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로]][[분류:도로 시설]] [include(틀:도로교통시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누비다클린로드1.jpg|width=100%]][[파일:누비다클린로드2.jpg|width=100%]]}}} || || {{{#FFD700 ''' 클린로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1 [[클린로드]] / Clean Road}}} [[클린로드]]는 도로 노면에서 발생되는 타이어 분진과 먼지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먼지나 노면온도 등을 센서로 감지하여 분사 노즐을 통해 재이용수를 도로면에 흘려보내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도로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여름철 도심 [[열섬 현상]]을 줄이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 [[2020년]] 들어 일부 광역시급 도시에서 시행 중이다. == 시스템 ==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8a/77/4a/f59952d9fac34a/KR100933570B1.pdf |클린로드 발명 특허 공보]] [[클린로드]]시스템은 우수나 지하로 유입되는 오수 및 각종 용수를 받아들여 이 물을 필터링을 통해 정화하는 우수관거; 이 우수관거에 연결되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류조와, 이 저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장치; 상기 저류조의 상태와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펌핑장치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상기 펌핑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배관; 및 이 배관에 연결되어 도로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 병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린로드]]시스템에 의해 지하로 버려지는 물을 정화하여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자원관리가 가능해지고, 지하로 유입되는 각종 물을 정화 및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도로표지 병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 제거와 대기를 정화할 수 있고, 노면의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도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 효과 == *도로 물청소를 통해 대기 중 [[미세먼지]]를 감소 *도로의 [[미세먼지]] 제거를 통한 도로환경 개선과 봄철 [[황사]]현상 개선 *도로부의 공극의 밀폐화를 감소하여 도로수명 증대 *도로의 중앙선에 노즐을 설치하여 물을 분사시키고 경사면을 따라 측면의 하수관으로 배출 *차량의 소통이 많지 않은 시간에 제어반에서 자동으로 운영 *빗물 재이용수를 사용하므로 유지 관리 비용이 저렴 *통행차량에 의해 설치구간보다 넓은 구간의 청소 효과가 발생(30%) *여름에는 도심 [[열섬 현상]]을 줄이는 부가적인 효과 발생 == 설치 지역 == === [[서울특별시]] === *[[세종대로]] 340m 135개[* 최초 시행도로][* 세계 최초] *[[공항대로]] 280m 143개 *[[양천로]] 156m 53개 *[[원효로]] 255m 86개 *[[종로]] 168m 60개 *[[천호대로]] 150m 102개 === [[대구광역시]][* 국내에서 가장 더운 지역답게 잘 활용하고 있다] === *[[달구벌대로]] 1.9km *염색공단천로 500m *[[용산로]] 1.8km *명천로 1.1km === [[광주광역시]] === *[[금남로]]~[[국립아시아문화전당]] 520m *[[광주송정역]]~[[상무대로]] 3.5km [* 단일 구간으로 전국에서 가장 길다] === [[경기도]] === ==== [[고양시]] ==== *[[화정로]] 200m ==== [[의왕시]] ==== *[[부곡IC]] 1.3km === [[경상남도]] === ==== [[창원시]] ==== *봉암공단사거리 500m [* 경남에서는 최초이다] === [[경상북도]] === ==== [[포항시]] ==== *철강관리공단 삼거리 1.2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