹]] 연구원장(Director)이자 영국 백신·접종 면역공동위원회([[https://en.wikipedia.org/wiki/Joint_Committee_on_Vaccination_and_Immunisation|JCVI]]) 의장(Chair) || ||토머스 아미티지 ||영국의 내과 의사. [[https://www.rnib.org.uk/|왕립 맹인 연구소]](Royal National Institute of Blind People)의 설립자[*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Armitage|위키피디아]] 참고] || ||조지 존슨 ||영국의 내과 의사. [[콜레라]]와 신장병 치료 연구의 선구자 || ||라이어널 스미스 빌 ||영국의 내과 의사. 의학 연구에서 현미경 관찰법(Microscopy)을 대중화시킨 장본인 || ||존 필 ||영국의 산부인과 의사. 1961 ~ 1973년까지 [[엘리자베스 2세]]의 칙임(勅任) 산부인과 전문의 역임 || ||러셀 브록 ||영국의 의사. 현대 [[https://en.wikipedia.org/wiki/Cardiac_surgery#Open_Heart_Surgery|개심수술]]의 선구자 || ||라이어널 펜로즈 ||영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유전학 전문의. [[래스커상]] 수상자 || ||피오나 우드 ||호주의 성형외과 의사. [[서호주 대학교]] 교수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Perth_Hospital|왕립 퍼스 병원]](Royal Perth Hospital) 이사(Director) || ||레이타 파리아 ||인도의 내과 의사이자 1966년 [[미스 월드]]우승자. 인도 여성 최초의 미인대회 우승자이자 미스 월드 출신 최초의 의사[* [[https://www.youtube.com/watch?v=Om19yynIZDE|참고]]] || ||사이먼 배런코언 ||영국의 임상 심리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교수겸 자폐증 연구소(ARC)와 아스퍼거 증후군 의심자 진료소(CLASS) 소장 || ||레이먼드 고슬링 ||영국인 과학자. '''KCL'''에서 박사과정 중 [[모리스 윌킨스]]와 [[로절린드 프랭클린]]을 도와 DNA 구조 발견에 기여[* [[https://www.youtube.com/watch?v=e9-ti4_LY68|King's College London - Ray Gosling on DNA research]][br][br 윌킨스와 프랭클린이 그의 박사과정 슈퍼바이저였다. 고슬링은 후에 '''KCL'''로 돌아와 교수로 활동했다.] || ||[[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 ||[[진핵생물]] 분류 체계로 유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테스토스테론 렉스#s-2.3|앵거스 존 베이트먼]] ||영국의 유전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 성(性) 선택 이론인 베이트먼의 원리([[https://en.wikipedia.org/wiki/Bateman%27s_principle|Bateman's principle]])로 유명 || ||[[마르셀로 글레이서]] ||[[다트머스 대학교]] 자연철학 애플턴 석좌교수이자 대중 저술가. [[템플턴상]] 수상자. 우주론 연구로 유명하며, 《최종 이론은 없다: 거꾸로 보는 현대 물리학》(A Tear at the Edge of Creation)의 저자 || ||재닛 손턴 ||영국의 구조생물학자.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자 [[https://www.ebi.ac.uk/|EMBL-EBI]]의 수장(Director). 구글 딥마인드가 개최한 단백질 구조 예측(CASP) 대회 대표 자문위원이자 심사위원 || ||존 에드윈 미드윈터 ||영국의 전기공학자. 영국 [[https://en.wikipedia.org/wiki/Institution_of_Electrical_Engineers|IEE]] 회장 역임 || ||[[존 울프 배리]] ||영국의 토목공학자. 런던의 대표 명물 [[타워 브리지]]의 설계자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Institution_of_Civil_Engineers|영국토목기술협회]](ICE) 회장 || ||헨리 딘 ||호주의 토목공학자. [[시드니]] 트램웨이와 호주-횡단철도 건설 || ||윌리엄 헨리 프리스 ||영국 [[웨일스]] 출신의 전기공학자 겸 발명가. 무선 전신술 발전에 기여. 영국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Science_Association|과학협회]](BSA)와 영국 [[https://en.wikipedia.org/wiki/Institution_of_Civil_Engineers|토목기술협회]](ICE) [[회장]] || ||헨리 마크 브루넬 ||영국의 토목공학자.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의 아들 || ||에드워드 미들턴 베리 ||19세기에 활동한 영국의 건축가. 런던의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Opera_House|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건축한 것으로 유명 || ||스티브 본 ||영국의 컴퓨터공학자. [[셸(컴퓨터)|본 셸]]의 개발자 || ||이언 컬리모어 ||영국의 컴퓨터공학자이자 수학자. 후에 [[https://en.wikipedia.org/wiki/Atari_Portfolio|[[아타리]] 포트폴리오]]가 되는 dip 포켓 PC의 최초 개발자 || ||조너선 엘리엇 에스브리지 ||영국의 간호사. 영국 [[https://en.wikipedia.org/wiki/Nursing_and_Midwifery_Council|간병인-조산사의회]](NMC) 초대 [[회장]](President) || ||아일라 스튜어트 ||영국의 간호사. 영국 세인트 바톨로뮤 병원(St Bartholomew's Hospital)의 간호 총 책임자이자 영국 왕립 간호사협회(Royal British Nurses' Association) 창립 멤버 || ||시어도라 터너 ||영국 [[세인트 토마스]]병원의 간호 총 책임자. 영국 간호사 노동조합인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College_of_Nursing|RCN]] [[회장]] || ||엘리스 피셔 ||미국 간호학의 선구자 || ||코포워롤라 아베니 프랫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 최초의 흑인 간호사이자 나이지리아 간호학계의 대모[* [[https://www.kcl.ac.uk/people/kofoworola-abeni-pratt|King’s People - Kofoworola Abeni Pratt]]] ||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 ||영국의 수학자. 수리물리학에서 중요한 클리퍼드 대수를 고안함 || ||마틴 J. 테일러 ||영국의 수학자. [[런던 수학회]]의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화이트헤드]] 상과 애덤스 상(Adams Prize) 수상자. [[옥스퍼드 대학교]]와 [[맨체스터 대학교]] 학장(Warden) 역임 || ||레오니트 미르스키 ||미르스키 정리, 미르스키-뉴먼 정리로 유명한 수학자 || ||토머스 윌모어 ||영국의 기하학자. 前 [[런던 수학회]] 부회장이자 [[더럼 대학교]] 석좌교수 || ||이디스 몰리 ||영국의 문인 학자. 영국 최초의 여성 [[교수|대학 교수]]이자 최초의 여성 학장(Chair)[* 現 레딩 대학교(University of Reading) 영문학과] || ||조 볼러 ||영국의 수학자, 교육자 겸 작가. [[스탠퍼드 대학교]]의 수학 교육학 교수이자 [[https://www.youcubed.org/|youcubed]]의 공동 창업자 겸 교무부장 || ||키스 데블린 ||미국의 수학자 겸 대중 저술가. [[스탠퍼드 대학교]]의 [[https://hstar.stanford.edu/#:~:text=H%2DSTAR%2C%20the%20Human%2D,make%20it%20more%20usable%20(and|H-STAR 연구소]] 공동 설립자 겸 상임이사 || ||존 캐도건 ||영국의 화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Society_of_Chemistry|영국 왕립 화학회]] 회장 || ||아서 더컴 ||영국의 화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Institution_of_Chemical_Engineers|화학공학 연구원]](IChemE) 회장 || ||제프리 오진 ||영국의 화학자. [[토론토 대학교]] 물질 화학과 석좌교수 || ||뭄타즈 알리 카지 ||파키스탄의 화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Pakistan_Academy_of_Sciences|파키스탄 과학 아카데미]] 회장. [[유네스코]] 이사회 멤버이자 과학 고문 || ||나이절 스크루턴 ||영국의 생화학자이자 생명공학 혁신가. [[맨체스터 대학교]] 교수 || ||하워드 돌턴 ||영국의 미생물학자.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 최고 과학 자문위원 (Chief Scientific Advisor) || ||에이브릴 캐머런 ||영국의 사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수재나 클라크 ||캐나다계 영국인 음악학 연구자이자 이론가. [[하버드 대학교]] 음악 대학 교수 || ||크리스틴 홀트 ||영국의 뇌과학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뇌과학 명예 교수 || ||타라 스와트 ||영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과학자. [[MIT]] 슬론 경영대학원과 '''KCL''' 부교수이자 대중 저술가 || ||미리엄 로스차일드 ||영국의 자연 과학자. [[벼룩]] 연구에 대한 그녀의 헌신을 기리고자 Flea Lady란 애칭으로 불림 || ||데이비드 벨러미 ||영국의 식물학자이자 작가, 환경운동가 || ||에릭 그로브 ||영국의 저명한 해군 사학자 겸 국방 전력 분석가 || ||알리 안사리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의 이란학 연구소 창립 멤버이자 교수 || ||하산 우가일 ||[[몰디브]] 출신의 수학자 겸 컴퓨터 공학자. 몰디브인 최초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이자 몰디브인 최초의 대학 교수 || ||아제이 카카르 ||영국의 의사. [[추밀원]] 소속 자문위원이자 [[UCL]] 외과 교수 || ||윌리엄 D. 리처드슨 ||영국의 생물학자 겸 교수. [[UCL]] Wolfson Institute 학장 || ||루이스 월퍼트 ||영국의 생물학자 겸 과학 저술가이자 방송인. [[UCL]] 생물학 명예교수 || ||나카야 우키치로 ||일본의 물리학자 겸 수필가 || }}}}}}}}} || ===== 고등교육기관 수장[* 영연방 국가의 대부분의 대학에서 총장(Chancellor)은 일종의 명예직으로 실권이 없으며 명목상의 수장이다. 대학을 운영하는 실질적인 수장은 부총장(VC), 또는 이사 혹은 회장(President, Principal, Rector, Director, Provost)으로 불리는 인물들에게 있다.[br][br]본 리스트는 대학뿐만 아니라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기관의 ('''KCL''' 출신의) 명목상 수장과 실질적 수장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br][br][[글래스고 대학교]]의 총장(Chancellor)인 [[캐서린 그레인저]]는 스포츠 선수로서의 업적이 더 크기 때문에 하단의 '''스포츠 분야'''에 서술되어 있으며, [[워릭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쉬리다스 람팔]]은 '''외교 분야''', 그리고 '''KCL'''의 이사(President & Principal)였던 '''헨리 웨이스'''는 상단의 '''역대 이사''' 목록에 서술되어 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조지 키친 ||영국의 종교인이자 신학자. 초대 [[더럼 대학교]] 총장(Chancellor) || ||찰스 제임스 마틴 ||영국의 과학자. 리스터 예방의학 연구소([[https://en.wikipedia.org/wiki/Lister_Institute_of_Preventive_Medicine|Lister Institute of Preventive Medicine]]) 이사(Director) || ||앤서니 셀던 ||영국의 사학자이자 [[토니 블레어]] 전기 집필로 유명한 작가. [[버킹엄 대학교]] 부총장(VC) || ||낸시 로스웰 ||영국의 신경과학자. 영국의학연구회(MRC) 의장. [[맨체스터 대학교]] 최초의 여성 [[https://www.manchester.ac.uk/discover/news/new-president-and-vice-chancellor-for-the-university-of-manchester/#:~:text=Professor%20Dame%20Nancy%20Rothwell%20has,of%20The%20University%20of%20Manchester.|이사]](President)[* [[https://www.kcl.ac.uk/people/dame-nancy-rothwell|King's People - Nancy Rothwell]]] || ||앨리슨 리처드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교육행정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부총장(VC) || ||리처드 사이크스 ||영국의 생화학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이사(Rector)[* [[https://web.archive.org/web/20110616091429/http://www3.imperial.ac.uk/aboutimperial/imperial_people/pastrectors/sykes|Imperial College London - Sir Richard Sykes]]] || ||앨릭 메리슨 ||영국의 물리학자. [[브리스톨 대학교]] 부총장(VC) || ||앤드루 헤인스 ||영국의 전염병학자.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LSHTM) 이사(Director) || ||재닛 리터먼 ||영국의 음악학자. 영국 [[왕립음악원]] 이사(Director)이자 [[미들섹스 대학교]] 총장(Chancellor) || ||베리 아이프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https://en.wikipedia.org/wiki/Guildhall_School_of_Music_and_Drama|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 이사(Principal) || ||로버트 앨리슨 ||영국의 지리학자. [[러프버러 대학교]] 이사(President) || ||조지프 포프 ||영국의 공학자이자 교육행정가. [[애스턴 대학교]] 부총장(VC) || ||로버트 스트리트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교육행정가. [[서호주 대학교]] 부총장(VC) || ||크리스틴 잉골프스도티르 ||아이슬란드의 약리학자. [[아이슬란드 대학교]] 이사(Rector)[* [[https://english.hi.is/staff/kring|University of Iceland]] 프로필] || ||케네스 헤어 ||캐나다의 기후학자.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이사(President) || ||제임스 배럿 ||호주의 안과 의사. [[멜버른 대학교]] 부총장(VC) || ||폴 웰링스 ||영국의 생태학자. [[울런공 대학교]]와 [[랭커스터 대학교]] 부총장(VC) || ||맬컴 길리스 ||호주의 음악학 연구자이자 언어학자. [[런던 시티 대학교]]와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부총장(VC) || ||프레더릭 로버트슨 ||영국의 법조인이자 교육행정가. [[펀자브 대학교]] 부총장(VC) || ||바니 피티야나 ||남아공의 인권 변호사 겸 신학자. [[남아프리카 대학교]](UNISA) 부총장(VC) || ||크리스 타일러 ||영국의 공학자. [[브래드포드 대학교]] 부총장(VC) || ||앤 라이트 ||영국의 영문학자. [[선더랜드 대학교]] 부총장(VC) || ||스티브 웨스트 ||영국의 발병 전문가. [[웨스트 오브 잉글랜드 대학교]](UWE Bristol) 부총장(VC) || ||케네스 바커 ||영국의 음악학 연구자 겸 교육 행정가. [[드몽포트 대학교]], [[웨스트 런던 대학교|테임즈 벨리 대학교]][* 現 [[https://en.wikipedia.org/wiki/University_of_West_London|웨스트 런던 대학교]]] 부총장(VC) || ||버너뎃 포터 ||영국의 수녀이자 교육행정가. [[로햄튼 대학교]] 부총장(VC) || ||롭 워너 ||영국의 신학자. [[플리머스 마존 대학교]] 부총장(VC) || }}}}}}}}} || ==== 문학 분야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존 키츠|[[파일:John Keats_Portrait.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토머스 하디|[[파일:파일토머스 하디_portrait_02.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윌리엄 서머싯 몸|[[파일:W. Somerset Maugham At The Villa Mauresque.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버지니아 울프|[[파일:버지니아 울프_Colour.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서 C. 클라크|[[파일:아서 C. 