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신 타이거스/간략(코칭스태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yoSports_2404515_2222_1.jpg|width=100%]]}}} || ||<-2> '''한신 타이거스 No.91''' || ||<-2> '''{{{#ffffff {{{+2 키타가와 히로토시}}}[br]北川博敏 / Hirotoshi Kitagawa}}}''' || || '''생년월일''' ||[[1972년]] [[5월 27일]] ([age(1972-05-2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효고현]] [[이타미시]] || || '''포지션''' ||[[포수]], [[1루수]], [[3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학력''' ||[[사이타마현]]립 오미야히가시 고교 - [[니혼대학]] || || '''프로입단''' ||1994년 드래프트 2위 역지명 || || '''소속팀''' ||[[한신 타이거스]] (1995~2000) [br]'''[[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2001~2004)''' [br]'''[[오릭스 버팔로즈]] (2005~2012)''' || || '''지도자''' ||[[오릭스 버팔로즈]] 타격코치 (2013~2014, 2016)[* 2013~2014년은 2군, 2016년은 1군 타격코치를 역임했다.] [br][[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군 타격코치 (2017~2019) [br][[한신 타이거스]] 2군 타격코치 (2020, 2023~) [br][[한신 타이거스]] 1군 타격코치 (2021~2022) || || '''응원가''' ||한신시절 CD판[* '''燃えろタイガー 吠えろタイガー 目指せ日本の新男児 北川博敏 (타올라라 타이거 울부짖어라 타이거 노려라 일본의 신남아 키타가와 히로토시)'''] [[https://www.youtube.com/watch?v=P8_3zUL9mUg|킨테츠-오릭스 시절]] [* (~2001) '''狙いを定めて飛ばせ 気合の一打 快音響かせ 白球飛ばせ高く(정확하게 겨냥해서 날려라 기합의 타격 쾌음을 울리며 공을 날려라 저 높이 '''][* (2002~2012) '''奇跡を呼び込む男 笑顔で決めろ 快音響かせ 白球飛ばせ高く([[키타가와 히로토시#s-4.1|기적]]을 불러일으키는 남자 웃는 얼굴로 결정지어라 쾌음을 울리며 공을 날려라 저 높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20세기말 ~ 21세기초 간사이 3팀에서 뛰었던 전직 야구선수이자 현 야구코치. 2023년엔 [[한신 타이거스]] 2군 타격코치를 맡고 있다. 킨테츠의 마지막 리그 우승을 자신의 손으로 완성시킨 '''리그 우승을 결정짓는 대타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의 주인공. == 프로 입단 전 == 본래 효고현 이타미시 출신이었으나, 소학교 졸업 때 쯤 가족이 [[사이타마현]]으로 이사를 가면서[* 본래 키타가와의 부친만 [[기러기 아빠]]로 단신 부임할 예정이었으나, 키타가와 히로토시는 이를 싫어했다고 한다.], 중1때부턴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오오미야시]][* 오오미야+우라와+요노 3개시가 당시엔 다 따로 있었다. 셋이 [[사이타마시]]로 통합된 건 2001년이다.]에서 자라게 되었다. 오미야히가시 고교로 진학하여 3학년 때는 포수 및 주장을 맡아 팀을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하계 고시엔 대회]]로 이끄는 등 맹활약했다. 그러나 프로 지명을 못 받고 [[니혼대학]]으로 진학해 주전 포수로 활약한 후, 4년이 지나 1994년 [[한신 타이거스]]에 역지명으로 입단했다. 입단 당시 포지션은 포수였으며, 대학 선배로 [[와다 유타카]]가 2루수 주전으로 있었다. == 한신 타이거스 시절 == 그러나 당시 한신 타이거스는 [[4466566664]]로 대표되는 암흑기 시즌이었고, 키타가와 역시 헤메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세키카와 코이치]], [[키도 카츠히코]], 야마다 카츠히코 등이 자리를 일찌감치 잡았고, 자신보다 2살 어리지만 고졸로 프로 입단한 [[시오타니 가즈히코]]도 당시 한신에서 [[2군 본즈]] 놀이를 하고 있었다. 포수 자리는 1997 시즌 후 [[야노 아키히로]]가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넘어와서 그대로 주전을 차지하였고, 키타가와와 시오타니는 둘 다 수비 포지션을 변경하게 되었다. 그러나 둘 모두 [[2군 본즈|2군에서는 날아다녔지만]] 정작 1군에 오면 존재감이 없다시피했다(...). 당시 한신 타이거스는 그런 만년 유망주들의 성장을 기다려 줄 여유가 없었고[* 그래도 이 와중에 [[이마오카 마코토]] 같은 중장거리 타자가 포텐을 터뜨리는 일도 있었다.], 결국 2000년 시즌 종료 후 키타가와는 킨테츠로, 이듬해인 2001년 시즌 종료 후 시오타니는 오릭스로 각각 트레이드되었다. ==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시절 == 2001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로 간 키타가와는 준주전급 멤버로 가능성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사실 2군 생활을 할 때부터 2군 감독이던 [[나시다 마사타카]]가 키타가와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프런트에 트레이드 요청을 했다고 한다. 