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킬링 오브 투 러버스}}}''' (2020)[br]''The Killing of Two Lovers''}}}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버트 매코이언}}}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버트 매코이언}}} || || '''{{{#000000,#dddddd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클레인 크로포드, 로버트 매코이언, 오든 로버츠}}} || || '''{{{#000000,#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클레인 크로포드, [[세피데 모아피]], 크리스 코이 外}}}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스카르 이그나시오 히메네스}}} || || '''{{{#000000,#ddd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버트 매코이언}}} || || '''{{{#000000,#dddddd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테클라 루시, 할리 머레이}}} || || '''{{{#000000,#dddddd 연기 지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워너 로클리[*uncredited]}}}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ack40 Pictures, 433 Pictures, Soro Films}}} || || '''{{{#000000,#dddddd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특별시SMC}}}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eon]][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블루라벨픽쳐스, 헤이데이필름컴퍼니(제공사)}}}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2020년 9월 8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3월 1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0월 14일}}} || || '''{{{#000000,#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37:1}}}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84분}}} || || '''{{{#000000,#dddddd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000,#ddd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2020년 드라마 영화. 로버트 매코이언이 연출하였다. == 개봉 전 정보 == 선댄스 영화제 등 다수의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어, 많은 부문 수상식에 노미네이트되었고, 애틀란타 필름 페스티벌에서 로버트 매코이언이 각본 부문으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였다. == 예고편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b4Ysku7i0)]}}}|| || '''30초 예고편'''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epWCbhVF9A)]}}}||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니키’와 서로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에 동의하고 별거 중인 ‘데이빗’은 >우연히 아내의 연인 ‘데릭’의 존재를 알게 된 후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느낀다. >한편, 결혼과 육아로 단절되어버린 꿈을 이루기 위해 로펌에 취직한 ‘니키’는 >같은 건물에 근무하는 ‘데릭’에게 점점 호감을 갖게 되고 >‘니키’와의 관계를 보다 발전시키고픈 ‘데릭’은 >밤마다 그녀의 집으로 찾아가면서 그녀를 온전히 소유하고픈 욕망을 키워간다. > >서로의 곁에 머물고 싶은 세 연인의 욕망은 >그들을 위태로운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는데… >---- >출처: 다음 영화 == 등장인물 == * 클레인 크로포드 - 데이빗 역 별거 중인 남편. * [[세피데 모아피]] - 니키 역 별거 중인 아내 * 크리스 코이 - 데릭 역 별거 중인 아내의 연인 * 에이버리 피주토 - 제스 역 데이빗과 니키의 장녀. 한창 사춘기다. [[중2병]]이 있다. * 아리 그레이엄 - 테오 역 데이빗과 니키의 아들 * 조나 그레이엄 - 버그 역 데이빗과 니키의 아들 * 바바라 위너리 - 스테이플스 여사 역 데이빗의 고용주 * 브루스 그레이엄 - 데이빗의 아버지 역 * 노아 케르시스니크 - 하드웨어 스토어 점원 == 설정 ==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list=, rank=<순위>)]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기타 == * 이 작품은 철저한 1인칭 주인공 시점이다. 주인공인 남편 데이빗 역을 맡은 클레인 크로포드의 시선에서 벗어나 있는 사건은 일부러 생략되어 있을 정도이다. [[NTR]]을 당하는 남편의 심리 묘사를 중시하고 있으며, 심지어 효과음까지도 이러한 데이빗의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 * 이 작품은 [[유타주]] 카노쉬에 있는 한 작은 마을에서 촬영되었다. [[분류:Neon]][[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2021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