클라크 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알랭 드 보통|[[파일:Alain_de_Botton.jpg|width=150&height=205]]]]}}} || || [[존 키츠|{{{#white 존 키츠}}}]] || [[토머스 하디|{{{#white 토머스 하디}}}]] || [[윌리엄 서머싯 몸|{{{#white 서머싯 몸}}}]] || [[버지니아 울프|{{{#white 버지니아 울프}}}]] || [[아서 C. 클라크|{{{#white 아서 C. 클라크}}}]] || [[알랭 드 보통|{{{#white 알랭 드 보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아서 C. 클라크]] ||[[SF]] 소설의 거장[* [[https://www.kcl.ac.uk/people/arthur-c-clarke|King's People - Arthur C. Clarke]]] || ||[[버지니아 울프]]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유명한 작가[* [[https://www.kcl.ac.uk/people/virginia-woolf|King's People - Virginia Woolf]]] || ||[[존 키츠]]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영국의 시인[* [[https://www.kcl.ac.uk/people/john-keats|King's People - John Keats]]] || ||[[존 러스킨]]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저명한 예술 평론가이자 사회 사상가 겸 독지가 || ||[[토머스 하디]] ||[[테스|더버빌가의 테스]]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겸 시인 || ||[[W. S. 길버트|윌리엄 슈웽크 길버트]] ||영국의 극작가이자 시인 || ||[[윌리엄 서머싯 몸]] ||영국의 소설가 겸 극작가 || ||[[크리스토퍼 이셔우드]] ||영미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퀴어’를 대표하는 인물로 동성애 인권 운동에도 크게 기여 || ||[[하니프 쿠레이시]] ||영국의 극작가이자 소설가. [[더 타임스]]가 선정한 1945년 이후 최고의 영국 작가 50인 중 한명. [[https://en.wikipedia.org/wiki/PEN_Pinter_Prize|펜 핀터 상]] 수상자 || ||[[마이클 모퍼고]] ||영국 아동용 소설의 대가이자 시인 겸 오페라 대본 작가[* [[https://www.kcl.ac.uk/people/sir-michael-morpurgo|King’s People - Michael Morpurgo]]] || ||[[애니타 브루크너]] ||[[부커 상]]을 수상한 영국의 미술사학자이자 소설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최초의 여성 슬레이드 석좌교수. 영국 학술원 회원 및 대영제국 커맨더 훈장 수훈자 || ||[[수잔 힐]] ||[[우먼 인 블랙]]으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월간 칼럼니스트[* [[https://www.kcl.ac.uk/people/susan-hill|King's People - Susan Hill]]] || ||[[알랭 드 보통]] ||스위스 출신의 철학자이자 소설가 겸 수필가[* [[https://www.kcl.ac.uk/people/alain-de-botton|King's People - Alain de Botton]]] ||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s-2|폴라 브로드웰]] ||미국의 작가이자 [[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의 육군 예비역 중령. 제4대 CIA 국장이었던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의 전기 작가이자 그와의 불륜 스캔들로 유명 || ||실비아 윈터 ||캐리비안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흑인과 탈식민지적 상황에 대해 연구한 학자 || ||모린 더피 ||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 겸 소설가. 영국 [[https://en.wikipedia.org/wiki/Royal_Society_of_Literature|왕립문학회]](Royal Society of Literature) 벤슨 메달 수상자[* [[https://en.wikipedia.org/wiki/Benson_Medal|Benson_Medal]], [[https://www.kcl.ac.uk/people/maureen-duffy|King's People - Maureen Duffy]]] || ||존 랠스턴 소울 ||캐나다의 저술가이자 수필가. [[https://pen-international.org/|국제PEN클럽]](International PEN) [[회장]] || ||세실 스콧 포레스터 ||[[혼블로워]] 시리즈로 유명한 영국의 작가 || ||아프리카누스 호턴 ||시에라리온 출신의 크리오 아프리카 민족주의 작가이자 영국군 군의관[* [[https://www.kcl.ac.uk/people/africanus-horton|King's People - Africanus Horton]]] || ||래드클리프 홀 ||영국의 작가. 소설 '고독의 우물'(The Well of Loneliness)로 유명 || ||퀜틴 크리스프 ||[[스팅]]의 노래 Englishman in New York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영국 출신의 작가 겸 배우이자 동성애 인권운동가 || ||쿠쉬완트 싱 ||인도 문학을 대표하는 저명한 작가이자 법조인. 인도의 前 [[상원의원]] || ||리처드 코스텔라네츠 ||미국의 작가이자 예술 비평가 || ||로런스 노퍽 ||영국의 소설가. [[서머셋 몸|서머싯 몸]] 문학상 수상작인 랑프리에르의 사전으로 유명 || ||그윈 다이어 ||캐나다 출신의 작가이자 칼럼니스트 겸 군사 역사학자[* [[https://gwynnedyer.com/|개인 웹페이지]]] || }}}}}}}}} || ==== 종교 분야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처칠 줄리어스|[[파일:Churchill Julius 뉴질랜드관구장.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데즈먼드 투투|[[파일:데즈먼드 투투_Profile_Portrait_02.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지 캐리|[[파일:조지 캐리 대주교.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너선 색스|[[파일:조너선 색스_템플턴 수상자_프로필_01.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리처드 클락|[[파일:리처드 클락 아마 관구장좌 대교구 관구장 주교.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라 멀랠리|[[파일:사라 멀랠리 주교.jpg|width=150&height=205]]]]}}} || || [[처칠 줄리어스|{{{#white 처칠 줄리어스}}}]] || [[데즈먼드 투투|{{{#white 데즈먼드 투투}}}]] || [[조지 캐리|{{{#white 조지 캐리}}}]] || [[조너선 색스|{{{#white 조너선 색스}}}]] || [[리처드 클락|{{{#white 리처드 클락}}}]] || [[사라 멀랠리|{{{#white 사라 멀랠리}}}]] || || {{{-2 초대 성공회[br]뉴질랜드관구장}}} || {{{-2 제10대 성공회[br]남아프리카관구장}}} || {{{-2 [[캔터베리 대주교|{{{#black,#white 제103대[br]캔터베리 대주교}}}]]}}} || {{{-2 연합 히브리 회중[br]최고 랍비}}} || {{{-2 성공회[br]아일랜드관구장}}} || {{{-2 제133대 성공회[br]런던교구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데즈먼드 투투]]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철폐에 기여한 평화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 제10대 [[성공회]] 남아프리카관구장[* [[https://www.kcl.ac.uk/people/archbishop-desmond-tutu|King's People - Desmond Tutu]]] || ||[[조너선 색스]] ||제12대 연합 히브리 회중 최고 랍비를 역임한 신학자 겸 철학자이며 前 영국 하원의원. [[템플턴상]] 수상자 || ||[[조지 캐리]] ||제103대 [[캔터베리 대주교]] || ||[[아서 차드웰]] ||[[성공회]] 한국교구장 서리 || ||리처드 클락 ||[[아일랜드]] 아마 관구장좌 대교구(Archdiocese of Armagh) 대주교([[https://en.wikipedia.org/wiki/Archbishop_of_Armagh_(Church_of_Ireland)|아일랜드관구장]])[*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Clarke_(bishop)|위키피디아]]] || ||처칠 줄리어스 ||초대 [[성공회]] 뉴질랜드관구장([[https://en.wikipedia.org/wiki/Primate_of_New_Zealand|Primate of New Zealand]])[* [[https://en.wikipedia.org/wiki/Churchill_Julius|위키피디아]]] || ||주스트 데 블랭크 ||제6대 [[성공회]] 남아프리카관구장[* [[https://en.wikipedia.org/wiki/Joost_de_Blank|위키피디아]] 참고] || ||조셉 아비오던 아데틸로예 ||제2대 [[성공회]] 나이지리아관구장[* [[https://en.wikipedia.org/wiki/Joseph_Abiodun_Adetiloye|위키피디아]] 참고] || ||[[세라 멀랠리]] ||영국 [[성공회]] 서열 5위인 제133대 [[성공회 런던교구]]장. 성공회 역사상 첫 여성 주교[* [[https://www.kcl.ac.uk/people/dame-sarah-mullally|King's People - Sarah Mullally]], [[http://www.ilyo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167|관련 뉴스]], [[https://twitter.com/bishopSarahM|트위터]]] || ||닉 홀텀 ||영국 [[성공회]] 주교. 前 [[성공회 솔즈베리교구]]장([[https://en.wikipedia.org/wiki/Bishop_of_Salisbury|Bishop of Salisbury]])[* [[https://en.wikipedia.org/wiki/Nick_Holtam|위키피디아]] 참고] || ||팀 데이킨 ||영국 [[성공회]] 주교. 前 [[성공회 윈체스터교구]]장([[https://en.wikipedia.org/wiki/Bishop_of_Winchester|Bishop of Winchester]])[* [[https://en.wikipedia.org/wiki/Tim_Dakin|위키피디아]] 참고] || ||마틴 월리스 ||영국 [[성공회]] 주교. 前 [[성공회 요크교구]]장([[https://en.wikipedia.org/wiki/Bishop_of_Selby|Bishop of Selby]])[* [[https://en.wikipedia.org/wiki/Martin_Wallace_(bishop)|위키피디아]] 참고] || ||로빈 워드 ||영국 [[성공회]] 신부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컬리지#s-5.39|세인트 스티븐 하우스]]와 앵글로-카톨릭 신학대학 학장 || ||앤서니 티슬턴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신학자. 해석학과 교리학의 세계적인 권위자 || ||E.W. 불링거 ||영국 [[성공회]] 성직자이자 성서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Hyperdispensationalism|극단적 세대주의]]의 대표 이론가 || ||찰스 킹즐리 ||영국 [[성공회]] 성직자이자 대학교수 겸 사회운동가, 작가. [[찰스 다윈]]과의 친밀한 관계로 유명 || ||피터 툰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신학자 || ||하이디 베이커 ||미국의 기독교 선교사. 국제 기독교 선교단체인 [[https://en.wikipedia.org/wiki/Iris_Global|아이리스 글로벌]]의 [[CEO]] || }}}}}}}}} || ==== 기업 • 금융 분야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칼루스트 굴벤키안|[[파일:칼루스트 굴벤키안_01.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W. O. 벤틀리|[[파일:WOBentley.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데릭 몬|[[파일:데릭 몬_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마르 아이쉬락|[[파일:오마르 아이쉬락.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해리엇 그린|[[파일:해리엇 그린 CEO.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뎁 프라가드|[[파일:뎁 프라가드_뉴스위크 CEO.jpg|width=150&height=205]]]]}}} || || [[칼루스트 굴벤키안|{{{#white 칼루스트 굴벤키안}}}]] || [[W. O. 벤틀리|{{{#white W. O. 벤틀리}}}]] || [[데릭 몬|{{{#white 데릭 몬}}}]] || [[오마르 아이쉬락|{{{#white 오마르 아이쉬락}}}]] || [[해리엇 그린|{{{#white 해리엇 그린}}}]] || [[뎁 프라가드|{{{#white 뎁 프라가드}}}]] || || {{{-2 이라크 석유회사 (IPC)[br]설립자}}} || {{{-2 [[벤틀리|{{{#black,#white 벤틀리 설립자}}}]]}}} || {{{-2 [[뉴욕증권거래소|{{{#black,#white 뉴욕증권거래소 부회장}}}]][br][[씨티그룹|{{{#black,#white 씨티그룹 부회장}}}]]}}} || {{{-2 [[제네럴 일렉트릭|{{{#black,#white GE 헬스케어 CEO}}}]][br][[인텔|{{{#black,#white 인텔 이사회 의장}}}]]}}} || {{{-2 [[토마스 쿡#s-2|{{{#black,#white 토머스 쿡 CEO}}}]][br][[IBM|{{{#black,#white IBM 아태 총괄 CEO}}}]]}}} || {{{-2 [[뉴스위크|{{{#black,#white 뉴스위크 CE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W. O. 벤틀리|월터 오언 벤틀리]] ||영국의 자동차 / 항공기 엔진 기술자. 자동차 회사 [[벤틀리]]의 창업자 || ||[[칼루스트 굴벤키안]] ||Mr. Five Percent란 별명으로 유명한 석유 사업가이자 자선가. 굴벤키안 재단과 이라크 석유회사(IPC)의 설립자. [[로열 더치 쉘]]의 탄생에 기여[* [[https://www.hbs.edu/faculty/Pages/item.aspx?num=58383|HBS Case Collection]], [[https://www.geoexpro.com/articles/2019/03/mr-five-per-cent-calouste-gulbenkian|GEOExPro 기사]] 참고] || ||윌리엄 트리턴 ||영국의 농기계 전문가이자 사업가. [[탱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Foster_%26_Co.|William Foster & Co.]]의 회장(Chairman) || ||오마르 아이쉬락 ||前 메드트로닉, [[GE]] 헬스케어의 [[CEO]]. [[인텔]]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역임[* [[https://www.fnnews.com/news/202001221630110534|관련기사]]] || ||에드워드 패커드 ||화학비료 산업의 발전에 공헌한 영국의 사업가. [[https://en.wikipedia.org/wiki/Fisons|Fisons]]의 [[회장]](Chairman) || ||로리 태프너 ||영국 [[https://en.wikipedia.org/wiki/Coutts|카우츠]] 은행 [[CEO]]. [[https://en.wikipedia.org/wiki/UBS|UBS]] 그룹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Board)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경영자]]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Quintet_Private_Bank|Quintet]]의 [[회장]](Chairman)[* [[https://www.linkedin.com/in/rory-tapner-664a662a/?originalSubdomain=uk|LinkedIn 프로필]],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05/09/359504/|매일 경제 기사]]] || ||데릭 몬 ||前 [[뉴욕증권거래소]]의 [[부회장]]이자 前 [[씨티그룹]] 부회장, [[https://en.wikipedia.org/wiki/Salomon_Brothers|살로몬 브라더스]](Salomon Brothers)의 [[CEO]] 역임[* [[https://alchetron.com/Deryck-Maughan|기사]] 참고] || ||해리엇 그린 ||前 [[토마스 쿡]]의 [[CEO]]이자 前 [[IBM]] 아시아-태평양 지부 총괄 [[CEO]][* [[https://www.europeanceo.com/profiles/harriet-green-thomas-cook/|관련 기사 1]]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7/519873/|관련 기사 2]] [[https://www.youtube.com/watch?v=SNPkIah_GP8|관련 영상]]] || ||팀 프라이스 ||영국의 사모펀드(PEF) [[https://en.wikipedia.org/wiki/Terra_Firma_Capital_Partners|테라 퍼마 캐피탈]]의 [[CEO]] || ||로렌스 오크하트 ||스코틀랜드 출신의 사업가. 