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n Edge.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위저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위저드]]/[[소서러(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소서러]] 3레벨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마법|주문]]. [[초능력(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초능력]] 판은 [[사이언(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사이언]]/[[와일더]]/[[사이킥 워리어]] 3레벨 초능력이다. 다만 둔기 쪽엔 Impact라고 하여 Spell Compendium에 추가된 둔기 전용 킨 엣지가 있다. ~~하지만 마이티 월롭 시리즈가 워낙 더 강해서~~ 무기의 날이나 촉 부분을 주문시전자 레벨당 10분간 더 예리하게 하여 [[치명타]] 확률을 높여 준다. 찌르고 베는 무기 한 자루나 발사체 50발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둔기]]에는 __날카로운__ 부분이 없으니 시전할 수 없고 생명체의 일부이기 때문인지 [[손톱]]이나 [[이빨]]처럼 찌르고 베는 자연 무기에도 시전할 수 없다. 치명타 확률을 높여 준다는 게 유용해 보이지만 직접 사용해 보면 참 [[계륵]] 같은 주문인데, 치명타 위협 범위를 늘려준다고 하지만 3판에서는 치명타 위협 범위를 때렸더라도 치명타 확정 굴림을 다시 굴려야 한다. 그래서 보기보다 성능이 퍽 낮은 주문이다. 확률적으로 계산해보면, 킨 엣지가 늘려주는 무기 강화의 수학적 보너스는 +1 마법 무기보다도 못하다. 3레벨 슬롯으로 이딴 주문을 준비하느니 다른 주문으로 강화하는 것이 낫다. 그렇다고 [[마법 물품]]의 기본 부가능력으로 부여하자니 이딴 썩은 성능을 끼우면 물건 가격만 쓸데없이 올라간다. 3판에서는 마법 물품의 부가능력 가격은 모든 부가능력과 강화를 통합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4 무기와 +5 무기는 가격이 천지차이다.[* gp 단위에서 +수치__의 2000배__가 아니라 +수치 __'''제곱'''의 2000배__로 계산한다.] 그러면 같은 효과를 내는 향상된 치명타 [[피트|재주]]를 찍는다면? 이건 BAB +8을 요구하는 엄청 고급 재주다. 이거 찍을 바에야 다른 거 찍는 것이 낫다. 이런 관계로 무시하자니 그렇고 찍어주자니 또 돈낭비하는 것 같은 찝찝한 주문. 참고로 이 두 개의 치명타 증가 효과는 중첩시킬 수 없다. 그래서 물약/기름으로 사용하게 되거나, 가끔 돈이 썩어나면 킨 엣지 칼집을 사서 쓴다. 근데 칼집은 또 1만 6천 gp라, 같은 가격인 능력치 +4 물품을 사는 게 좋다. 기름의 가격은 또 3레벨 마법이라고 750 gp나 하는데, 그보다 싼 물약/기름 중에서 이 녀석보다 효과가 좋은 게 또 널려서 애매하고, 제 돈 다 주고 산 칼집을 반값에 떨이한다고 쳐도 기름을 11번 이상 쓰느니 칼집을 사는 게 나아서 또 애매하다. 죽음의 원 주문과 조합해서 특유의 확률적 즉사 성능으로 유명한 [[보팔 무기]]를 만들 수 있긴 하지만 보팔 검으로 만들면 킨 엣지와 죽음의 원이 융합되면서 '''킨 엣지 성능은 사라져버리기 때문에''' 치명타 강화를 걸려면 킨 엣지를 '''한 번 더''' 걸어야 하는 데다 보팔 검도 사실 가격 대비 효율에 대해서는 그리 평가가 좋은 편은 아니라서 훨씬 싸고 효율도 좋은 [[모덴카이넨의 검|상처의 검(wounding sword)]]를 만들거나 사는 게 낫다. 킨 엣지를 그나마 잘 사용하려면, [[펄션]]이나 [[시미터]], [[레이피어]] 같은 위협범위 18-20짜리 무기에 발라서 15-20으로 만든 다음[* 사실 몬스터는 CR 10 중반 이전까지는 보통 맞출 수 있는 AC를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최적화가 적당한 파티에선 이 정도로도 충분하다]《''전쟁의 서 Tome of Battle''》 추가책의 호랑이 발톱 학파 태세 Blood in the Water를 찍어야 된다. 치명타를 가할 때마다 명중과 피해 굴림에 +1 보너스를 중첩시켜서 받기 때문에 쌍무기로 여러 번 치명타를 가하면 무시 못할 근접전 화력을 자랑한다. 일단 태세를 발동시키기만 하면 효과가 잠 자기 전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전용 직업이 아니더라도 재주 2개 정도의 가치는 충분히 있다(마셜 스터디 → 마셜 스탠스 피트). 또다른 방법으로 에버론의 9레벨 권역 주문인 Hero's Blade를 걸고 거기에 향상된 치명타 재주를 박아서 4배로 적용하는 것이다. 킨 엣지와 달리 특별히 중첩이 된다고 써 있는 예외. ToB가 허용되지 않는다면, 불타는 폭발(flaming burst)처럼 치명타에 의존하는 효과는 가격대 성능비가 워낙 좋지 않기에[* 기본이 되는 불타는(flaming)/서리(frost)/충격(shocking) 효과도 +1짜리 부가능력 치고 그닥 좋은 편은 아닌데, 그 위에 +1 강화가 더 붙어서 +2짜리 가격표가 붙는 주제에 치명타가 뜨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같은 +2 비용으로 신성한/부정한 무기로 만드는 게 낫다.] 그 돈으로 다른 전투/비전투 보조 장비를 사는 게 정신 건강에 더 좋다. 민첩 보너스에 사활을 거는 경장 전사나 로그라면 어떻게는 2차 피해 수단을 강구하게 되므로 한 번쯤은 주력으로 삼게 된다. 마침 치명 범위가 18-20으로 가장 큰 레이피어가 웨폰 피네스(weapon finesse)의 적용 대상이므로 마음 놓고 민첩에 투자할 수 있다. 쌍검 빌드여도 유용한 주문인데, 마찬가지로 치명 범위가 18-20인 시미터를 쌍검으로 들 시 막대한 보너스를 주는 더비시 상위직이 있기 때문. 물론, 쌍검 빌드는 피해량도 피해량이지만 애초에 안 맞는 것도 문제인지라 체감 효용이 그리 크지는 않다. 《''북 오브 바일 다크니스 Book of Vile Darkness''》 추가책이 만에 하나 허용된다면 [[디스페이터(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디스페이터]]의 사도(Disciple of Dispater) [[상위직]]으로 위협 범위를 극단적으로 늘릴 수 있다. 4레벨에 킨 엣지 효과를, 8레벨에는 킨 엣지 효과의 2배를 줘서 위협 범위가 3배로 늘어나고(18-20 → 12-20), 여기에 향상된 치명타 효과도 중첩된다고 명시했으니 위협 범위는 4배(9-20)가 된다. 물론 이런 능력이 있는 캐릭터는 플레이어보다는 악역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훨씬 높지만(...) [[분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