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89aa8> '''{{{#fff {{{+2 킬 유어 달링}}} (2013)[br]''{{{#e5b9aa Kill Your Darling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킬유어달링(1).jpg|width=100%]]}}}|| || '''{{{#fff 장르}}}''' ||[[드라마]], [[로맨스]], [[퀴어]] || || '''{{{#fff 감독}}}''' ||존 크로키다스 || || '''{{{#fff 출연}}}''' ||[[다니엘 래드클리프]][br][[데인 드한]][br][[벤 포스터(배우)|벤 포스터]][br][[잭 휴스턴]] 등 || || '''{{{#fff 각본}}}''' ||존 크로키다스[br]오스틴 번 || || '''{{{#fff 제작}}}''' ||마이클 베나로야[br]로즈 강구자[br]크리스틴 배콘 등 || || '''{{{#fff 촬영}}}''' ||리드 모라노 || || '''{{{#fff 수입}}}''' ||수키픽처스 || || '''{{{#fff 배급}}}''' ||[[영화사 진진]] || || '''{{{#fff 상영시간}}}''' ||104분 || || '''{{{#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3,157명 || || '''{{{#fff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4년]] [[10월 16일]] || || '''{{{#fff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세계 영화제를 휩쓴 매혹적인 배드 무비에 대한 극찬 세례!''' >'''[[베니스 국제 영화제]] 및 해외 유수 영화제 수상 및 노미네이트!''' >'''2014년 차세대 [[청춘]] 아이콘들의 빛나는 만남!''' >'''‘데인 드한’과 ‘다니엘 래드클리프’의 환상적인 [[케미스트리]] 예고!''' [[2013년]] [[9월]]에 개봉한 존 크로키다스 감독의 영화. 한국에서는 2014년 [[10월]]에 개봉했다. [[앨런 긴즈버그]] 역의 [[다니엘 래드클리프]], 루시엔 카 역의 [[데인 드한]]이 출연한 [[1940년대]] [[미국]]의 [[비트 세대]]를 주제로 한 영화이다. == 시놉시스 == ||'''{{{+1 '의문의 밤', 이 날의 놀라운 비밀은 그들 모두를 천재 작가로 만들었다!}}}''' 컬럼비아 대학 신입생 앨런 긴즈버그는 학교에서 만난 잭 케루악, 윌리엄 버로우즈와 함께 '뉴 비전'이라는 새로운 문학 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 야심찬 청춘 작가들의 중심에는 매혹적인 뮤즈 루시엔 카가 있다. 하지만 의문의 밤, 루시엔에게 일어난 충격적 사건은 그들 모두의 삶을 바꿔버리는데... || == 예고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Yzz4LxrohQ)]}}}|| ||<#889aa8> '''{{{#fff 킬 유어 달링 (Kill Your Darling)}}} {{{#e5b9aa 메인예고편}}}''' || == 포스터 == ||<-3><#889aa8> '''{{{#fff 공식 포스터}}}''' || || [[파일:킬유어달링(1).jpg|width=100%]] || [[파일:킬유어달링(2).jpg|width=100%]] || [[파일:external/oneringtrailers.com/100161WPOGVKRA59.jpg|width=100%]] || || [[파일:킬유어달링(3).jpg|width=100%]] || [[파일:킬유어달링(4).jpg|width=100%]] || [[파일:킬유어달링(5).jpg|width=100%]] || ||<-3> [[파일:킬유어달링(7).jpg|width=100%]] ||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상을 수상한 시인 앨런 긴즈버그와 의 작가 잭 케루악, 의 작가 윌리엄 버로우즈 그리고 그들을 이어주는 [[뮤즈]] 루시엔 카 의 젊은 시절 이야기이다. 