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폐지된 열차]][[분류:JR 서일본]][[분류:1968년 출시]][[분류:2013년 폐지]] [include(틀:폐선)] [include(틀:일본의 침대열차)] [include(틀:JR 서일본의 우등열차)] ||<-2> {{{#ffffff {{{+1 きたぐに}}}[br]Kitaguni / 키타구니}}}[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62e3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운행종료)] || ||<-2> [[파일:키타구니 로고.jpg|width=100%]] || ||<-2> '''열차 정보''' || || '''운행 지역''' || [[간사이]], [[호쿠리쿠]] || || '''열차 종류''' || [[급행|급행열차]], [[침대열차]] || || '''기점''' || [[오사카역]] || || '''종점''' || [[니가타역]] || || '''정차역 수''' || 니가타행 26역, 오사카행 22역 || || '''운행개시일''' || 1968년 10월 1일 || || '''운행종료일''' || 2013년 1월 7일 || || '''운영기관''' || [[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width=220]][br]{{{#0072bc JR 서일본}}}]] || || '''사용 차량''' || [[583계 전동차]] || ||<-2> '''노선 제원''' || || '''최장운행거리''' || 256.5km || || '''궤간''' || 1067mm || || '''전력 공급''' || 직류1,500V(오사카~츠루가, 이토이가와~니가타)[br]교류20,000V 60 Hz(츠루가~이토이가와) || || '''최고 속도''' || 110km/h || ||<:>[youtube(rEYjy08ajO8)]|| ||<:>{{{#ffffff 오사카→니가타 구간 측면 주행 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키타구니 583계.jpg]] [[JR 서일본]]이 운영했던 침대급행열차로, 오사카역과 니가타역을 이었다. == 역사 == * 1947년 오사카-아오모리를 잇던 급행 507.508 열차가 전신이다. 이후 이 열차는 [[니혼카이]]라는 명칭을 부여받는다. * 1961년 10월, 침대특급 니혼카이가 개업함에 따라 침대급행 니혼카이는 "키타쿠니"로 변경한다. 모든 열차는 [[세이칸 연락선]]과 접속되었다. * 1982년 [[조에츠 신칸센]]의 개업으로 인해 간사이쪽 여객 수요가 줄어들고, 결국 당시 주간으로 운행하던 구간인 니가타-아오모리를 분리하여 오사카-니가타간 심야급행으로 운행하게 된다. * [[2012년]] 3월 임시열차로 번경되었다. * [[2013년]] 1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 특징 == * 오사카행 열차는 22시 55분에 [[니가타역]]에서 출발하여 06시 49분에 오사카에 도착, 니가타행 열차는 23시 27분에 오사카를 출발하여 08시 10분에 [[니츠역]]에서 종착한다. 이후 니가타역까진 쾌속 등급으로 운행한다. * 키타구니의 주요 정차역으로는 [[신오사카역]], [[교토역]], [[마이바라역]], [[츠루가역]], [[후쿠이역(후쿠이)|후쿠이역]], [[카나자와역]], [[도야마역]], [[나오에츠역]], [[나가오카역]] 등이 있었다. * [[코세이선]]이 1974년에 개업했음에도, 이 열차는 정기운행이 종료될 때 까지도 [[비와코선]]을 경유했다. [[라이쵸(열차)|라이쵸]]가 일찌감찌 코세이선 경유로 바꾼것과는 대조된다. * 차량은 정말 악명이 자자했던(...) [[583계 전동차]]가 투입되었다. * 열차는 침대석 외에도 그린샤와 일반석도 있어 상당히 나쁘지 않았으나, 야간 고속버스의 발달로 인해 승객수가 점점 감소하였고, 설상가상으로 운행하던 차량의 노후화까지 겹쳐 운행을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