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키시 세이지}}}'''[br]岸 誠二 | Seiji Kish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030497_4c4ab3399b193.jpg|width=100%]]}}} || || '''본명''' ||'''키시 세이지[br]{{{-1 ([ruby(岸, ruby=きし)] [ruby(誠二, ruby=せいじ)], Seiji Kishi)}}}''' || ||<|2> '''출생''' ||불명 || ||[[일본]] [[시가현]] [[타카시마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소속''' ||Team TillDawn || || '''직업'''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 || '''활동 시기''' ||[[1993년]] ~ 현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Team TillDawn' 소속.[[https://www.edgeware.co.jp/works_t.html|#]] 제작사 [[Lerche]]와 인연이 많으며, 이 때문에 Lerche 전속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하다. == 생애 및 경력 == 어릴때부터 영화나 만화를 좋아했다고 한다. 초2때 그림을 그려 여러 상을 탔으며 이때부터 애니메이션 감독이 되기로 마음을 먹었다.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을 졸업하고 애니메이터가 되었다. == 특징 == === 연출/감독 특징 === [[오시이 마모루]]의 광팬으로 [[시끌별 녀석들(1981년 애니메이션)|시끌별 녀석들 (1981)]], [[기동경찰 패트레이버]]를 비디오가 끊어질 때까지 봤다고 하며 자신의 작품의 연출은 오시이 마모루의 영향이 크다고 한다. [[https://www.b-ch.com/contents/feat_anitsubo/backnumber/vol_1/p01.html|#]] 코미디 연출이 특히 오시이 마모루 스타일이며 [* 오시이 마모루는 한국에선 진지한 작품으로 유명하나 [[타임보칸 시리즈]], [[시끌별 녀석들]] 같은 코미디 연출로도 유명한 감독이다.] [[소바]]를 먹는 장면을 넣거나 유리창을 박살내는 등 오시이에 대한 오마주가 많다. 고용 감독 이미지가 강해서 여기저기 다양하게 연출을 하는데 부감독에게 연출을 많이 맡기는 경우가 있어 부감독에 따라 연출이 바뀌는 경우가 있고 작품마다 기복이 심하다. 그래도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관록의 연출자. 원작이 있는 작품을 맡을 경우엔 특히 기복이 심하다. [[세토의 신부/애니메이션|세토의 신부]]나 [[암살교실]]처럼 오히려 원작초월이라는 평을 듣기도 하고,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시리즈]], [[단간론파 3 -The End of 키보가미네 학원-]]처럼 혹평을 받기도 한다.[* 실지주 팬들은 [[하시모토 히로유키]]와 함께 이 감독을 정말 싫어하는데 1기는 과도한 재해석으로, 2기는 [[작화 붕괴]]가 연이어 발생해서 욕을 먹는다. 왜 다른 건 잘 하면서 실지주 시리즈만 이렇게 망치냐는 소리까지 나올 지경. 다만 [[호리키타 스즈네]]를 좋아하는 성향을 시나리오를 바꿔서까지 드러낸 하시모토보다는 조금 나은 편이다.] 극단적으로 설명하자면 호불호가 갈리는 작품이 거의 없다. 잘 만들어진 작품은 대부분의 사람이 호평을 줄 정도로 훌륭한 애니인데 못 만들어진 작품들은 호평하는 사람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혹평한다. 즉, 감독을 맡은 대부분의 애니가 수작이거나 망작 둘 중 하나로, 오히려 평작이 적다.~~호불호가 안 갈린다면 안갈리는 게 특징~~ 저 수작에서 망작 둘 중 어느 장르가 많냐 하면 그건 또 없는 것이 신기한 점. 코미디와 개그 장르부터 다크하고 진지한 장르까지 모두 무난하게 연출해내는 감독이다. 전자의 사례로는 [[카니발 판타즘]], [[인류는 쇠퇴했습니다/애니메이션|인류는 쇠퇴했습니다]], [[즐겁게 놀아보세/애니메이션|즐겁게 놀아보세]], 세토의 신부 등이 있고, 후자로는 [[페르소나 4 the ANIMATION]],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등이 있다. === 영상미 === 영상미가 독특하면서도 화려한게 특징이다. 특히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에서 두드러지는데 색감이 파스텔 톤이면서 기괴한게 [[샤프트]]를 떠오르게 한다. 다만 근본적인 스타일에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1기)|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1기]]나 [[Angel Beats!]]