아마 이 영화가 나오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잭 케루악과 윌리엄 버로우즈가 공동 집필한 책 이 루시엔 카의 [[죽음]] 이후 출판된 데에 힌트를 얻어 영화화 한 것으로 보인다. 신입생인 앨런 긴즈버그가 [[기숙사]] 안에서 들리던 [[브람스]] [[음악]][* 심포니 3번 3악장.]을 따라 가 루시엔 카를 처음 만나는 것으로 둘의 첫 대화가 시작되는데 루시엔은 모든것이 '처음'인 그에게 자신의 친구들을 소개 시켜준다.[* 앨런 긴즈버그는 이후 이 때를 'Lu was the glue.'라고 표현한다. ~~라임인가~~] 끊임없이 처음이 주는 새로운 영감을 찾으려는 루시엔에게 매료된 앨런은 그를 위해 그 유명한 '하울(howl)'의 일부를 쓴다. 그런 아름다운 루시엔을 쫓아다니며 루시엔의 [[과제]] 글을 대신 써 주는 관리자(janitor)이자 교수 데이빗 캐머러는 루시엔을 잃게 될까 전전긍긍하며 [[스토커#s-1|그를 집요하게 따라다닌다.]] 하지만 데이빗 캐머러의 오랜 [[집착]]과 [[스토킹]]에 지친 루시엔은 [[어선]]을 타고 [[프랑스]]로 떠나려던 계획을 실패한 날 밤 자신을 쫓아온 데이빗을 칼로 찌르고 손발을 신발끈으로 묶은 후 주머니에 돌을 넣어 [[허드슨 강]]에 투기한다. 데이빗을 살해한 [[칼]]을 [[하수구]]에 버려준 잭과 [[변호사]]를 구하라고 조언한 윌리엄은 루시엔과 함께 [[경찰]]에 잡히나, [[보석금]]을 내고 풀려난다. 이후 앨렌은 루시엔으로 부터 본인을 위해 재판을 위한 성명서를 써달라는 부탁을 받고 루시엔과 데이빗의 [[과거]]에 대하여 알아보는 도중 여러 감정을 느끼게 된다. == 실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크린샷 2020-06-21 오후 4.06.07.png|width=100%]]}}}|| ||<#889aa8> '''{{{#fff 왼쪽부터 윌리엄 버로스, 루시엔 카, 앨런 긴즈버그}}}''' || 루시엔 카는 [[오븐]]에 머리를 박고 [[자살]] 시도를 했으나, 루시엔을 스토킹하던 데이빗 캐머러가 발견하고 [[병원]]에 입원시켰다. 하지만 이를 [[생명]]의 은인으로 간주하기는 어려운 것이 애초에 루시엔 카가 자살을 시도했던 이유 중에 데이빗 캐머러가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루시엔 카의 아들인 케일럽 카는 루시엔 카가 [[보이스카웃]] 칼로 데이빗 캐머러를 살해한 것에도 의미를 부여했는데, 과거 데이빗 캐머러가 루시엔 카가 있던 보이스카웃의 단장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루시엔 카가 11살이었을 때 데이빗 캐머러는 20대의 [[청년]]이었기 때문에, 데이빗 캐머러가 [[페도필리아]]라는 주장도 있었다. 실제로는 어선을 타려던 루시엔 카를 데이빗 캐머러가 찾아온 것이 아니라, 어선을 타는데 실패하고 [[술집]]에 있는 루시엔을 찾아간 것이다. 케일럽 카는 또한 영화의 흥행을 위해 자극적인 요소를 넣은 사실을 크게 비판하고 나선 바 있다. 영화 상에서 루시엔 카는 [[성 지향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앨런 긴즈버그와 [[친구]] 이상 [[연인]] 미만의 관계를 이어나가는데, 실제 루시엔 카는 확고한 [[이성애자]]였다는 것. 영화의 배경이 됐던 [[대학]] 시절 실제 루시엔 카에게는 [[여자친구]]가 있었으며, 이후 [[결혼]]도 하고 자식도 낳았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케일럽 카는 실제로 [[동성애자]]였던 앨런 긴즈버그와 데이빗 캐머러를 "대부분의 남자가 [[동성애]]적 심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비난했다. 루시엔 카가 11살 때 데이빗 캐머러는 20대의 청년이었고, 보이스카웃에서 데이빗 캐머러는 루시엔 카를 처음 만났다. 