前 [[https://en.wikipedia.org/wiki/Castrol|Castrol]], [[https://en.wikipedia.org/wiki/Scottish_Widows|Scottish Widows]], [[https://en.wikipedia.org/wiki/Heathrow_Airport_Holdings|BBA]] [[회장]]이자 [[로이드#s-3|로이즈 금융지주]] 임원 || ||율펠 압 귈름 ||웨일스 출신의 경제 전문가. [[https://en.wikipedia.org/wiki/Principality_Building_Society|Principality Building Society]]의 [[회장]](Chairperson) 역임. [[플라이드 컴리]] 소속의 정치인이자 경제 정책 고문(Chief Economic Advisor)[* [[https://en.wikipedia.org/wiki/Eurfyl_ap_Gwilym|위키피디아]]] || ||존 베텔 ||영국의 금융가이자 [[자유당(영국)|자유당]] 정치인. [[바클리스]] 이사(Director)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John_Bethell,_1st_Baron_Bethell|위키피디아]]] || ||스티브 모그포드 ||前 [[BAE 시스템스|BAE Systems]]의 [[COO]]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Selex_ES|Salex ES]]와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Utilities|United Utilities]]의 [[CEO]][* [[https://www.bloomberg.com/profile/person/3255053|Bloomberg 프로필]]] || ||수전 길크리스트 ||[[https://www.brunswickgroup.com/home/|브런스윅]] 그룹의 [[CEO]]이자 King's Business School의 부학장[* [[https://www.kcl.ac.uk/people/susan-gilchrist|King's People - Susan Gilchrist]], [[https://www.kcl.ac.uk/business/about/advisory-council-members/susan-gilchrist|King's Business School]]] || ||앨런 파월 ||前 [[BBC]] 이사회 의장(Chairman) || ||제인 트랜터 ||前 [[BBC]] 창작국장이자 BBC 월드와이드 [[LA]]지국 경영 부사장. [[https://bad-wolf.com/|배드 울프 프로덕션]] 공동 창립자 || ||뎁 프라가드 ||[[뉴스위크]]의 [[CEO]][* [[https://www.linkedin.com/in/dev-pragad-5a175765/|LinkedIn]] 프로필] || ||에릭 니콜리 ||前 [[EMI]]의 [[CEO]] || ||알렉스 비어드 ||영국 왕립 오페라 하우스(Royal Opera House) [[CEO|최고 경영자]](Chief Executive) || ||엘리엇 로 ||영국의 항공기 제조업체 [[아브로 벌컨|아브로]] 설립자 || ||너새니얼 필립 로스차일드 ||[[https://en.wikipedia.org/wiki/Asia_Resource_Minerals|Asia Resource Minerals]]의 설립자이자 이사회 공동 [[의장]] || ||클라우스 하이만 ||다국적 [[클래식(음악)|클래식]] 음반사인 [[낙소스]] 설립자 || ||마커스 웰던 ||[[노키아]]의 [[CTO]]이자 벨 연구소(Bell Labs) [[사장]] || ||나빈 셀바두라이 ||위치기반 [[SNS]]인 [[포스퀘어]]의 공동 설립자 || ||스티븐 스트리터 ||게임 제작 및 유통 회사인 [[에이도스 인터랙티브]]의 창업자 || ||윌리엄 포일 ||영국의 런던의 역사적인 서점 체인 [[https://www.foyles.co.uk/|포일스]](Foyles)의 설립자 || ||데이비드 탱 ||홍콩의 럭셔리 패션 브랜드 [[https://www.shanghaitang.com/|상하이 탱]](Shanghai Tang)의 설립자[* [[https://en.wikipedia.org/wiki/David_Tang|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P8Km_LlFd6A|BBC Newsnight]]] || ||대니얼 슈라이버 ||미국의 보험회사 [[https://en.wikipedia.org/wiki/Lemonade,_Inc.|레모네이드]](Lemonade, Inc)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 || ||에마 베이츠 ||[[https://www.askdiem.com/|Diem]]의 공동 설립자 겸 [[CEO]] || ||벤저민 코헨 ||영국의 사업가, 기자 겸 온라인 출판인. 핑크뉴스([[https://www.pinknews.co.uk/|PinkNews]])의 설립자 겸 [[CEO]][* [[https://www.linkedin.com/in/benjamincohenuk/|LinkedIn]]] || ||도미닉 윌리엄스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이자, [[암호화폐]]인 [[https://dfinity.org/|디피니티]](Dfinity)의 창시자 || ||파멜라 콘 ||[[https://curbio.com/|Curbio]]의 [[COO]]. 前 [[현대자동차]] UAM 사업부 글로벌 전략·운영 담당 [[상무이사]][*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07/2020080700650.html|관련기사]], [[https://www.linkedin.com/in/pamelacohn/|LinkedIn]]] || ||엘 바데모시 ||[[바이낸스]] Labs의 아프리카 지역 총괄 책임자 ||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s-3|이사벨 두스 산투스]] ||앙골라 출신의 사업가. 2013년 [[포브스]]선정 아프리카 최고 부자 여성[* 앙골라의 제2대 대통령이자 독재자인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의 장녀이다.] || }}}}}}}}} || ==== 군 • 경찰 계열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존 하딩(군인)|[[파일:존 하딩 Baron Harding of Petherton.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애드리언 브래드쇼|[[파일:애드리언 브래드쇼 사령관.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페트르 파벨|[[파일:페트르 파벨 대장.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에드 데이비스(군인)|[[파일:에드 데이비스 - 지브롤터 총독.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토니 라다킨|[[파일:토니 라다킨 경 - 영국 국방참모총장.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이클 위그스턴|[[파일:마이클 위그스턴 경 - 영국 공군참모총장.png|width=150&height=205]]]]}}} || || [[존 하딩(군인)|{{{#white 존 하딩}}}]] || [[애드리언 브래드쇼|{{{#white 애드리언 브래드쇼}}}]] || [[페트르 파벨|{{{#white 페트르 파벨}}}]] || [[에드 데이비스(군인)|{{{#white 에드 데이비스}}}]] || [[토니 라다킨|{{{#white 토니 라다킨}}}]] || [[마이클 위그스턴|{{{#white 마이클 위그스턴}}}]] || || {{{-2 [[육군참모총장#s-9|{{{#black,#white 영국 육군참모총장}}}]][br]키프로스 총독}}} || {{{-2 [[NATO군#s-7|{{{#black,#white NATO 최고사령부[br]부사령관}}}]]}}} || {{{-2 [[체코 대통령|{{{#black,#white 제4대 체코 대통령}}}]][br][[NATO군#s-6|{{{#black,#white NATO 군사위원회 의장}}}]]}}} || {{{-2 [[NATO군#s-7.4|{{{#black,#white NATO 연합육군 사령부[br]부사령관}}}]]}}} || {{{-2 [[국방참모총장#s-2.1|{{{#black,#white 영국 국방참모총장}}}]]}}} || {{{-2 [[공군참모총장#s-9|{{{#black,#white 영국 공군참모총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페트르 파벨]] ||군인([[체코군#s-5|대장]], Armádní Generál) 출신의 [[체코 대통령|제4대 체코 공화국 대통령]]. 前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군#s-5|군사위원회 의장]]([[https://en.wikipedia.org/wiki/Chair_of_the_NATO_Military_Committee|Chair of the NATO Military Committee]])[* 국제관계학 석사(M.A.)[br][[https://www.nato.int/cps/en/natolive/who_is_who_49764.htm|NATO - General Petr Pavel]] 참고] || ||존 하딩 ||세계 1차, 2차 대전에서 활약한 영국의 군인([[원수(계급)#s-4.2.4.1|육군 원수]]). [[육군참모총장]](Chief of the Imperial General Staff)과 영국령 [[키프로스]] 당시 [[총독#s-3.1|총독]](Governor)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John_Harding,_1st_Baron_Harding_of_Petherton|위키피디아]] 참고] || ||[[토니 라다킨]] ||영국의 군인([[대장(계급)#s-3.3|해군 대장]]). [[국방참모총장]](Chief of the Defence Staff)[* [[https://news.nate.com/view/20220307n20571?mid=n1101|관련 기사]]] || ||에이드리언 브래드쇼 ||영국의 군인([[대장(계급)#s-3.3|해병대 대장]]). 前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군#s-6|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 부사령관]][* 사령관은 미군 유럽사령관이 당연직으로 겸직한다.] || ||에드 데이비스 ||영국의 군인([[영국군/계급#s-3.3|해병대 중장]]). 해병대 총사령관(Commandant General Royal Marines)이자 [[북대서양 조약 기구]] 연합육군사령부(Allied Land Command) 부사령관. [[지브롤터]]의 [[총독#s-3.1|총독]](Governor) || ||리처드 페어스 ||영국의 군인([[대장(계급)#s-3.3|공군 대장]]). [[영국 공군]] 폭격 사령부 사령관(Commander-in-Chief of RAF Bomber Command) || ||[[마이클 위그스턴]] ||영국의 군인([[대장(계급)#s-3.3|공군 대장]]). [[영국 공군|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 ||크리스 모란 ||영국의 군인([[대장(계급)#s-3.3|공군 대장]]). [[영국 공군]]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of Air Command) || ||사이먼 브라이언트 ||영국의 군인([[대장(계급)#s-3.3|공군 대장]]). [[영국 공군]] 총사령관(Commander-in-Chief of Air Command) || ||팀 앤더슨 ||영국의 군인([[중장#s-3.3|공군 중장]]). 前 [[https://en.wikipedia.org/wiki/Military_Aviation_Authority|영국 군사 항공국]]장 || ||로버트 프라이 ||영국의 군인. 前 왕립 해병대 총사령관 || ||사이먼 메이올 ||영국의 군인. 前 영국 국방 참모 부국장 || ||마틴 슈에레브 ||[[몰타]]의 군인. 몰타군 [[합동참모의장]](Commander of the Armed Forces of Malta)[* [[https://en.wikipedia.org/wiki/Martin_Xuereb|위키피디아]] 참고] || ||네오 키안 홍 ||싱가포르의 군인이자 관료. 前 싱가포르 [[합동참모의장]]이자 [[교육부 장관]]. 現 [[싱가포르 MRT]] [[CEO]] || ||탄 스리 Md 하심 후세인 ||말레이시아의 군인([[대장(계급)|육군 대장]]). 前 [[국방참모총장]] || ||올라 이브라힘 ||나이지리아의 군인([[대장(계급)|해군 대장]]). 前 [[국방참모총장]] || ||멜 헙펠드 ||호주의 군인([[호주군/계급#s-3.3|공군 대장]]).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Force of Royal Australian Air Force) || ||프라탭 찬드라 랄 ||인도의 군인([[대장(계급)|공군 대장]]). 前 [[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 ||소하일 아만 ||파키스탄의 군인([[대장(계급)|공군 대장]]). 前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Staff) || ||하르샤 아베이위크라마 ||스리랑카의 군인([[대장(계급)|공군 대장]]). 前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Staff) || ||니샨타 울루게튼 ||스리랑카의 군인([[중장|해군 중장]]). [[해군참모총장]](Commander of the Navy of the Sri Lanka Navy) || ||A.T.M. 자히룰 알람 ||방글라데시의 군인([[중장|육군 중장]]). 前 [[UN]] 평화 유지군 라이베리아 사절단 총 책임자 || ||다카기 가네히로 ||[[각기병]]의 원인을 찾아낸 일본 해군 [[해군참모총장|군의총감]] || ||하야시 다다스 ||일본 메이지 시대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초대 일본 육군 [[육군참모총장|군의총감]]이자 前 [[외교부장관|외무대신]] || ||존 D. 알렉산더 ||[[미합중국 해군]] 제독([[중장#s-3.1|해군 중장]]). 제5항모전단장과 [[제3함대#s-2|제3함대]] 사령관 역임 || ||폴 크레스포 ||前 [[미국 해병대]] 대위이자 보수 우익 정치 평론가 || ||조지 아쿠포 담페어 ||[[가나]]의 경찰. [[경찰청장]](Inspector General of Police)[* [[https://www.ghanaweb.com/person/George-Akuffo-Dampare-6319|참고]]] || ||리처드 A. 포큰레스 ||미국의 경찰. [[뉴욕 경찰국]]의 경찰부위원장(Deputy Commissioner)[* [[https://www.cfr.org/expert/richard-falkenrath|참고]]] || ||존 예이츠 ||영국의 경찰. [[런던광역경찰청]] [[치안정감|차장]](Deputy Commissioner)이자 대테러 전담반 수장 || ||콜린 크램폰 ||영국의 경찰. 웨스트 요크셔 지역경찰청 [[치안감]](Chief Constable) || }}}}}}}}} || ==== 정치 • 정부 • 법조 • 행정 • 외교 • 공공기관 • 국제기구 계열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로지니 나이두|[[파일:사로지니 나이두_시인.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이클 콜린스(정치인)|[[파일:마이클 콜린스_색상보정.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파일:무하마드 자파룰라 칸_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호러스 킹|[[파일:호러스 킹 서민원 의장.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쉬리다스 람팔|[[파일:쉬리다스 람팔 영연방 사무총장.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린든 핀들링|[[파일:린든 핀들링 총리_Small.jpg|width=150&height=205]]]]}}} || || [[사로지니 나이두|{{{#white 사로지니 나이두}}}]] || [[마이클 콜린스(정치인)|{{{#white 마이클 콜린스}}}]] ||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white 무하마드[br]자파룰라 칸}}}]] || [[호러스 킹|{{{#white 호러스 킹}}}]] || [[쉬리다스 람팔|{{{#white 쉬리다스 람팔}}}]] || [[린든 핀들링|{{{#white 린든 핀들링}}}]] || || {{{-2 [[인도 국민 회의|{{{#black,#white 제44대[br]인도 국민 회의 대표}}}]]}}} || {{{-2 초대 [[아일랜드 자유국|{{{#black,#white 아일랜드 자유국}}}]][br]임시정부 주석}}} || {{{-2 [[국제사법재판소#s-2.2|{{{#black,#white 국제사법재판소장}}}]][br][[유엔 총회|{{{#black,#white 유엔 총회 의장}}}]]}}} || {{{-2 [[영국 서민원#s-5|{{{#black,#white 제43 '''·''' 44 '''·''' 45대[br]영국 서민원 의장}}}]]}}} || {{{-2 [[영연방#s-4|{{{#black,#white 제2대[br]영연방 사무총장}}}]]}}} || {{{-2 [[틀:역대 바하마 총리|{{{#black,#white 초대[br]바하마 연방 총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타소스 파파도풀로스|[[파일:타소스 파파도풀로스 대통령.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프랑스알베르 르네|[[파일:프랑스-알베르 르네_Small.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모리스 비숍|[[파일:모리스 비숍 그레나다 총리.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루프 바킷|[[파일:마루프 알-바킷 요르단 총리.