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대 이집트 관련 문서)] [[파일:게브투 이집트.jpg]] [[이집트 상형문자]]로 적힌 게브투 [[아랍어]]: {{{+1 قفط }}} [[콥트어]]: Ⲕⲉϥⲧ [[그리스어]]: Κόπτος [[영어]]: Qift == 개요 == [[이집트]] 중부 퀴나 주의 도시. [[퀴나]]에서 동남쪽으로 15km. [[쿠스]]에서 동북쪽으로 10km 떨어진 [[나일 강]] 동안에 위치한다. 현재는 인구 10만 이하의 소도시지만, 과거에는 상이집트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주변 동부 사막에 위치한 금과 규암 광산으로 향하는 거점이었고, 또 상이집트 최동단의 도시로써 홍해 연안 지역과 교류하며 번영하였다. 현재도 동쪽으로 140km 떨어진 쿠세이르 항과 와디 함마마트에 놓인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 역사 == [[파일:키프트 이집트.png]] 와디 함마마트와 키프트 (콥토스) [[고대 이집트]] 시기 게브투로 불렸고 행정, 상업, 종교의 중심지였다. 상이집트 제5 주인 하라위의 주도로써 쿠스 역시 그 관할이었다. 당시 타우와 샤쉬리트 (베레니케) 항구로 향하는 두 길의 시작점으로 상이집트와 홍해 연안을 이어주는 유일한 도시였다. 다시 두 항구를 통해 남부 아라비아, 동아프리카, 인도와 교역하였기에 게브투에는 동서의 물산이 집결했던 것이다. 또한 중왕국 시대부터 게브투는 북쪽의 [[아크밈]]과 함께 풍요의 신이자 동부 사막을 관장하는 밈 숭배의 중심지였다. 다만 점차 남쪽의 [[테베]]에 밀려 쇠퇴했다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들어 홍해 무역이 재차 중요해지며 부흥하였고, 콥토스 (Κόπτος)로 불리게 되었다. [[로마 제국]]에 들어 [[아우구스투스]]는 콥토스를 확장하였다. 그러다 2세기 들어 동쪽 블레미스 [[유목민]]들의 위협이 일자 제3 키레나이카 군단의 일부가 주둔하였다. 그러던 292년 주민들은 로마 지배에 반기를 들었고, 이에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보낸 토벌군은 긴 포위 끝에 콥토스를 함락하였다. 공방전 도중 기존 도시는 크게 파괴되었고, 이후 로마식 요새 도시로 재건되어 수비대가 배치되었다. 6세기 들어 콥토스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를 기리며 유스티니아노폴리스로 개칭되었다. [[이슬람 정복]] 후 현재의 키프트로 불리게 된 도시는 쿠스와 함께 상이집트의 중심지 중 하나였고,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후손들이 쉬아 계열 건물을 세우기도 하였다. 1176년 [[콥트 정교회]] 신자들이 [[살라흐 앗 딘]]의 부재를 틈타 반란을 일으켰으나 그의 동생 [[알 아딜]]은 3천의 콥트교도를 도시 주변 나무에 목메달며 강경 진압하였다. 다만 이후로도 일대의 수도원들은 건재하는 등 기독교 신앙 자체는 이어졌다. [[아이유브 왕조]]에 들어 키프트 출신의 카디 (법관)들이 대를 이어 최고법관에 오르며 명성을 떨치기도 하였고, 그들은 고향 지명을 따서 알 키프티로 불렸다. 13세기의 지리가 야쿠트 알 하마위는 키프트 일대의 과수원과 인도양 교역에 대해 저술하였다. 다만 [[맘루크 왕조]] 들어 기독교 탄압이 심화되며 상이집트는 전반적으로 쇠퇴하였다, 그리고 16세기 [[오스만 제국]]이 기존 시가지를 허물어버린 후 키프트는 완전히 쇠퇴하여 20세기 초엽 인구는 9천에 불과하였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시에는 맘루크 왕공 이브라힘 파샤를 추격하던 [[프랑스군]]이 도시 부근에서 맘루크 군을 격파하였다. 그후 19세기 후반 이집트학이 유행하며 프랑스의 고고학 탐사대가 조사를 벌이고 1913년에는 명목상의 주교구가 부활하는 등 서양과의 교류가 있었다. == 참고 == [include(틀:상이집트의 주요 도시)] [[분류:이집트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