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fff '''{{{+2 킹 메이커}}}''' (2011)[br]''The Ides of Marc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킹 메이커.jpg|width=100%]]}}} || || '''장르''' ||[[스릴러]], [[정치]], [[드라마]] || || '''감독''' ||[[조지 클루니]] || || '''각본''' ||[[조지 클루니]][br]보 윌리몬[br]그랜트 해슬롭 || || '''원작''' ||보 윌리몬의 희곡 'Farragut North' || || '''제작''' ||[[조지 클루니]][br]그랜트 해슬롭[br]브라이언 올리버[br][[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기획) || || '''출연''' ||[[라이언 고슬링]], [[조지 클루니]] 외 || || '''음악'''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 || '''제작사''' ||스모크 하우스 픽처스[br]에페인 웨이 프로덕션[br]익스클루시브 미디어[br]크로스 크릭 픽처스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컬럼비아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시너지 || || '''스트리밍'''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70]]]]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60]]]]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1년]] [[10월 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4월 19일]] || || '''상영 시간''' ||101분 || || '''제작비''' ||'''1,250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75,993,061''' (최종) || || '''북미 박스오피스''' ||'''$40,962,534''' (최종)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4,965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fff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지 클루니]] 제작, 감독, 각본, 주연에 [[라이언 고슬링]], [[필립 시모어 호프먼]] 등이 출연한 영화로 2011년 10월에 개봉했다. 국내에는 2012년 4월에 개봉했다. 마침 국내는 [[제18대 대통령 선거]]가 있던 해에 개봉했다. 영화의 원 제목은 즉 '[[3월 15일]]'이다. 3월 15일에 있었던 가장 유명한 역사적인 사건으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과 [[3.15 부정선거]]가 있는데 둘 다 큰 정치적 사건이다. [[제84회 아카데미 시상식]] 각색상 후보작이다. == 예고편 == [youtube(Uha0XfGBdMw)] == 출연진 == * [[라이언 고슬링]] - 스티븐 마이어스 역 * [[조지 클루니]] - 마이크 모리스 역 * [[필립 시모어 호프먼]] - 폴 자라 역 * [[폴 지아마티]] - 톰 더피 역 * [[마리사 토메이]] - 아이다 호로위즈 역 * [[제프리 라이트]] - 톰슨 역 * [[에반 레이첼 우드]] - 몰리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ides-of-march, critic=67, user=7.1)]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ides_of_march, tomato=83, popcorn=73)]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24035, user=7.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ides-of-march, user=3.3)] 미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미국)]] 경선 레이스를 뛰는 마이크 모리스([[조지 클루니]])와 그 선거 캠프 내외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정치극임에도 나름 긴장감 있는 전개를 보여줬다는 평을 받는다. 미국 특유의 정치 문화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다. 대권주자가 유권자들과 토론하면서 격의 없는 농담따먹기 등이 예시. == 기타 == 사실상 감독과 주연을 맡은 [[조지 클루니]]의 정계 입문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클루니 본인은 그런 정치적 의미는 없다고 일찌감치 밝혔으며, 영화 내에서도 조지 클루니가 연기한 마이크 모리스는 상당히 위선적이고 교활한 부정적 이미지를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본작의 주인공 라이언 고슬링이 연기한 스티븐 마이어가 정치판에 몇 안 되는 진실하고 훌륭한 인물이라 열렬히 따랐지만 알고보니 선거 캠프의 인턴 중 한 명으로 아직 미성년자인 민주당 전국위원장의 딸과 잠자리를 가졌고 심지어 이 딸은 임신까지 한다. 그리고 영화 말미에 라이언 고슬링이 이 사실을 알고 협상을 위해 추궁했을 때 사실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모습이 아닌 증거 있냐고 따지는 모습과 증거가 없으니 캠프에서 쫓겨난 참모보다 현직 주지사인 자신이 더 유리한 입장이라고 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국 그 뒤에도 잘못을 깨끗이 인정하고 물러난 게 아니라 스티븐 마이어, 거물급 상원의원 등과 지저분한 거래를 하고 결국 민주당 후보가 되는 가증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분류:조지 클루니]][[분류:2011년 영화]][[분류:미국의 정치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소니 픽처스]][[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