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카림 칸(법조인)|[[파일:Karim Ahmad Khan_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흐마드 마수드|[[파일:Ahmad Massoud_Politico.jpg|width=150&height=205]]]]}}} || || [[타소스 파파도풀로스|{{{#white 타소스[br]파파도풀로스}}}]] || [[프랑스알베르 르네|{{{#white 프랑스알베르 르네}}}]] || [[모리스 비숍|{{{#white 모리스 비숍}}}]] || [[마루프 바킷|{{{#white 마루프 바킷}}}]] || [[카림 칸(법조인)|{{{#white 카림 칸}}}]] || [[아흐마드 마수드|{{{#white 아흐마드 마수드}}}]] || || {{{-2 [[틀:역대 키프로스 대통령|{{{#black,#white 제5대[br]키프로스 대통령}}}]]}}} || {{{-2 [[틀:역대 세이셸 대통령|{{{#black,#white 제2대[br]세이셸 공화국 대통령}}}]]}}} || {{{-2 제2대[br]그레나다 총리}}} || {{{-2 제36대[br]요르단 총리}}} || {{{-2 [[국제형사재판소|{{{#black,#white 제3대 국제형사재판소[br]검사장}}}]]}}} || {{{-2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black,#white 아프간 국민저항전선[br]총사령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마이클 콜린스(정치인)|마이클 콜린스]] ||아일랜드의 혁명지도자 겸 정치인 || ||[[린든 핀들링]] ||바하마의 [[국부]](國父). 초대 [[바하마|바하마 연방]] [[총리]] || ||[[사로지니 나이두]] ||인도의 정치인, 독립운동가이자 여류시인[* [[https://www.kcl.ac.uk/people/sarojini-naidu|King's People - Sarojini Naidu]]] || ||[[아흐마드 마수드]]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창설자 겸 총사령관. 아프가니스탄 영웅 [[아흐마드 샤 마수드]]의 아들 || ||[[글라프코스 클레리데스]] ||키프로스의 제4대 [[대통령]] || ||[[타소스 파파도풀로스]] ||키프로스의 제5대 [[대통령]] || ||[[프랑스알베르 르네]] ||[[세이셸|세이셸 공화국]]의 제2대 [[대통령]] || ||[[고드프리 비나이사]] ||우간다의 법조인. 제5대 우간다 [[대통령]] || ||[[압드 알아르라만 알바자즈]] ||이라크의 제28대 [[총리]]이자 [[대통령]] 권한대행. 제2대 [[석유 수출국 기구]](OPEC) 사무총장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Abd_al-Rahman_al-Bazzaz|위키피디아]]] || ||[[모리스 비숍]] ||[[그레나다]]의 공산주의 혁명가. 혁명을 통해 그레나다 인민정부를 세우고 제2대 [[총리]](수상)를 역임 || ||[[마루프 바킷]] ||요르단의 [[총리]]직을 2번 역임한 정치인[* [[http://archives.knowhow.or.kr/record/all/view/141089?page=417|관련 기사]]] || ||리 무어 ||[[세인트키츠 네비스]]의 [[총리]][* [[https://en.wikipedia.org/wiki/Lee_Moore_(politician)|위키피디아]]] || ||윌리엄 헤어 ||5대 리스토웰 백작. [[영국령 인도]]의 마지막 국무장관이자 [[가나]]의 마지막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Hare,_5th_Earl_of_Listowel|위키피디아]]] || ||어니스트 클라크 ||영국의 관료. [[태즈메이니아]]의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en.wikipedia.org/wiki/Ernest_Clark_(governor)|위키피디아]] 참고] || ||어거스터스 재스퍼트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twitter.com/GusJaspert|트위터]], [[https://www.youtube.com/watch?v=yRfdVTKGWhI|버진 아일랜드 정부 공식 유튜브]]] || ||나이절 필립스 ||영국의 공군출신 외교관. [[포클랜드 제도]]의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www.gov.uk/government/people/nigel-phillips|영국 정부 공식 프로필]], [[https://www.linkedin.com/in/nigel-phillips-cbe-9742a846/|LinkedIn]]] || ||마틴 버크 ||영국의 외교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en.wikipedia.org/wiki/Martin_Bourke_(diplomat)|위키피디아]]] || ||존 프리먼 ||영국의 외교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en.wikipedia.org/wiki/John_Freeman_(diplomat)|위키피디아]]] || ||시드니 건먼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총독#s-3.1|총독]](Governor)[* [[https://en.wikipedia.org/wiki/Sydney_Gun-Munro|위키피디아]]] || ||압둘라이 오스만 콘테 ||시에라리온의 [[부통령]]이자 외무상 || ||마이클 키자나 와말와 ||케냐의 제8대 [[부통령]] || ||앤 매클렐런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캐나다 [[부총리]], 보건부 장관과 공공치안부 장관 역임[* [[https://www.linkedin.com/in/honourable-a-anne-mclellan-p-c-o-c-8138a63a/|LinkedIn]], [[https://www.youtube.com/watch?v=bDWEiHKdQN4|관련 영상]]] || ||[[나탈리아 게르만]] ||몰도바의 [[부총리]]. 몰도바 [[총리]] 권한대행과 [[외교부장관|외교부 및 유럽 통합부 장관]], [[UN]] 중앙아시아 특사 역임[* [[https://www.un.org/sg/en/content/profiles/natalia-gherman|UN 프로필]], [[https://twitter.com/Natalia_Gherman|트위터]], [[https://en.wikipedia.org/wiki/Natalia_Gherma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WpAK3xx9Zuw|관련 영상]]] || ||레셉 악다그 ||터키의 정치인. [[총리]] 권한대행과 [[보건복지부장관|보건부 장관]]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Recep_Akda%C4%9F|위키피디아]] 참고] || ||지하드 바하 엘딘 ||이집트의 자유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정치인이자 [[부총리]] || ||하넬로레 크라프트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총리]]이자 [[독일 사회민주당]] 부의장 || ||라이스 야팀 ||말레이시아의 제 18대 국가 원로원 [[의장]]. [[국방부 장관]], 문화예술유산부 장관 역임 || ||로저 호킨스 ||[[로디지아]]의 [[국방부 장관]] || ||조지프 다우다 ||시에라리온의 [[국방부 장관]] || ||하산 알-투라비 ||수단의 정치인이자 [[오마르 알바시르#s-3|1989년 수단 군사 쿠데타]]의 실질적 설계자. 수단 [[국회의장]]과 [[외무부 장관]] 역임 || ||탄 추안 진 ||싱가포르의 제10대 [[국회의장]]이자 前 노동부 [[장관]] || ||프리탐 싱 ||싱가포르의 정치인. 싱가포르 제1야당인 [[노동당(싱가포르)|노동당]]의 당수이자 사무총장 || ||올가 케팔로지아니 ||그리스의 정치인이자 관광부 [[장관]][* [[http://www.olgakefalogianni.gr/|공식 웹사이트]]] || ||마그누스 브루너 ||오스트리아의 정치인. 오스트리아 [[재무부]] 장관[* [[https://www.facebook.com/brunnermagnus|페이스북]], [[https://mobile.twitter.com/magnusbrunner|트위터]], [[https://www.kcl.ac.uk/law-alumnus-dr-magnus-brunner-austria-minister-of-finance-visits-the-dickson-poon-school-of-law|관련 기사]], [[https://www.youtube.com/watch?v=Xae3b3MRbEg|관련 영상]]] || ||캐서린 도리온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퀘벡연대]] 소속 국회의원[* [[http://www.assnat.qc.ca/en/deputes/dorion-catherine-17895/coordonnees.html|프로필]], [[https://www.facebook.com/catherinedorionqs|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cathdorion/|인스타그램]], [[https://www.youtube.com/watch?v=qM6Si5V3cx0|관련 영상]]] || ||악셀 르메르 ||프랑스의 정치인. 프랑스 디지털부 [[장관]][* [[https://www.linkedin.com/in/axellelemaire/?originalSubdomain=fr|LinkedIn]], [[https://twitter.com/axellelemaire|트위터]], [[https://www.youtube.com/watch?v=yC-FQXvdZRo|관련 영상]]] || ||톰 더브라윈 ||네덜란드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네덜란드 무역개발협력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Tom_de_Bruijn|위키피디아]] 참고] || ||야네스 지아 토바르 ||콜롬비아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 콜롬비아 [[교육부 장관]]이자 과학기술혁신부 이사[* 콜롬비아 국장차관을 지내던 시절 대한민국에 방한한 적이 있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021179&code=11110000&sid1=sp|국민일보 기사]]] || ||제롬 피츠제럴드 ||바하마의 정치인 겸 법조인. 바하마 [[교육부 장관]]이자 과학기술부 [[장관]] || ||[[쉬리다스 람팔]] ||가이아나의 정치인이자 제2대 [[영연방]] 사무총장[* 15년으로 역대 최장기 영연방 사무총장 재임]. 가이아나 [[외무장관]], [[워릭 대학교]] 총장(Chancellor)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Shridath_Ramphal|위키피디아]] 참고] || ||데이비드 아서 싱 ||가이아나의 정치인이자 외교관. 주[[중국|중]] 가이아나대사와 주택재건부 [[장관]] 역임 || ||프레더릭 윌스 ||가이아나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가이아나 [[외무장관]] || ||유리 사디비 ||체코의 [[국방부 장관]]이자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체코 대표 [[대변인]] || ||존 카요 데 파 예미 ||나이지리아의 정치인이자, Ekiti State 주지사. 고체 광물 개발부 [[장관]] || ||알프레드 밀너 ||[[자유당(영국)|자유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행정가, 은행가.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내각의 핵심 참모이자 [[대영제국]]의 확장과 이를 연방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세실 로즈|로즈]] 밀너 그룹'의 리더. 영국의 트란스발과 오렌지강 식민지 초대 총독이자 식민장관 역임 || ||헨리 코튼 ||[[자유당(영국)|자유당]] 소속의 정치인. 영국의 인도 식민지배 시절 [[인도 국민 회의]]의 [[당수|대표]] || ||헨리 글래드스턴 ||[[자유당(영국)|자유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사업가. 영국의 前 총리 [[윌리엄 글래드스턴]]의 아들로 그의 총리 재임 시절 [[대통령비서실장|국무총리 비서관]] 역임 || ||앨런 글레이서 민스 ||영국의 의사이자 정치인. 영국 역사상 최고의 흑인 [[시장(공무원)|시장]][* 1904년부터 1906년까지 영국 Thetford시 시장 역임] || ||스티브 에이킨 ||영국의 정치인. 북아일랜드 [[얼스터 연합당]]의 [[당수|대표]][* [[https://en.wikipedia.org/wiki/Steve_Aike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stHv0YTQb34|관련 영상]]] || ||리처드 브레인 ||영국의 정치인. 前 [[UKIP]]의 [[당수|대표]][*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Braine_(politicia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i_QT2hrUuXU|관련 영상]]] || ||[[제임스 로우더]]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영국 역사상 최장기(제27-31대) [[서민원]] [[서민원#s-5|의장]][*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Lowther,_1st_Viscount_Ullswater|위키피디아]] 참고] || ||[[브랜든 루이스]] ||영국의 [[보수당(영국)|보수당]] 정치인이자 법조인. [[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A%B5%AD%EC%9D%98_%EB%B2%95%EB%AC%B4%EC%9E%A5%EA%B4%80|법무부 장관]](Lord Chancellor), [[보수당(영국)|보수당]] 의장(Chairman of the Conservative Party),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주택 및 계획부 [[장관]], 이민국 [[장관]]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Brandon_Lewis|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FL3Lu05-63w|관련 영상]]] || ||해럴드 왓킨슨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 정치인. 前 [[국방부 장관]]이자 교통민간항공부 [[장관]] || ||존 맥그리거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 정치인. 前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자 재무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acGregor,_Baron_MacGregor_of_Pulham_Market|위키피디아]] 참고] || ||마크 프랑수아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보수당 국회의원들의 정책 연구소인 [[https://en.wikipedia.org/wiki/European_Research_Group|ERG]][* 보수당 소속 국회의원 중 유럽 연합 통합 회의론자들이 주축인 정책 연구소] 회장(Chairman). 前 영국 국방부 보훈차관과 평준화, 주택 및 지역사회부[* Department for Levelling Up, Housing and Communities]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Mark_Francois|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61XT8HNPQMw|관련 영상 1]], [[https://www.youtube.com/watch?v=0z5l-r1-wTI|관련 영상 2]]] || ||[[존 글렌]]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前 예술, 문화 유산 및 관광부 [[장관]]이자 재무부 [[장관]]. 