스스로도 이렇게 연습한 적이 없었다고 말할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연습했고, 이는 아래의 명장면으로 돌아왔다. 사실 이 시즌 그의 성적은 .270, 6홈런, 35타점으로 보잘 것 없이 보이긴 하나, '''밑의 끝내기 만루홈런 한방으로 키타가와의 야구인생이 크게 바뀌게 된다.''' 킨테츠에서의 커리어 하이는 2003시즌으로 .309 13홈런 59타점을 기록했다. 2004년에는 .303에 20홈런 88타점으로 팀내 최다타점을 기록했지만 그 해 시즌을 끝으로 오릭스와 킨테츠의 합병이 이뤄졌고,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에서 오릭스 소속으로 분류되면서 그의 킨테츠 커리어는 구단과 함께 끝이 났다. 오릭스에서 과거 한신 2군 생활을 함께 하던 [[시오타니 가즈히코]], 그리고 하술할 사건의 허용투수인 오오쿠보 마사노부와 재회한 건 덤. 하지만 시오타니는 2005년 시즌 이후 부진으로 방출되고 [[SK 와이번스]]로 이적했으나 부상을 당해 짧은 한국 생활을 청산하게 된다. === 2001년 9월 26일, 리그 우승을 결정짓는 대타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 === || [youtube(A32Eb8pkcx8)] || || 2001년 9월 26일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 vs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교세라 돔 오사카]] 시즌 최종전. [br] 키타가와 히로토시의 끝내기는 9분 2초부터. || 이 경기는 2010년 [[일본야구기구]]에서 선수와 코치를 상대로 조사한 '최고의 시합과 명승부 명장면' 종합 2위로 선정되었다. 키타가와, [[후루쿠보 켄지]], 오쿠보 마사노부 모두 이 시합에 투표했다고 한다. == 오릭스 버팔로즈 시절 == ||[[파일:키타가와 히로토시 오릭스시절.jpg]] || || 오릭스 버팔로즈 시절 ~~[[이범호]] 닮았다~~ ||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를 통해 오릭스로 옮긴 키타가와는 오릭스에서도 나름 주전과 준주전을 오가며 활약했고,[* 2005년엔 '''오릭스 버팔로즈''' 구단 첫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2007년엔 144경기 전 경기 출전하기도 했다.] 2012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은퇴 전인 2011 시즌엔 [[이승엽]]과 같이 나오기도 했고, 2012년엔 [[이대호]]와 같이 나온 적도 있었다. 2012년 10월 7일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전을 마지막으로 유니폼을 벗었다. 통산 18시즌을 뛰면서 1264경기, 타율 .276 / 출루율 .337 / 장타율 .419 / OPS .756, 4350타석, 3902타수, 464득점, 1076안타, 102홈런, 536타점을 기록했다. == 현역 은퇴 후 == 2013~2014 시즌엔 오릭스 2군 타격코치로, 2016시즌엔 오릭스 1군 타격코치로 재직했으나, 정작 오릭스는 2014시즌 빼고는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2015년엔 잠시 해설자 생활을 하기도 했다. 2017년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군 타격코치로 부임하였으며, 2017년 드래프트로 입단한 '''[[무라카미 무네타카]]'''를 2018년 단 한 시즌만에 키워내서 2019시즌 스왈로즈의 주전급으로 만드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019년을 마지막으로 키타가와는 야쿠르트를 퇴단, 2020시즌에 자신의 데뷔팀 [[한신 타이거스]]의 2군 타격코치로 돌아왔다. 2021년부턴 [[아라이 료타]]와 같이 1군 타격코치를 맡았다. 1군에서 [[오오야마 유스케]], [[치카모토 코지]], [[사토 테루아키]] 등 여러 젊은 타자들의 1군 안착을 도왔지만, 정작 팀 타율은 그렇게 좋지 못했다.[* 2022년 팀 타율이 .243으로, 6개 구단 중 5위였다. 팀 타율 최하위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와는 겨우 0.001 차이였다.] 2023년엔 [[오카다 아키노부]] 신임 감독한테 등번호 80번을 양보하고 2군 타격코치로 이동했다. == 기타 == 얼굴상도 그렇고, 상당히 잘 웃는 얼굴으로도 유명했다고 한다. [[분류:이타미시 출신 인물]][[분류:한신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은퇴, 이적]][[분류:오릭스 버팔로즈/은퇴, 이적]][[분류:니혼대학 출신]][[분류:1972년 출생]][[분류:1995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