처럼 깔끔하고, 미려한 연출도 종종 보여주는 편이다. == 인맥 == 같은 사람을 계속 기용하는 타입이다. [[세토의 신부/애니메이션|세토의 신부]] 시절부터 각본에 미츠이 히데키와 [[우에즈 마코토]], [[카키하라 유코]]를, 연출에 [[아사이 요시유키]][* 2015년 [[Charlotte]]로 감독 데뷔.], [[후쿠오카 다이키]], 음향감독에 이이다 사토키, 캐릭터 디자인은 [[모리타 카즈아키]]가 전담으로 기용하고 있다. 가끔 달라질때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오리지널 프로젝트를 담당할때는 반드시 기용된다. 제자는 마츠모토 타케히코(松本剛彦), [[키노메 유우]]가 있다. == 작품 == [[모리타 카즈아키]]가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작품은 ☆. === 총감독 === * [[하마토라]](2014) - (총감독) * [[페르소나 4 the Golden ANIMATION]](2014) - (총감독) * [[단간론파 3 -The End of 키보가미네 학원-]](2016) - (총감독) ☆[* 이 작품에서 모리타는 절망편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미래편은 아미사키 료코(アミサキリョウコ).]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와시오 스미의 장/용사의 장]](2017) - (총감독) *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2기)|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2nd Season]](2022) - 총감독[* [[하시모토 히로유키]]와 공동감독.] ☆ *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3기)|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3rd Season]](2024) - 총감독[* [[하시모토 히로유키]]와 공동감독.] ☆ === 감독 === * [[마법신화 라그나로크]](2004) * [[갤럭시 엔젤룬]](2006) * [[매직걸|그녀는 매직걸]](2006) * [[세토의 신부/애니메이션|세토의 신부]](2007) ☆ - 26화가 야심작이라고 한다. [[https://www.b-ch.com/contents/feat_creators_selection/backnumber/v01/p02.html|#]] * [[천체전사 선레드]](2009) ☆ * [[Angel Beats!]](2010) * [[신의 인형]](2011) * [[카니발 판타즘]](2011) ☆ * [[페르소나 4 the ANIMATION]](2011) ☆ * [[인류는 쇠퇴했습니다/애니메이션|인류는 쇠퇴했습니다]](2012) * [[데빌 서바이버 2]](2013) * [[단간론파 -희망의 학교와 절망의 고교생- The Animation]](2013) ☆ *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2013) ☆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애니메이션 1기)|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2014) * [[암살교실/애니메이션|암살교실]](2015) ☆ * [[란포 기담 Game of Laplace]](2015) ☆ * [[암살교실]] 2기(2016) * [[달이 아름답다]](2017) ☆ *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1기)|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2017)[* [[하시모토 히로유키]]와 공동감독.] ☆ * [[즐겁게 놀아보세/애니메이션|즐겁게 놀아보세]](2018) * [[라디앙]](2018) * [[겐간 아슈라]](2019) ☆ * [[Fate/Grand Carnival]](2021) ☆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대만개의 장]](2021) * [[푸른 오케스트라(애니메이션 1기)|푸른 오케스트라]](2023) ☆ * [[겐간 아슈라(애니메이션 2기)]](2023) ☆ == 기타 == * 영화를 동경하고 있어 영화를 만드는 것을 본인의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소재가 있으면 실사, CG 등 애니메이션 이외의 일도 받는다고 한다. * 2019년 [[겐간 아슈라]]를 감독하면서 "강한 자의 마음을 이해하려면 나 자신이 강해져야 한다." 라는 생각으로 [[헬스]]를 시작해 2년 만에 전신 근육의 근육남으로 거듭났다. [[https://twitter.com/kishiseiji/status/1381528617553850368|#]]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1993년 데뷔]][[분류:타카시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