리시 수낙 내각의 재무부 서기국장[* [[https://en.wikipedia.org/wiki/John_Glen_(politician)|위키피디아]] 참고] || ||사라 뉴턴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장애인 보건 및 노동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Sarah_Newto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iqgH7Auvrio|관련 영상]]] || ||알렉스 버가트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보리스 존슨]] 내각의 국무총리 주재 국회사무처장[* Parliamentary Private Secretary to the Prime Minister]과 도제 및 기술 담당 국무차관[* Parliamentary Under-Secretary of State for Apprenticeships and Skills]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Alex_Burghart|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_QlrSIuDbgU|관련 영상]]] || ||마이클 톰린슨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궁내 부장관([[https://en.wikipedia.org/wiki/Vice-Chamberlain_of_the_Household|Vice-Chamberlain of the Household]])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Michael_Tomlinson|위키피디아]] 참고] || ||케이 스윈번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Kay_Swinburne|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P98N_mHugsM|관련 영상]]] || ||개리 스트리터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Gary_Streeter|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69hr0FUEBqo|관련 영상]]] || ||매튜 오포드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Matthew_Offord|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aEsWf59QaoQ|관련 영상]]] || ||밥 실리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Bob_Seely|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xAt9thsQwC4|관련 영상]]] || ||댄 폴터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정신과 의사[* [[https://en.wikipedia.org/wiki/Dan_Poulter|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s0d6MRgrQos|관련 영상]]] || ||페이 존스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Fay_Jones_(politicia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o_Dqv97hm3Y|관련 영상]]] || ||가간 모힌드라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Gagan_Mohindra|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xfvVyro4N1w|관련 영상]]] || ||임란 아메드 칸 ||前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불명예 퇴직. [[https://en.wikipedia.org/wiki/Imran_Ahmad_Khan|위키피디아]] 참고] || ||데이비드 워버턴 ||前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불명예 퇴직.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403500091|서울신문 기사]] 참고] || ||[[키어 스타머]] ||제19대 [[노동당(영국)|노동당]] 당수[* [[https://www.youtube.com/watch?v=0lWocHm0pO0&t=75s|참고 1(KCL 동문 홍보 영상 - 1분 15초부터)]][br][[https://www.kcl.ac.uk/alumni/assets/intouch-2018-spring-summer.pdf#page=14|참고 2(KCL 2018년 동문 소식지)[br][[https://twitter.com/KCLalumni/status/1414942111334637571|참고 3(KCL 동문 트위터 계정 포스트)]]]]] || ||시드니 웹 ||영국 노동조합법 제정에 힘쓴 사회학자, 경제학자 겸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영국 상무성 [[장관]]이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 공동 설립자 || ||존 윌멋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의 항공기 제작부 [[장관]]이자 공급처 [[장관]] || ||이디스 서머스킬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의사. 영국 역사상 최초로 의학 교육을 받은 여성중 한명이자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의 국민보험부 [[장관]][* [[https://www.kcl.ac.uk/people/baroness-edith-summerskill|King's People - Edith Summerskill]], [[https://www.youtube.com/watch?v=wMbXCnje7Hs|관련 영상]]] || ||데이비드 오언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외무장관]]이자 보건사회보장성 [[장관]] || ||[[호러스 킹]]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제43-45대 영국 [[서민원]] [[서민원#s-5|의장]]이자 최초의 노동당 출신 서민원 의장[* [[https://en.wikipedia.org/wiki/Horace_King,_Baron_Maybray-King|위키피디아]] 참고] || ||테런스 보스턴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내무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Terence_Boston,_Baron_Boston_of_Faversham|위키피디아]] 참고] || ||루시 파월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맨체스터]] 센트럴 지역구 의원이자 [[그림자 내각]] 디지털, 문화 및 스포츠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Lucy_Powell|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2jK6pHd6amY|관련 영상]]] || ||스탠리 클린턴데이비스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상무부 [[장관]] || ||닉 데이킨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前 교육부 [[그림자 내각|그림자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Nic_Daki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LGbIax9m-LI|관련 영상]]] || ||댄 자비스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사우스요크셔]]주 [[https://en.wikipedia.org/wiki/Mayor_of_South_Yorkshire|시장]](Mayor of South Yorkshire)[* [[https://en.wikipedia.org/wiki/Dan_Jarvis|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JB5fk8jvw30|관련 영상]]] || ||가레스 토머스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Gareth_Thomas_(English_politician)|위키피디아]] 참고] || ||줄리 모건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보건사회서비스부 차관[* [[https://www.youtube.com/watch?v=dfQ966YyisA|관련 영상]]] || ||튤립 시디크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https://en.wikipedia.org/wiki/Tulip_Siddiq|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pQFOEb0lQjo|관련 영상]]] || ||숀 스피어스 ||[[노동당(영국)|노동당]] 소속의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Shaun_Spiers|위키피디아]] 참고] || ||피터 프라이스 ||[[보수당(영국)|보수당]],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Peter_Price_(politician)|위키피디아]] 참고] || ||제임스 무어하우스 ||[[보수당(영국)|보수당]],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Moorhouse_(politician)|위키피디아]] 참고] || ||세라 월러스톤 ||[[보수당(영국)|보수당]],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 前 영국보건위원회 위원장[* [[https://en.wikipedia.org/wiki/Sarah_Wollaston|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RMYUt8c6fcw|관련 영상]]] || ||레베카 타일러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의 정치인이자 보건학자.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Rebecca_Taylor_(politician)|위키피디아]] 참고] || ||알렉스 칼라일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의 [[상원|귀족원]] 의원이자 법정 변호사[* [[https://en.wikipedia.org/wiki/Alex_Carlile,_Baron_Carlile_of_Berriew|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N-iM-RYxEYw|관련 영상]]] || ||세라 올니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의 국회의원. 前 자유민주당 대변인[* [[https://en.wikipedia.org/wiki/Sarah_Olney|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LPSSlIcMPKI|관련 영상]]] || ||필립 리 ||노 딜 [[브렉시트]]에 반대한 前 [[보수당(영국)|보수당]],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소속의 정치인. [[자유민주당(영국)|자유민주당]] [[대변인]] 역임[* [[https://en.wikipedia.org/wiki/Phillip_Lee_(politician)|위키피디아]] 참고] || ||크리즈티나 모르바이 ||헝가리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Krisztina_Morvai|위키피디아]]] || ||줄리아 모이 ||이탈리아의 생화학자이자 정치인. [[유럽의회]] 의원(MEP)[* [[https://en.wikipedia.org/wiki/Giulia_Moi|위키피디아]] 참고] || ||베르나르디노 레온 ||스페인 출신의 외교관. [[UN]] 리비아 특사이자 스페인 [[대통령비서실장|국무총리 비서관]][* [[https://en.wikipedia.org/wiki/Bernardino_Le%C3%B3n|위키피디아]]] || ||니콜라이 믈라데노프 ||불가리아 출신의 정치인이자 외교관. [[UN]] 중동 특사이자 불가리아 [[외교부장관|외무부 장관]], [[국방장관]] 역임[* [[https://www.youtube.com/watch?v=opND8ln6cZ8|관련 영상]]] || ||프랜시스 댕 ||남수단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남수단 [[UN]] 상임대표 || ||셰쿠 투레이 ||시에라리온의 외교관. 시에라리온 [[UN]] 상임대표 || ||로이스 미셸 영 ||벨리즈의 외교관. 벨리즈 [[UN]] 상임대표[* [[https://en.wikipedia.org/wiki/Lois_Michele_Young|위키피디아]]] || ||사니아 니시타르 ||[[WHO]] 아동 비만종식위원회(ECHO) 의장. [[https://www.ehsaastrust.org/|에흐사]](Ehsaas) 빈곤 완화 프로그램 리더이자 파키스탄 총리실 사회안전망 분야 특별보좌관. 2020년 [[BBC]]선정 올해의 여성 100인 중 한명[* [[http://www.sanianishtar.info/|공식 홈페이지]][br][[https://www.youtube.com/watch?v=JEgHh4YQ0sg|WHO 영상]][br][[https://news.files.bbci.co.uk/include/newsspec/28769-100-women-2020/korean/app/embed|2020 BBC 선정 올해의 여성 100인]]] || ||에드워드 손턴 ||영국의 외교관. 주[[미국|미]] 영국대사 || ||로렌스 미들턴 ||영국의 외교관. [[주한영국대사관|주한 영국대사]] || ||토골라니 마부라 ||탄자니아의 외교관. 주[[대한민국|한]] 탄자니아대사[* [[https://www.kcl.ac.uk/kings-alumnus-takes-up-leadership-position-as-ambassador-for-his-home-country|King's alumnus takes up leadership position as Ambassador for his home country]][br][[https://intouch.kcl.ac.uk/class-notes/embarking-on-new-frontiers/|KCL InTouch - Embarking on new frontiers]] 참고] || ||존 키트머 ||영국의 외교관. 주[[그리스]] 영국대사 || ||주디스 고프 ||영국의 외교관. 주[[스웨덴]] 영국대사 || ||휴 모티머 ||영국의 외교관. 주[[슬로베니아]] 영국대사 || ||콜린 먼로 ||영국의 외교관. 주[[크로아티아]] 영국대사 || ||빅터 핸더슨 ||영국의 외교관. 주[[예멘]] 영국대사 || ||존 터크놋 ||영국의 외교관. 주[[네팔]] 영국대사 || ||다이애나 멜로즈 ||영국의 외교관. 주[[쿠바]] 영국대사 || ||퍼 시뮤노비치 ||크로아티아의 외교관. 주[[미국|미]] 크로아티아대사 || ||존 힐렌 ||미국의 관료, 사업가이자 前 정치-군사 담당 차관보 || ||앤드루 엑숨 ||미국의 관료. 前 중동 지역 미 국방차관보[* [[https://en.wikipedia.org/wiki/Andrew_Exum|위키피디아]], [[https://www.youtube.com/watch?v=xfrtAjAmFck|관련 영상]]] || ||크리스티나 로카 ||미국의 관료. 前 중남아시아 담당 차관보 || ||데니스 궉 ||홍콩의 정치인. 前 홍콩 입법회 의원 ||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파키스탄의 법조인, 외교관. 제9대 [[국제사법재판소]]장(President)이자 前 [[유엔 총회]] [[의장]]. 초대 [[파키스탄]] [[외무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Muhammad_Zafarullah_Khan|위키피디아]] 참고] || ||[[카림 칸(법조인)|카림 칸]] ||영국의 법조인. [[국제형사재판소]](ICC)의 [[https://en.wikipedia.org/wiki/Prosecutor_of_the_International_Criminal_Court|검사장]][* Chief Prosecuto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br][[https://en.wikipedia.org/wiki/Karim_Ahmad_Khan|카림 칸 - 위키피디아]] 참고[br][[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3/190992/|관련 기사 - 1]], [[https://www.yna.co.kr/view/AKR20210818003100098|관련 기사 - 2]]] || ||[[테레사 쳉]] ||홍콩의 법조인이자 정치인. 홍콩 제4대 [[홍콩/행정조직#s-2|율정사]](律政司) [[법무장관|사장]][* [[법무장관]](Secretary for Justice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 ||크리스토퍼 웨라만트리 ||스리랑카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 부재판장(Vice President).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Association_of_Lawyers_against_Nuclear_Arms|국제 핵무기방지 법조인협회]](IALANA)[* [[https://www.ialana.info/|IALANA 홈페이지]]] 회장(President)이자 [[모내시 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 [[https://en.wikipedia.org/wiki/Christopher_Weeramantry|위키피디아]] 참고] || ||패트릭 립튼 로빈슨 ||자메이카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관.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Criminal_Tribunal_for_the_former_Yugoslavia|구유고슬로비아 국제형사재판소]]장(President) 역임[* [[https://www.youtube.com/watch?v=w0S7903zVqE|관련 영상]]] || ||압둘 코로마 ||시에라리온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관 || ||필리프 쿠브뢰르 ||벨기에의 법조인. [[국제사법재판소]] 사무처장(Registrar)[* [[https://en.wikipedia.org/wiki/Philippe_Couvreur|위키피디아]] 참고] || ||제니 로 ||영국의 공무원. [[https://en.wikipedia.org/wiki/Supreme_Court_of_the_United_Kingdom|영국 대법원]](Supreme Court of the United Kingdom)의 Chief Executive이자 [[추밀원]] 사법위원회장[* [[https://en.wikipedia.org/wiki/Jenny_Rowe|제니 로 - 위키피디아]][br][[https://www.thetimes.co.uk/article/the-wallpaper-crisis-legal-spats-and-the-dalai-lama-rb2dkr9g30m|관련 기사]]] || ||매켄지 차머스 ||영국의 판사. [[지브롤터]] 대법원의 [[대법원장]] || ||레너드 놀스 ||[[바하마]] 대법원의 [[대법원장]] || ||시릴 폰테인 ||[[바하마]] 대법원의 [[대법원장]] || ||제임스 윅스 ||영국의 판사. 2차 대전 종전 후, 케냐로 건너가 케냐 역사상 최장기 [[대법원장]]이 됨[*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Wicks|위키피디아]] 참고] || ||웨인 마틴 ||호주의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Supreme_Court_of_Western_Australia|서호주 대법원]]의 [[대법원장]][* [[https://en.wikipedia.org/wiki/Wayne_Martin_(judge)|위키피디아]] 참고] || ||소폰 라타나콘 ||태국의 판사. [[대법원장]] || ||해리 디아스 반다라나이케 ||스리랑카의 판사. [[대법원장]] || ||세실 켈식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판사. [[대법원장]] || ||해럴드 볼러스 ||가이아나 독립 후 최초의 [[대법원장]] || ||줄리어스 사코디에도 ||가나의 판사. [[대법원장]] || ||은토멩 마자라 ||[[레소토]]의 법조인. [[대법원장]]. 