그 후로 데이빗 캐머러는 11살의 나이인 루시엔 카를 쫓아다니며 스토킹을 시작했고 루시엔 카의 어머니는 데이빗 캐머러를 피해 4번이나 [[이사]]를 갔지만 데이빗 캐머러는 [[직업]]을 버리면서까지 쫓아왔다. 루시엔 카가 잘 때는 집 안에 몰래 들어와 자는 모습을 지켜보았다고 한다. 영화에서 나온 데이빗 캐머러가 루시엔 카의 과제를 대신 해주는 장면 또한 거짓이다. 루시엔 카는 교수들과도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정도로 [[지식인]]이었고, 똑똑했다고 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루시엔 카의 성 지향성은 본인만 알 뿐이다. 하지만 데이빗 캐머러를 죽일 당시에는 여자친구가 있었다. 후에는 부인도 있었고, 자식도 있다. 살인이 일어난 당시 데이빗 캐머러는 루시엔 카의 여자친구와 어머니를 죽이겠다며 협박했고, [[강간]]까지 시도했다고 한다. 그래서 당시 신문들은 죽은 캐머러에 대해 "시체의 거시기가 서있었다." 라며 조롱을 하기도 했다. 사실 루시엔 카와 주변인들의 관계를 보자면 루시엔 카가 어장관리라기 보다는 주변 사람들의 일방적인 [[찬양]]이라고 표현하는게 맞는 것 같다. == 논란 == [include(틀:사건사고)] 루시엔 카는 살아 생전 친구가 자길 위해 쓴 헌정 시에도 자기 이름을 빼달라고 요구할 정도로 [[언론]]에 자기가 거론되는걸 좋아하지 않았다. 그런데 고인이 되자마자 10년도 안 되어서 이런 영화가 나온 것이다. '''루시엔 카의 아들은 영화를 만들지 말라고 감독에게 요구했지만 감독은 개무시하고 이 영화를 만들어냈다'''. 웃기게도 이 영화의 주제는 '''동성애 차별'''이다. 마지막 1분 정도 나오는 동성애 차별 법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이 영화를 만들어냈다. 스토킹의 피해자를 이렇게 표현하다니, 감독이 루시엔 카에게 개인적인 원한이 있는지 궁금할 정도이다. 참고로 그 법안은 "Honor slaying"을 말하는 것이다. Honor slaying의 법안의 주내용은 '내가 죽인 스토커가 동성애자일 때 내가 이성애자이면 자기방어로써 인정되어 합당한 감면을 받지만 동성애자이면 1급 살인으로 인정되어 처벌을 받는다.'이다. == 평가 == ||<-2> '''[[로튼 토마토|{{{#1ddb16 로튼 토마토}}}]]''' || || '''[[https://www.rottentomatoes.com/m/kill_your_darlings_2013|신선도 76%]]''' || '''[[https://www.rottentomatoes.com/m/kill_your_darlings_2013|관객 점수 60%]]''' || || '''[[IMDb|{{{#000000 IMDb}}}]]''' || || '''[[https://www.imdb.com/title/tt1311071/?ref_=fn_al_tt_1|평점 6.5/10]]''' || ||<-3> '''[[네이버 영화|{{{#fff 네이버 영화}}}]]''' ||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2004|기자, 평론가 평점[br]6.20/10]]'''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2004|관람객 평점[br]8.23/10]]'''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2004|네티즌 평점[br]8.30/10]]''' || == 기타 == * 제목 'Kill Your Darlings'는 글을 쓸 때 자주 사용되는 말로, 본인의 사적인 감정을 배제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당신의 사랑하는 사람을 죽여라'라는 직역도 가지고 있는 묘한 제목이다. * 두 주연 배우 [[다니엘 래드클리프]]와 [[데인 드한]]이 모두 다른 영화에서 [[해리#s-3.2|해리]] 역을 맡았던 적이 있다.