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 {{{+1 '''키부 분쟁'''}}}[br]Guerre du Kivu[br]'''Kibu Conflict'''}}} || ||<-4> [[제2차 콩고 전쟁]]의 여파 중 일부 || ||<-4> {{{#fff '''기간'''}}} || ||<-4> [[2004년]] [[6월 2일]]~'''진행 중'''[br]('''[dday(2004-06-02)]일째''') || ||<-4> {{{#fff '''장소'''}}} || ||<-4> [[콩고민주공화국]] [[키부]] 및 인근 지역[* [[이투리주]], [[마니에마주]], [[탕가니카주]] 등 콩고민주공화국의 주와 [[르완다]], [[부룬디]] 등 주변 국가] || ||<-4> {{{#fff '''교전국 및 교전세력'''}}} || ||<^|1>'''[[3월 23일 운동]]'''[br][[인민수호국민회의]] ---- 지원국: [include(틀:국기, 국명=르완다)] [include(틀:국기, 국명=부룬디)] ||<^|1>'''[include(틀:국기, 국명=콩고민주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군]] [[르완다해방민주군]](2006년~2014년)[br][[파일:UN기.svg|width=23]] [[UN|MONUSCO]][br][[콩고자유주권애국동맹]](2012년~2013년)[br][[파일:앙골라 국기.svg|width=23]] [[앙골라]][br][[파일:짐바브웨 국기.svg|width=23]] [[짐바브웨]][br][[파일:보츠와나 국기.svg|width=23]] [[보츠와나]] ---- 지원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프랑스]][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벨기에]] ||<^|1>[[르완다해방민주군]](2014년~)[br][[콩고자유주권애국동맹]](2013년~2016년)[br][[민족해방군|FNL-은자밤페마]](2013년~)[br][[민족해방군|FNL-팔리페후투]](1993년~2009년, 2010년~2013년)[br][[부룬디 인민군]] ||<^|1>[[신은두마콩고방위군]](2014년~)[br][[은두마콩고방위권]](2008년~2017년)[br][[콩고주권국민연합]](2017년~)[br][[라이아 무톰보키]] ---- [[파일:연합민주군기.svg|width=23]] [[ADF]][br][[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23]][[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CAP]][br][[마이마이 키얀데카]]|| ||<-4> {{{#fff '''지휘관'''}}} || ||<^|1>||<^|1>||<^|1>||<^|1>|| ||<-4> {{{#fff '''병력'''}}} || ||<^|1>인민수호국민회의: 6,000~8,000명[br]3월 23일 운동: 5,500명 이상||<^|1>'''2004년'''[br]콩고민주공화국군: 14,000명[br]마이마이 군부: 4,000~5,000명 ---- '''2008년'''[br]콩고민주공화국군: 6,000~7,000명[br]마이마이 군부: 3,500명 ---- '''2013년'''[br]UN군: 22,016명 ||<^|1>르완다해방민주군: 2,000명[br]콩고자유주권애국동맹: 1,500명[br]민족해방군: 3,000명||<^|1>신은두마콩고방위군: 1,000~1,250명[br]기타 무장세력: 10,000명 이상|| ||<-4> {{{#fff '''피해'''}}} || ||<^|1>인민수호국민회의: 233명 사망||<^|1>콩고민주공화국군: 71명 사망[br][[보츠와나군]]: 불명[br]UN군: 17명 이상 사망||<^|1>불명||<^|1>불명|| [목차] [clearfix] == 개요 == [[콩고민주공화국]]의 [[북키부주]]와 [[남키부주]]를 비롯한 주변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로 [[제2차 콩고 전쟁]] 종료 직후부터 발생했다. == 배경 == == 상세 == [[분류:2000년대 사건사고]][[분류:2010년대 사건사고]][[분류:2020년대 사건사고]][[분류:콩고민주공화국의 역사]][[분류: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