레소토 역사상 첫 여성 대법원장[* [[https://en.wikipedia.org/wiki/Nthomeng_Majara|위키피디아]] 참고] || ||존 타일러 ||나이지리아 대법원의 [[대법관]]이자 최초의 [[라고스]]주 [[대법원장]](Chief Justice of Lagos State)[* [[https://en.wikipedia.org/wiki/John_Taylor_(Nigerian_judge)|위키피디아]] 참고] || ||윌리엄 브렛 ||영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 前 잉글랜드-웨일스 [[법무장관]][* Solicitor General for England and Wales[br][[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Brett,_1st_Viscount_Esher|위키피디아]] 참고] || ||에드워드 클라크 ||영국의 법정 변호사이자 정치인. 前 잉글랜드-웨일스 [[법무장관]] || ||마이클 위틀리 ||싱가포르의 판사. [[법무부 장관]] || ||로이스 브라운에번스 ||버뮤다의 법조인. 버뮤다 정치 / 법조계의 상징적인 인물로 버뮤다 최초의 여성 [[법무부 장관]]이자 [[진보노동당]] 대표(당수)[* [[https://en.wikipedia.org/wiki/Lois_Browne-Evans|위키피디아]] 참고] || ||트레버 모니즈 ||포르투갈계 [[버뮤다]]인 판사. [[법무부 장관]] || ||마이클 아쉬코디 아그바무쉬 ||나이지리아의 판사. [[법무부 장관]] || ||파리스 알-라위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판사. [[법무부 장관]][* [[http://www.ttparliament.org/members.php?mid=26&pid=28&id=FAR55|참고]]] || ||말린 말라후 포르테 ||자메이카의 판사, 정치인. [[법무부 장관]][* [[https://worldfellows.yale.edu/person/marlene-malahoo-forte/|예일 대학교 펠로우 소개]][br][[https://www.weforum.org/people/marlene-malahoo-forte|World Economic Forum 소개]][br][[https://twitter.com/MalahooForteQC|트위터]]] || ||에드먼드 데이비스 ||영국의 판사. [[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A%B5%AD_%EB%8C%80%EB%B2%95%EA%B4%80|상임항소법관]](Lords of Appeal in Ordinary 또는 Law Lords)[* [[https://en.wikipedia.org/wiki/Edmund_Davies,_Baron_Edmund-Davies|위키피디아]] 참고] || ||제레미 설리반 ||영국의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Court_of_Appeal_(England_and_Wales)|잉글랜드-웨일스 항소원]](Court of Appeal)의 재판관(Lord Justice of Appeal)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Senior_President_of_Tribunals|수석 재판소장]][* [[http://www.oldframlinghamian.com/gallery2/main.php?g2_view=core.DownloadItem&g2_itemId=14622&g2_serialNumber=1|참고]]] || ||로빈 울드 ||영국의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Court_of_Appeal_(England_and_Wales)|잉글랜드-웨일스 항소원]](Court of Appeal) 재판관(Lord Justice of Appeal)[* [[https://en.wikipedia.org/wiki/Robin_Auld|위키피디아]] 참고] || ||제럴딘 앤드루스 ||영국의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Court_of_Appeal_(England_and_Wales)|잉글랜드-웨일스 항소원]](Court of Appeal) 재판관(Lord Justice of Appeal)[* [[https://www.kcl.ac.uk/news/alumna-appointed-to-the-court-of-appeal|참고]]] || ||필딩 클ㅌ ||영국의 식민지 법정 변호인. 피지, 홍콩, 자메이카의 [[대법관]] || ||자이샨커 마닐랄 셸라트 ||인도 대법원의 [[대법관]][* [[https://en.wikipedia.org/wiki/Jaishanker_Manilal_Shelat|위키피디아]] 참고] || ||코피 아두모아 보스먼 ||가나의 판사. [[대법관]][* [[https://en.wikipedia.org/wiki/Kofi_Adumua_Bossman|위키피디아]] 참고] || ||보비 치마그럽 ||영국의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High_Court_of_Justice|영국 고등법원]](High Court of Justice)의 [[https://en.wikipedia.org/wiki/Queen%27s_Bench#Queen's_Bench_Division|왕실 재판소]](Queen's Bench Division) 판사. 영국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고등법원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Bobbie_Cheema-Grubb|위키피디아]] 참고] || ||데이비드 포스켓 ||영국의 판사. [[https://en.wikipedia.org/wiki/High_Court_of_Justice|영국 고등법원]](High Court of Justice) 판사[* '''KCL''' 재학 당시 '''kclsu'''(학생회) 회장이었다.] || ||호러스 에이버리 ||영국의 법조인. [[https://en.wikipedia.org/wiki/High_Court_of_Justice|영국 고등법원]](High Court of Justice) 판사 || ||턴지 스완드 ||나이지리아계 영국인 변호사. 영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https://en.wikipedia.org/wiki/Chambers_(law)|영국 법정 변호사실]] 수장 || ||브라이언 올트먼 ||영국의 법조인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Independent_Inquiry_into_Child_Sexual_Abuse|IICSA]] 대표 변호인 || ||루이스 블룸 쿠퍼 ||영국의 법조인이자 작가. [[https://en.wikipedia.org/wiki/Phone-paid_Services_Authority|PSA]]의 창립 의장이자 [[북아일랜드]] 국무장관 || ||댄 사루시 ||영국의 법조인이자 국제법 학자. [[옥스퍼드 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 ||콜린 그래피 ||미 국무부 유럽 담당 차관보이자 [[페퍼다인 대학교]] 법학대학 교수 겸 이사. 前 [[https://web.archive.org/web/20140509032948/http://www.seal-london.org/seallondon/Welcome.html|SEAL]]의 의장 || ||엘리자베스 윌름셔스트 ||영국의 법조인. 영국 외무성의 법률 고문이자 채텀 하우스 [[https://en.wikipedia.org/wiki/Chatham_House|국제문제연구소]]의 선임연구원. [[UCL]] 법학대학 교수 || }}}}}}}}} || ==== 예술 • 언론 • 방송 • 연예 계열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그리어 가슨|[[파일:그리어 가슨_01.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데릭 저먼|[[파일:데릭 저먼_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존 엘리엇 가디너|[[파일:존 엘리엇 가디너_지휘자.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이클 나이먼|[[파일:마이클 나이먼.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존 디콘|[[파일:존 디콘_Portrait_02.jpg|width=150&height=205]]]]}}} || || [[그리어 가슨|{{{#white 그리어 가슨}}}]] || [[데릭 저먼|{{{#white 데릭 저먼}}}]] || [[존 엘리엇 가디너|{{{#white 존 엘리엇 가디너}}}]] || [[마이클 나이먼|{{{#white 마이클 나이먼}}}]] || [[존 디콘|{{{#white 존 디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데릭 저먼]] ||영국의 영화감독이자 동성애 인권운동가[* [[https://www.kcl.ac.uk/people/derek-jarman|King's People - Derek Jarman]]] || ||[[존 디콘]] ||록밴드 [[퀸(밴드)|퀸]]의 베이시스트 || ||[[존 엘리엇 가디너]] ||역사주의 연주로 유명한 영국의 지휘자. [[그래미]]상 수상자이자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 ||[[마이클 나이먼]]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영국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겸 음악학자. [[골든글로브 시상식|골든 글로브]] 음악상 수상자 || ||[[그리어 가슨]] ||1940년대 [[MGM]]을 대표하는 영국출신 배우. [[오스카 상]] 수상자이자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 ||[[에드먼드 그웬]] ||[[골든글로브 시상식|골든 글로브]]와 [[아카데미상|아카데미]] 남우 조연상 수상자인 영국의 배우 || ||[[보리스 칼로프]] ||[[프랑켄슈타인]]으로 유명한 영국의 배우이자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 ||[[애디왈레이 애키누에이아그바제이|애디왈레이[br]애키누에이아그바제이]] ||영국의 배우이자 전직 모델[* [[https://www.instagram.com/therealadewale/|인스타그램]]] || ||[[아이샤 하트]] ||영국의 여배우 || ||[[바니타 산두]] ||인도계 영국인 배우 || ||다비트 모로니 ||영국의 오르간, 하프시코드 연주자이자 음악학자 || ||앤 더들리 ||영국의 클래식, 팝, 영화음악 작곡가. [[오스카 상]] 수상자 || ||피터 애셔 ||영국의 유명 음악 프로듀서이자 팝 듀오 [[https://en.wikipedia.org/wiki/Peter_and_Gordon|피터 앤 고든]]의 멤버.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 ||수지 딕비 ||영국의 합창 지휘자이자 음악 교육학자 || ||데이비드 브루스 ||영국의 현대 고전 음악 작곡가이자 음악학자[* [[https://www.youtube.com/davidbrucedotnet|공식 유튜브]]] || ||다이 후지쿠라 ||일본의 현대 고전 음악 작곡가이자 음악학자[* [[https://www.youtube.com/channel/UCS260HeJI2k7hAHRLlJO8AQ|공식 유튜브]]] || ||존 에반 ||영국의 록 밴드 [[제쓰로 툴]]의 키보디스트 || ||[[블록 파티|켈리 오케릭]] ||영국의 인디 록 밴드 [[블록 파티]](Bloc Party)의 리더[* [[https://www.kcl.ac.uk/people/kele-okereke|King’s People - Kele Okereke]][br][[https://open.spotify.com/artist/4ofO3LyUh6kDM3CTLQasFi|스포티파이]]] || ||JB 길 ||영국의 가수 겸 배우. 영국의 보이밴드 JLS의 멤버[* [[https://www.instagram.com/jbgill/|인스타그램]]] || ||[[아드난 사미]] ||인도의 가수, 음악가,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인도 음악계의 술탄(Sultan of Music)으로 불리는 거장 || ||마이클 베리 ||영국의 [[PD(방송)|방송 프로듀서]]. 前 [[BBC]] TV 드라마국장이자 임원 || ||[[마틴 바시어]] ||前 [[BBC]], [[ITV(영국)|ITV]], [[MSNBC]]의 기자이자 뉴스 앵커. [[다이애나 스펜서]], [[마이클 잭슨]]과의 인터뷰로 유명 || ||소피 롱 ||영국의 방송인이자 기자. [[BBC]] 뉴스 앵커 || ||프랜신 라쿠아 ||이탈리아의 방송인이자 기자. [[블룸버그 통신]]의 메인 앵커[* [[https://www.bloombergmedia.com/talent/people/francine-lacqua/|블룸버그 프로필]][br][[https://www.linkedin.com/in/francine-lacqua-44529629/|LinkedIn]][br][[https://www.instagram.com/flacqua/|인스타그램]]] || ||페라 스톨 ||영국 [[엘르]]와 [[코스모폴리탄]]의 편집장(Editor in Chief)[* [[https://www.youtube.com/watch?v=3t3l6u0R-ms|Editor-in-Chief of Elle, Farrah Storr | Full Q&A at The Oxford Union]][br][[https://www.linkedin.com/in/farrahstorr/|LinkedIn]][br][[https://www.instagram.com/farrahstorr/|인스타그램]]] || ||하그리브스 파킨슨 ||前 [[파이낸셜 타임즈]]의 편집장 || ||존 델런 ||前 [[더 타임스]]의 편집장 || ||시드니 제이콥슨 ||前 [[The Sun|더 선]]의 편집장 || ||시릴 케네스 버드 ||前 펀치([[https://en.wikipedia.org/wiki/Punch_(magazine)|Punch]])의 편집장 || ||벡스터 랭리 ||前 모닝 스타([[https://en.wikipedia.org/wiki/Morning_Star_(London_newspaper)|Morning Star]])의 편집장 || ||로리 브렘너 ||스코틀랜드 출신의 유명 코미디언이자 정치 풍자 작가 || ||허버트 브레넌 ||아일랜드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이자 배우. || ||사샤 저바시 ||영국의 영화 감독이자 극작가. [[에미상]] 수상자 || ||실라 아팀 ||우간다계 영국인 배우이자 극작가 겸 싱어송라이터[* [[https://www.youtube.com/watch?v=9ziGJUVL7q4|Vogue Meets: Sheila Atim - British Vogue]][br][[https://www.instagram.com/sheilaatim/|인스타그램]]] || ||줄리엣 오브리 ||영국의 배우[* [[https://www.instagram.com/juliet_aubrey/|인스타그램]]] || ||에밀리 베링턴 ||영국의 배우[* [[https://www.instagram.com/emily_berrington_/|인스타그램]]] || ||일페네시 하데라 ||미국의 배우[* [[왕립연극학교|RADA]]와 '''KCL'''의 공동학위 과정 졸업(MFA).[[https://www.harlemworldmagazine.com/harlem-baywatch-ilfenesh-hadera/|참고]][br][[https://www.instagram.com/ilfenator/|인스타그램]]] || ||브리 터너 ||미국의 배우[* [[https://www.instagram.com/realbreeturner/|인스타그램]]] || ||프란치스카 바이스 ||오스트리아의 배우[* [[https://www.instagram.com/franziskaweisz_/|인스타그램]]] || ||줄리어스 딘 ||영국의 마술사[*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692271&memberNo=36919510|세계를 여행하는 마술사, '줄리어스 데인'...길거리서 마술과 감동전해]][br][[https://www.youtube.com/channel/UCCNaMMlI3cOc7yFg52riTqg|YouTube 공식 채널]]] || }}}}}}}}} || ==== 스포츠 분야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동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해리 젬|[[파일:해리 젬.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배리 데이비스|[[파일:베리 데이비스.