[* 다니엘이야 더 말할 것도 없이 유명한 영화 '[[해리 포터]]'의 '해리' 역을, 데인 드한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주인공 친구/빌런인 '해리 오스본' 역을 맡았다.] * 데인 드한의 캐스팅 비화가 꽤나 재미있는데, 감독이 드한에게 다음주 일정을 묻자 'I don't know. You tell me.'[* '난 모릅니다. 당신이 알려주세요.'라고 말했다. 대략 '당신이 나를 캐스팅해서 내 다음주 일정을 만들어달라'는 의미로 볼 수 있겠다.]라고 대답했고, 데인 드한이 자리를 뜨자마자 다니엘과 감독이 [[이구동성]]으로 데인 드한을 캐스팅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 [[문학]]과 관련된 [[실화]]를 다룬 퀴어 영화라는 점에서 [[1995년]] 영화 [[토탈 이클립스]]와 비교되기도 한다. 실제 루시엔이 [[랭보]]의 팬이었고 영화에서도 랭보에 관한 언급이 몇 번 나오기도 한다. 토탈 이클립스에서 랭보 역을 맡았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데인 드한과 닮은 꼴로 유명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꽤나 흥미로운 점이다. 또한 해당 영화의 주연 배우 [[다니엘 래드클리프]]와 [[토탈 이클립스]]의 주연 배우 [[데이빗 듈리스]]는 모두 [[해리 포터 시리즈]] 영화에 출연한 바 있다.[* [[데이빗 듈리스]]는 [[리무스 루핀]] 역으로 출연.] 영화 대사에서도 랭보와 루시엔 카의 연결 고리가 여러 차례 등장하는데, [[할렘]]가에서 [[새벽]]에 나온 루시엔 카가 랭보의 시를 큰 소리로 읊는 장면이나 [[보트]] 위에서 잭 케루악과 앨런 긴즈버그에게 프랑스로 가자고 제안하는 장면, 가명으로 아르튀르 랭보의 이름을 대는 장면 등이 있다. * 킬 유어 달링에 나오는 배우들은 모두 전작들에서 [[슈퍼파워]]를 가진 배우들이었다. 다니엘 래드클리프는 [[해리포터]]에서 [[마법사]]로, 데인 드한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 [[그린 고블린]]으로[* 시기상으로 '킬 유어 달링'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보다 일찍 개봉했다.(북미기준)], 마이클 C홀은 [[덱스터]]에서 [[연쇄살인범]], [[잭 휴스턴]]은 하프 페이스 [[벤 포스터]]는 [[엑스맨]]의 [[엔젤(엑스맨 유니버스)|엔젤]]로 출연한 바 있다. --그리고 2년 뒤엔 [[엘리자베스 올슨|여 주인공]]이 [[완다 막시모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슈퍼파워를...]]-- 선댄스 필름 [[인터뷰]]에서 인터뷰어가 이들 중 싸운다면 과연 누가 이길 것 같냐고 질문했을 때 모두 "definitly a wizard"라 하며 해리포터를 지명했다. --재력으로 승부를 본 건가...-- * 데인 드한과 다니엘 래드클리프는 영화 인터뷰에서 본인들의 키스신이 2013년 최고의 키스신이라고 말한 바 있다. * 개봉 이후 [[유튜브]]에 영화에서 삭제된 비디오 클립이 풀렸다. 여기에는 잭 케루악이 [[경찰서]]에서 에디 파커와 결혼하는 장면, 루시엔 카가 갇힌 감옥에 앨런 긴즈버그가 찾아가 [[신문]]을 읽어주는 장면, 앨런 긴즈버그가 본인 [[룸메이트]]의 옷 벗는 모습을 지켜보는 장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생각하면 영화를 조금 더 짜임새 있게 느낄 수 있다. * 영화의 주인공인 앨런 긴즈버그의 말년은 다니엘 래드클리프보다 극 중 앨런의 아버지로 출연한 [[데이비드 크로스]]와 닮았다. * 다니엘 래드클리프는 이 영화 촬영장에서 [[에린 다크]]를 만나 커플이 되었고 아이를 출산했다. [[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퀴어 영화]][[분류:미국의 전기 영화]][[분류:201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