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top2=키메라테크)]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디자인은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의 강화형.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역시 등짝에 달린 날개. == 설명 == [[파일:キメラテック・メガフリート・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일어판명칭=キメラテック・メガフリー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Chimeratech Megafleet Drag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0, 수비력=0, 종족=기계족, 소재="사이버 드래곤" 몬스터 +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자신 / 상대 필드의 상기 카드를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융합"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카드는 융합 소재로 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 × 1200이 된다.)] 원본인 키메라테크 포트리스와 달리 최대로 올릴 수 있는 공격력은 "[[사이버 드래곤]]"과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몬스터 2장을 소재로 정규 소환했을 때 3600으로, 원본이 낼 수 있는 이론상 최대 공격력인 13000[* 장착 카드가 된 [[사이버 드래곤]] 1장 +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기계족 몬스터 2장 + 기계족 몬스터 10장을 소재로 했을 경우]의 27% 정도가 된다. 실질 어드밴티지를 버리면서 저만큼 포트리스의 공격력을 올릴 일은 없으므로 참고 정도로만 알면 좋다. 소재로 '사이버 드래곤' 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이기 때문에 원본 이외의 파생형도 쓸 수 있다.[* 때문에 상대에게 소환에 체인을 걸어서 파괴할 수 있는 카드들이 존재하는 상황에도 하급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들을 필드에 세트한 후에 상대 엑스트라 존 몬스터를 메가프리트로 잡아먹는 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점을 이용해서 상대가 [[사이버 드래곤 노바]] + 다른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몬스터로 날빌을 세운다면 패 0장 소모로도 이 카드를 불러낼 수 있다. 그리고 포트리스와 다른 점은 '''엑스트라 몬스터 존''' 한정이긴 하지만[* 소재 지정과 같은 맥락으로, 엑스트라 존 외부의 몬스터, 즉 메인 몬스터 존의 몬스터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그래서 신 마스터 룰 이후의 룰이 아닌 룰로 듀얼할 경우에는 소환이 불가능하다.], '''기계족이 아닌 몬스터도 잡아먹을 수 있다.''' 즉 [[파이어월 드래곤]]이나 [[코드 토커]] 시리즈 같은 링크 몬스터는 물론, 상대가 엑스트라 링크로 엑스트라 몬스터 존 2곳을 독점했다고 치더라도 이 카드로 잡아먹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고, 상대방의 링크 마커 방향을 방해하는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사이버 드래곤]] 카드군이 융합 소재로 들어가기 때문에 [[툰 사이버 드래곤]]을 사용하는 툰 덱에서도 채용할 수 있다. 같은 용도로, [[툰 목차]]를 우겨넣는 부스팅 덱에서 툰 사이버 드래곤을 마지막에 서치하고 이 카드를 뽑는 활용법도 있다. 이 방법은 마법 카드를 묘지 자원으로 쓰는 [[섬도희]]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사이버 드래곤이 기계족 안티 카드에서 엑스트라 몬스터 존 안티 카드라는 의의가 추가되었다. 포트리스처럼 등장하자마자 동시에 사이버 드래곤 덱의 안티 카드이기도 한 특이한 카드. 다만 원본과 마찬가지로 "사이버 드래곤"과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몬스터 1장(최대 2장) 이상을 '''묘지로 보냈을 때'''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엑시즈 소재로 쓰는 게 아닌 이상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귀환하는 펜듈럼 몬스터를 소재로 삼을 수는 없다는 것은 그대로이다. 거기에 포트리스가 그랬던 것처럼 여전히 계륵 기질이 보이는데, 이 녀석도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소환해야 하는데다가 융합 소재로 사용 불가능이라는 효과 외 텍스트 또한 건재하기 때문에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들어앉은 이 녀석을 처분하기가 까다로웠었다. 때문에 상대 몬스터를 먹고 소환해놓고선 내가 다른 행동을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었기 때문. 이후 전용 링크 몬스터인 [[사이버 드래곤 지거]]가 나오면서 더 활용법은 많아졌다. 일단 마스터 룰 2020 이후로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는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때 메인 몬스터 존에 소환할 수 있게 되어 버프와 너프를 동시에 받았다. 포트리스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펜듈럼 몬스터를 소재로 할 수 없다는 약점은 변함없다. 그래도 마냥 손해는 아닌 게 강력한 범용 링크 몬스터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자신 필드에 링크 몬스터가 없어도, 일반 필드에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소환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전처럼 하단 마커 준비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 1장 정도는 필카까진 아니여도 채용을 긍정적으로 고려해 볼 만 하다. 한국어 번역명이 기존에 유저들 사이에서 통용되던 '''메가플릿'''도, 표준 표기법을 지킨 '''메가플리트'''도 아닌 일본어를 그대로 읽은 듯한 '''메가프리트'''로 나와서 뭔가 미묘하다는 반응이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사이버 드래곤 전용 시크릿 팩인 '''백은의 기계룡''' 팩의 UR로 지정되었으며, 사이버 드래곤 유저들에게 있어 엑스트라 몹 존을 주로 이용하는 상대에게 크게 물을 먹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사이버 드래곤 덱은 [[@이그니스터]], [[섬도희]] 덱에게 있어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그니스터는 최종 전개 결과물이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단 하나라서 사이버 드래곤 시리즈 아무거나 하나만 꺼내들어도 신의 심판 같은 카드로 소환 자체를 무효화시키지 못하는 이상 바로 [[https://youtu.be/GKSKKMC9IIY?t=169|아무런 체인 없이 묘지로 가버리고]], 섬도희는 결정적으로 메가프리트의 타겟 대상인 엑스트라 몹 존에만 몬스터가 있어야 섬도희 특유의 마법 카드들로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Legendary Dragon Decks || LEDD-ENB00 || [[울트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레어리티 컬렉션]] || RC02-KR002 ||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한국 || ||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