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캐서린 그레인저|[[파일:캐서린 그레인저_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디나 애셔스미스|[[파일:디나 애셔-스미스_프로필.jpg|width=150&height=205]]]]}}} || || [[해리 젬|{{{#white 해리 젬}}}]] || [[배리 데이비스|{{{#white 배리 데이비스}}}]] || [[캐서린 그레인저|{{{#white 캐서린 그레인저}}}]] || [[디나 애셔스미스|{{{#white 디나 애셔스미스}}}]] || || {{{-2 테니스 탄생의[br]공동 기여자}}} || {{{-2 [[BBC|{{{#black,#white BBC}}}]] 스포츠 해설가}}} || {{{-2 영국체육회 회장[br][[글래스고 대학교|{{{#black,#white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 || {{{-2 영국 여자 육상[br]최고 기록 보유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해리 젬 ||영국의 법조인이자 군인 겸 스포츠맨. [[테니스]](Lawn Tennis) 탄생에 기여 || ||[[캐서린 그레인저]] ||영국의 조정선수이자 법학자. [[2012 런던 올림픽]] 조정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 선수권대회 6회 우승자. [[https://en.wikipedia.org/wiki/UK_Sport|영국체육회]](UK Sport) 회장이자 [[글래스고 대학교]] 총장(Chancellor)[* [[https://www.kcl.ac.uk/people/dame-katherine-grainger|King's People - Katherine Grainger]][br][[https://www.bbc.co.uk/news/uk-scotland-glasgow-west-51806981|Dame Katherine Grainger to become Glasgow university chancellor]][br][br]조정 선수로 올림픽에서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현역일때 부터 운동과 공부를 병행했는데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LLB,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MPhil, 그리고 '''KCL'''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법학자다. 운동과 학문 두 가지에서 다 성공을 거둔 문무 겸비(?)의 독특한 경력으로 인해 영국내에서도 굉장히 주목 받았다.[br][br]2020년 6월 15일부로 본인이 석사학위를 취득했던 [[글래스고 대학교]]의 총장으로 취임했다.] || ||프랜시스 호턴 ||영국의 조정선수. 세계 선수권대회 4회 우승자이자 [[2004 아테네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https://en.wikipedia.org/wiki/Frances_Houghton|위키피디아]] 참고] || ||애너벨 버넌 ||영국의 조정선수. 세계 선수권대회 2회 우승자이자 [[2008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폴 베넷 ||영국의 조정선수. 세계 선수권대회 2회 우승자이자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조 서맨사 리 ||영국의 조정선수. 유럽 선수권대회 우승자이자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키어런 웨스트 ||영국의 조정선수. [[2000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2002 세계 선수권대회 우승자 || ||[[디나 애셔스미스]] ||영국 여성 육상계 최고 스타이자 최고 기록 보유자. 2016년, 2018년 유럽 육상 선수권대회 200m 챔피언[* [[https://www.kcl.ac.uk/people/dina-asher-smith|King's People - Dina Asher-Smith]]] || ||이마니 라라 란시 쿼트 ||2018년 유럽 육상 선수권대회 400m 4인 계주 [[금메달]]리스트이자 2019년 도하 세계 선수권대회 [[은메달]], [[2020 도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라비아이 닐슨 ||세계 육상 선수권대회 400m 4인 계주 [[은메달]]리스트 || ||제이드 나이트 ||영국의 여성 럭비선수. [[웨일스]] 국가대표 || ||배리 데이비스 ||영국의 스포츠 해설가[* [[https://www.youtube.com/watch?v=sVyITnIIa2Q|BBC]] 인터뷰 영상[br][[https://www.youtube.com/watch?v=806ePcpTNLo|FourFourTwo]] 인터뷰 영상[br][[https://www.youtube.com/watch?v=qucWtQD_EtQ|90min Football]] 인터뷰 영상] || ||엘사 데즈먼드 ||아일랜드의 [[루지]] 국가대표 선수이자 내과 의사[* [[https://en.wikipedia.org/wiki/Elsa_Desmond|위키피디아]][br][[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special/2022/02/08/4VUQFVIS2REW5FW4SFFW375X7Y/|조선일보 기사]]] || ||잭 도우너 ||영국의 스트리트 축구 선수, 스포츠분야 인플루언서. 영국 스트리트 축구계의 레전드[* 철학과 B.A. 2016 entry(영국에서는 학번을 entry라고 한다.)[br][[https://www.instagram.com/streetpanna/|인스타그램]][br][[https://www.youtube.com/channel/UCZAwf7HgsIQXyx6tNgK2dgQ|유튜브]]] || }}}}}}}}} || ==== 왕족 • 귀족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동문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알렉산더 윈저 ||얼스터 백작. 2대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알렉산더 월터 조지]]의 장남. 즉 [[조지 5세]]의 증손자이자 글로스터 공작 헨리의 손자 || ||클레어 윈저 ||얼스터 백작부인. 알렉산더 윈저의 배우자이자 [[소아과]] [[전문의]] || ||[[나폴레옹 외젠 루이 장 조제프 보나파르트|나폴레옹 외젠 루이[br]장 조제프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3세]]의 외아들로 [[프랑스]] 최후의 황태자 || ||마르가리타 공주 ||[[엘리자베스 2세]]와 [[필립 마운트배튼]]의 조카 || ||안토니아 공주 ||영국의 귀족이자 자선가, [[빌헬름 2세]]의 증손녀 || ||마지다 볼키아 ||[[브루나이]]의 왕자. [[하사날 볼키아]]의 넷째 자식 || ||압둘 마틴 볼키아 ||브루나이의 왕자. [[하사날 볼키아]]의 열번째 자식 || ||프리스댕 왕자 ||태국의 외교관이자 [[짜끄리 왕조|짜끄리 왕실]] 가문 출신 왕족 || ||셰이크 칼리드 빈 술탄[br]빈 자예드 알 나얀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 [[알나얀 왕조|알나얀 왕가]]의 왕족 || ||셰이크 메샬 압둘라[br]알-제이버 알-사바 ||[[쿠웨이트]] 왕족(Al-Sabah) 출신 || ||존 보일 ||14대 코크 백작(Earl of Cork) || ||로저 램바트 ||13대 케번 백작(Earl of Cavan) || ||루퍼트 온슬로 ||8대 온슬로 백작(Earl of Onslow) || ||드 앨런슨 ||5대 헤들리 남작(Baron Headley) || ||마이클 에번스프리크 ||12대 카베리 남작(Baron Carbery) || }}}}}}}}} || === 교원 (한국 관련 인물 제외) === *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교원(이사, 교수, 강사, 연구원)으로 재직했던 인물들만 아래의 리스트에 추가할 것. *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총장(Chancellor)은 실권없는 명예직이자 [[런던 대학교]] 소속 모든 대학들의 명목상 수장이므로 본 항목(교원)에 추가하지 않는다. 본교에서 총장의 역할은 이사(Principal & President)가 담당하며, 이사는 교원의 범주에 속한다.[* [[https://www.lawinsider.com/dictionary/academic-staff-members|Law Insider]] 참고] *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주임 사제(Dean)는 일반 대학에서의 딘(Dean)과는 달리 교직이 아닌 성직(聖職)이므로 본 항목(교원)에 추가하지 않는다. 다만 공식적인 역할과 직함을 가진 재직자이므로 [[: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엔 포함시킨다. * 킹스 칼리지 런던의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Council)은 대학의 공식 임원이자 재직자다. 허나 교원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행정직이므로 본 항목(교원)에 추가하지 않는다. 다만 [[: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엔 포함시킨다. * 한국인 혹은 한국계 교원에 관한 정보는 위의 [[킹스 칼리지 런던/출신 인물#s-2.1.2|한국 관련 출신 인물 - 교원]] 항목에 추가하기 바란다. ==== 역대 이사 (Principal & President)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fff {{{-1 '''역대 KCL 이사 목록'''}}}[br]{{{-2 '''List of Principals of King's College London'''}}}}}} }}} || ||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o.''' || '''성명''' || '''재임 기간''' || '''기타 경력''' || || 초대 ||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Otter|{{{#black,#white 윌리엄 오터}}}]][br]{{{-2 (William Otter)}}} || 1831년 – 1836년 || [[성공회 치체스터교구|성공회 치체스터교구장]] || || 제2대 || [[https://en.wikipedia.org/wiki/Hugh_James_Rose|{{{#black,#white 휴 제임스 로즈}}}]][br]{{{-2 (Hugh James Rose)}}} || 1836년 – 1838년 || [[더럼 대학교]] 교수 || || 제3대 || [[https://en.wikipedia.org/wiki/John_Lonsdale|{{{#black,#white 존 론스데일}}}]][br]{{{-2 (John Lonsdale)}}} || 1838년 – 1843년 || [[성공회 리치필드교구|성공회 리치필드교구장]] || || 제4대 ||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William_Jelf|{{{#black,#white 리처드 윌리엄 젤프}}}]][br]{{{-2 (Richard William Jelf)}}} || 1843년 – 1868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 || 제5대 || [[https://en.wikipedia.org/wiki/Alfred_Barry|{{{#black,#white 알프레드 베리}}}]][br]{{{-2 (Alfred Barry)}}} || 1868년 – 1883년 || 호주 [[성공회 시드니교구|성공회 시드니교구장]] || || 제6대 || [[https://en.wikipedia.org/wiki/Henry_Wace_(priest)|{{{#black,#white 헨리 웨이스}}}]][br]{{{-2 (Henry Wace)}}} || 1883년 – 1897년 || [[https://en.wikipedia.org/wiki/Dean_of_Canterbury|{{{#black,#white 캔터베리 대성당 주임 사제}}}]]. [[킹스 칼리지 런던|KCL]] 동문 || || 제7대 || [[https://en.wikipedia.org/wiki/Archibald_Robertson_(bishop)|{{{#black,#white 아치볼드 로버트슨}}}]][br]{{{-2 (Archibald Robertson)}}} || 1897년 – 1903년 || [[성공회 엑시터교구|성공회 엑시터교구장]] || || 제8대 || [[https://en.wikipedia.org/wiki/Arthur_Headlam|{{{#black,#white 아서 헤들럼}}}]][br]{{{-2 (Arthur Headlam)}}} || 1903년 – 1912년 || [[성공회 글로스터교구|성공회 글로스터교구장]] || || 제9대 || [[https://en.wikipedia.org/wiki/Ronald_Burrows|{{{#black,#white 로널드 버로스}}}]][br]{{{-2 (Ronald Montagu Burrows)}}} || 1913년 – 1920년 || [[맨체스터 대학교|맨체스터]], [[카디프 대학교]] 교수 || || 제10대 || [[https://en.wikipedia.org/wiki/Ernest_Barker|{{{#black,#white 어니스트 바커}}}]][br]{{{-2 (Ernest Barker)}}} || 1920년 – 1927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 || 제11대 ||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Reginald_Halliday|{{{#black,#white 윌리엄 레지널드 홀리데이}}}]][br]{{{-2 (William Reginald Halliday)}}} || 1928년 – 1952년 || [[글래스고 대학교|글래스고]], [[리버풀 대학교]] 교수 || || 제12대 || [[https://en.wikipedia.org/wiki/Peter_Noble_(academic)|{{{#black,#white 피터 노블}}}]][br]{{{-2 (Peter Noble)}}} || 1952년 – 1968년 || [[런던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 || || 제13대 || [[https://en.wikipedia.org/wiki/John_Hackett_(British_Army_officer)|{{{#black,#white 존 해킷}}}]][br]{{{-2 (John Hackett)}}} || 1968년 – 1975년 || 영국 육군 대장 || || 제14대 ||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Way|{{{#black,#white 리처드 웨이}}}]][br]{{{-2 (Richard George Kitchener Way)}}} || 1975년 – 1980년 || [[https://en.wikipedia.org/wiki/London_Transport_Executive_(GLC)|{{{#black,#white 런던 교통국장}}}]](Chairman) || || 제15대 || [[https://en.wikipedia.org/wiki/Neil_Cameron,_Baron_Cameron_of_Balhousie|{{{#black,#white 닐 캐머런}}}]][br]{{{-2 (Neil Cameron)}}} || 1980년 – 1985년 || 영국 [[국방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 || 제16대 || [[https://en.wikipedia.org/wiki/Stewart_Sutherland,_Baron_Sutherland_of_Houndwood|{{{#black,#white 스튜어트 서덜랜드}}}]][br]{{{-2 (Stewart Ross Sutherland)}}} || 1985년 – 1990년 || [[에든버러 대학교]]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Principals_of_the_University_of_Edinburgh|{{{#black,#white 이사}}}]](Principal) || || 제17대 || [[https://en.wikipedia.org/wiki/John_Beynon_(academic)|{{{#black,#white 존 베이넌}}}]][br]{{{-2 (John David Emrys Beynon)}}} || 1990년 – 1992년 || [[카디프 대학교]] 교수, [[서리 대학교]] 학장 || || 제18대 || [[https://en.wikipedia.org/wiki/Arthur_Lucas_(academic)|{{{#black,#white 아서 루커스}}}]][br]{{{-2 (Arthur Maurice Lucas)}}} || 1993년 – 2003년 || [[https://en.wikipedia.org/wiki/Society_for_the_History_of_Natural_History|{{{#black,#white 자연사학회}}}]] 회장(President) || || 제19대 || [[https://www.kcl.ac.uk/people/richard-trainor|{{{#black,#white 릭 트레이너}}}]][br]{{{-2 (Richard Hughes Trainor)}}} || 2004년 – 2014년 || [[옥스퍼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컬리지#s-5.8|엑시터 컬리지]] 학장(Rector) || || 제20대 || [[https://www.kcl.ac.uk/people/ed-byrne|{{{#black,#white 에드 번}}}]][br]{{{-2 (Edward Byrne)}}} || 2014년 – 2021년 1월 || [[모내시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 || || 권한 대행 || [[https://www.kcl.ac.uk/people/evelyn-welch|{{{#black,#white 에블린 웰치}}}]][br]{{{-2 (Evelyn Kathleen Welch)}}} || 2021년 2월 – 2021년 6월 || [[브리스톨 대학교]] 부총장(Vice-Chancellor) || || 제21대 || [[https://www.kcl.ac.uk/people/shitij-kapur|{{{#black,#white 시티지 카푸어}}}]][br]{{{-2 (Shitij Kapur)}}} || 2021년 6월 – 현재 || [[킹스 칼리지 런던|KCL]], [[토론토 대학교]] 교수. [[멜버른 대학교]] 학장 || }}}}}} || ==== 교수 • 강사 • 연구원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주요 인물'''}}}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라이엘|[[파일:찰스 라이엘_MINI.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휘트스톤|[[파일:Prof_Charles Wheatstone.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플로렌스 나이팅게일|[[파일:플로렌스 나이팅게일_Colour.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지프 리스터|[[파일:Prof_Joseph Lister.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파일:Prof_James Clerk Maxwell.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스콧 셰링턴|[[파일:찰스 셰링턴 교수.jpg|width=150&height=205]]]]}}} || || [[찰스 라이엘|{{{#white 찰스 라이엘}}}]] || [[찰스 휘트스톤|{{{#white 찰스 휘트스톤}}}]]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white 나이팅게일}}}]] || [[조지프 리스터|{{{#white 조지프 리스터}}}]]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white 제임스 C. 맥스웰}}}]] || [[찰스 스콧 셰링턴|{{{#white 찰스 S. 셰링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글러버 바클라|[[파일:Charles_Glover_Barkla.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파일:오언 윌런스 리처드슨_노벨 물리학상 수상자.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파일:Appleton.jp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모리스 윌킨스|[[파일:모리스 윌킨스 교수.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로절린드 프랭클린|[[파일:로잘린드 프랭클린.png|width=150&height=2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제임스 화이트 블랙|[[파일:제임스 화이트 블랙_프로필.png|width=150&height=205]]]]}}} || || [[찰스 글러버 바클라|{{{#white 찰스 G. 바클라}}}]] ||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white 오언 W. 리처드슨}}}]]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white 에드워드 애플턴}}}]] || [[모리스 윌킨스|{{{#white 모리스 윌킨스}}}]] || [[로잘린드 프랭클린|{{{#white 로잘린드 프랭클린}}}]] || [[제임스 화이트 블랙|{{{#white 제임스 W. 블랙}}}]]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D50 4%, #fff 4%, #fff 5%, #E2231A 5%, #E2231A 95%, #fff 95%, #fff 96%, #0A2D50 96%)" {{{#white '''교원 목록''' }}}}}}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2231a> {{{#white '''성명'''}}} ||<#e2231a> {{{#white '''관계'''}}} ||<#e2231a> {{{#white '''업적 및 대표 경력'''}}}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설립자 • 교수 ||영국의 간호사이자 행정가, 사회 개혁가. 세계 최초의 간호학교 설립자[* [[https://www.kcl.ac.uk/people/florence-nightingale|King's People - Florence Nightingale]]] || ||[[찰스 라이엘]] || 교수 ||영국의 지질학자. 지질학계의 명저 《[[https://www.bl.uk/collection-items/charles-lyells-principles-of-geology|지질학의 원리]]》(Principles of Geology)를 '''KCL'''에서 저술했다. 코플리 메달 수상자[* [[https://www.kcl.ac.uk/people/charles-lyell|King’s People - Charles Lyell]]]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교수 ||스코틀랜드 출신의 물리학자 겸 수학자[* '''KCL'''에서 교수로 재직한 5년여 동안 학자로서 전성기를 보냈다. 그를 대표하는 연구업적 및 명예의 대부분은 '''KCL''' 교수 재직시절의 연구로 이룩했다.] || ||존 프레더릭 대니엘 || 교수 ||영국의 화학자이자 기상학자. 초대 '''KCL''' 화학부 교수. 로열 메달, 코플리 메달 수상자[* [[https://www.kcl.ac.uk/aboutkings/history/famouspeople/johnfredericdaniell|King's People - John Frederic Daniell]]] || ||[[찰스 휘트스톤]] || 교수 ||영국의 발명가, 물리학자이자 전기 공학자. '''KCL''' 재임기간 동안 [[휘트스톤 브릿지]]와 입체경(Stereoscope)의 발명과 근대적 의미의 [[전신기]]를 완성시킴. 로열 메달, 코플리 메달 수상자[* [[https://www.kcl.ac.uk/wheatstone-collection|KCL - Wheatstone Collection]][br][[https://www.kcl.ac.uk/why-sir-charles-wheatstone-should-be-the-new-face-of-the-50-pound-note|Why Sir Charles Wheatstone should be the new face of the £50 note]][br][br]'''KCL'''을 대표하는 교수 중 한명으로 '''KCL'''의 The Faculty of Natural & Mathematical Sciences엔 그의 이름을 딴 [[https://www.kcl.ac.uk/archive/news/nms/wheatstone-innovation-lab-gets-robot-heads-turning|연구소]]가 있다.] || ||프레더릭 데니슨 모리스 || 교수 ||영국의 [[성공회]] 신학자겸 작가. [[기독교 사회주의]] 창시자 중 한명[* [[https://www.kcl.ac.uk/aboutkings/history/famouspeople/frederickmaurice|Frederick Maurice - King's College London]]] || ||[[조지프 리스터]] || 교수 ||영국 출신의 외과의사. 멸균법에 따라서 시행하는 무균 수술법 확립에 기여[* [[https://www.kcl.ac.uk/people/joseph-lister|King's People - Joseph Lister]]] || ||로버트 벤틀리 토드 || 교수 ||아일랜드 출신의 내과의사. [[https://en.wikipedia.org/wiki/Todd%27s_paresis|중풍 연구]]의 선구자 || ||[[찰스 스콧 셰링턴]] || 교수 ||영국의 신경생리학자이자 병리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찰스 글러버 바클라]] || 교수 ||영국의 물리학자. 원소들에 대한 특성 X-선의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 영국 왕립학회 휴즈 메달 수상자 ||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 교수 ||영국의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https://www.nobelprize.org/prizes/physics/1928/richardson/biographical/|The Nobel Prize - Owen Willans Richardson]]] || ||[[아놀드 J. 토인비]] || 교수 ||영국의 역사가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 교수 ||영국의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https://www.londonremembers.com/memorials/edward-appleton|King's College London - Plaque: Edward Appleton]]] || ||줄리언 헉슬리 || 교수 ||영국의 생물학자. [[유네스코]] 초대 사무총장. 과학 대중화에 기여 || ||존 랜들 || 교수 ||영국의 생물물리학자. '''KCL''' 물리학 석좌 교수이자 '''KCL''' [[킹스 칼리지 런던/단과대학 및 연구기관#s-3.1|랜들 연구소]]의 설립자 || ||[[모리스 윌킨스]] || 교수 ||X선 회절을 이용한 DNA 이중 나선 구조를 규명.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겸 [[래스커상]] 수상자[* [[https://www.kcl.ac.uk/people/maurice-wilkins|King's People - Maurice Wilkins]], [[https://www.kcl.ac.uk/aboutkings/history/famouspeople/wilkinsfranklin|KCL - Wilkins and Franklin]], [[http://www.laskerfoundation.org/awards/show/double-helical-structure-of-dna/|1960 Lasker Awards]][br][br]자신의 전체 커리어의 7할 이상을 '''KCL'''에서 보냈다. 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워털루 캠퍼스에 그와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 ||아널드 베켓 || 교수 ||영국의 약리학자. [[도핑]] 방지를 위한 테스트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 [[https://www.kcl.ac.uk/lsm/pharmacology/history-of-pharmacology-at-kings|History of Pharmacology at King's]]] || ||[[제임스 화이트 블랙]] || 교수 ||영국의 약리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울프상]], [[래스커상]] 수상자[* [[https://www.kcl.ac.uk/aboutkings/history/famouspeople/sirjamesblack|King's People - Sir James Black]][br][[https://www.gettyimages.in/detail/video/sir-james-black-awarded-the-nobel-prize-for-medicine-news-footage/990958204?adppopup=true|Sir James Black awarded the Nobel Prize for medicine]][br][br]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KCL''' 덴마크 힐 캠퍼스엔 그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 ||서스턴 다트 || 교수 ||영국의 음악학자이자 작곡가. 본인 스스로도 세계적인 음악가였지만 [[존 엘리엇 가디너]], 데이빗 머로니, [[크리스토퍼 호그우드]]를 키워낸 교육자로도 유명 || ||프랭크 켈리 || 교수 ||영국 의학연구심의회(MRC) 환경보건부 회장. [[WHO]] 대기오염 분야 정책자문[* [[박원순]] 前 서울시장이 런던 방문 당시 대기질 개선방안에 대해 자문을 구했던 그 교수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VJ0UITT17|참고]]] || ||존 엘리스 || 교수 ||영국의 물리학자. [[CERN]]의 대표 연구원이자 [[폴 디랙]]상 수상자 || ||팀 허버드 || 교수 ||유전자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인간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https://en.wikipedia.org/wiki/GENCODE|GENCODE]] 프로젝트로 유명[*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80902/91803268/1|관련기사]]] || ||수전 스탠드링 || 교수 ||영국의 의사. 해부학 교재의 명저 《[[그레이 아나토미]]》의 수석 편집 위원 || ||해럴드 앨리스 || 교수 ||영국의 의사. MRCS 시험을 준비하는 의학도들을 위한 [[https://www.wiley.com/en-gb/Clinical+Anatomy%3A+Applied+Anatomy+for+Students+and+Junior+Doctors%2C+14th+Edition-p-9781119325512|교육서]]와 매년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Journal_of_Surgery|IJS]]에서 수여하는 해럴드 앨리스 상(Harold Ellis Prize)으로 유명 || ||사이먼 웨슬리 || 교수 ||영국의 정신과 의사. [[영국 왕실]] 칙임(勅任) [[https://www.youtube.com/watch?v=P8o9mIFXmB8|정신과 교수]]이자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addox_Prize|존 매덕스 상]] 수상자 || ||프란체스코 루비노 || 교수 ||대사 및 비만 수술의 창시자라 불리는 의사. 비만수술에서 대사수술의 개념을 최초로 만들어 과학적으로 증명한 연구자[* [[https://www.kcl.ac.uk/people/francesco-rubino|King's People - Professor Francesco Rubino]][br][[http://www.mdjournal.kr/news/articleView.html?idxno=11343|관련기사]][br][[https://www.youtube.com/watch?v=azrLc7mOMY0|관련영상]]] || ||존 맥그래스 || 교수 ||영국의 피부병 전문의이자 '''KCL''' 분자 피부과학 연구그룹의 수장. 수포성 유전피부 질환분야의 세계적 석학 || ||에드 볼스 || 교수 ||前 [[노동당(영국)|노동당]] 정치인. 영국 어린이, 가족 및 학교부 장관과 [[재무부]] 장관을 역임[* [[https://www.kcl.ac.uk/news/ed-balls-takes-up-new-role-with-kings-college-london|King's College London - News Centre]],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GT200701330|관련기사]][br][br][[고든 브라운]]의 정치자문으로 영국내에선 굉장히 유명한 정치인이지만 대한민국에선 그냥 [[https://www.dispatch.co.kr/778845|강남 스타일]] 춤 따라한 외국 정치인으로 알려짐] || ||알렉스 캘리니코스 || 교수 ||[[마르크스주의]]와 반전·반자본주의 이론의 세계적 권위자. 사회주의 노동자당(SWP)의 중앙 위원장 || ||로런스 프리드먼 || 교수 ||전쟁학 및 군사전략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포클랜드 전쟁]] 공식 역사 기록관[* [[https://www.kcl.ac.uk/people/professor-sir-lawrence-freedman|KCL - Professor Sir Lawrence Freedman]]] || ||에프라임 카르시 || 교수 ||이스라엘 출신의 영국인 역사학자. 중동 및 지중해 역사연구의 세계적 석학 || ||[[알리스터 맥그래스]] || 교수 ||영국의 [[성공회]] [[사제(성직자)|사제]]이자 기독교 복음주의 [[신학자]] 겸 저술가 || ||[[줄리아 길라드]] || 학장 • 방문교수 ||호주 최초의 여성 [[호주 총리|총리]]. '''KCL''' 산하 Global Institute for Women's Leadership과 Menzies Centre for Australian Studies의 학장(Chair)[* 2018년에 학장으로 임명됐으며, 지난 2016년엔 1년동안 방문교수로 '''KCL'''에 재직한 바 있다.]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전임강사 ||페루 출신의 작가이자 언론인. [[노벨 문학상]] 수상자[*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080209/http://www.kcl.ac.uk/newsevents/news/newsrecords/2010/oct/TenthNobelPrizeWinner.aspx|KCL News]][br][br]작가와 교직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것에 한계를 느낀 그는 '''KCL'''에서의 Lectureship을 끝으로 아카데믹 커리어는 그만두고 전임 작가로서의 길을 걷는다] || ||[[로절린드 프랭클린]] || 선임연구원 ||영국의 생물물리학자. '''KCL'''에서 재직하던 시절, X선 결정학을 통해 DNA, 바이러스, 석탄, 흑연의 구조를 밝혀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 [[https://www.kcl.ac.uk/people/rosalind-franklin|King's People - Rosalind Franklin]], [[https://www.kcl.ac.uk/cultural/-/projects/rosalind-franklin|Franklin at 100]][br][br]그의 공헌에 감사하고자 '''KCL'''의 워털루 캠퍼스엔 그와 모리스 윌킨스의 이름을 딴 건물이 있다.] || ||[[로저 펜로즈]] || 선임연구원 ||영국의 수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 || === 가상 인물 === * [[키마이라/등장인물#s-2.2|이중엽]] - 드라마 [[키마이라]]의 등장인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킹스 칼리지 런던, version=1129, paragraph=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