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상급 일반 / 펜듈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클리포트(유희왕))] [목차] == 설명 == [[파일:クリフォート・ツ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펜듈럼=, 한글판명칭=클리포트 툴, 일어판명칭=クリフォート・ツール, 영어판명칭=Qliphort Scout, 속성=땅, 레벨=5, 공격력=1000, 수비력=2800, 종족=기계족, P스케일=9, P효과1=①: 자신은 "클리포트"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1턴에 1번\, 8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클리포트 툴" 이외의 "클리포트"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외1=시스템을 레플리카 모드로 기동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효과외2=C:\\sophia\\sefiroth.exe 실행 중에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효과외3=다음의 알 수 없는 발행원으로부터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합니다., 효과외4=C:\\tierra\\qlipoth.exe의 실행을 허가하시겠습니까? ...[Y], 효과외5=시스템을 자율 모드로 기동합니다.)] [[넥스트 챌린저스]]에서 발매된 클리포트 일반 펜듈럼 몬스터.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 이외의 몬스터의 특수 소환을 봉인하고, 1턴에 1번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 몬스터를 서치하는 펜듈럼 효과를 가졌다. 레벨 5 일반 몬스터라 [[소환사의 스킬]]로 쉽게 서치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어셈블러와 함께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를 소환하는 용도로 간혹 채용되기도 한다. 공격력이 1000밖에 안 되어서 조금 느린 편이긴 하지만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으로 서치하는 것 역시 가능. 몬스터로서의 스탯이 다른 클리포트 카드에 비해 수비적인 것 또한 특징. 또한 그렇게 가져온 이 카드를 펜듈럼 존에 세팅하면 바로 LP만 째고 다른 클리포트 몬스터를 서치해주기에 펜듈럼 소환의 대표적 약점인 "스케일 맞는 펜듈럼 몬스터 2장이 패에 없으면 망함"과 "세팅만으로도 패 2장을 소비함"이란 약점을 보완하기에 딱 좋다. 즉, 클리포트의 '''키 카드'''. 또한 발동 횟수 제약이 "'클리포트 툴'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형식의 명칭지정 제약이 아닌 그냥 "1턴에 1번, ~할 수 있다" 형식이기에 스케일 4에 일반 소환 또는 펜듈럼 소환 시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바운스하는 [[EM(엔터메이트)|EM 트램펄링크스]]와 조합하면 1턴에 2번 이상 클리포트를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몬스터 / 마법 / 함정을 다 가리지 않고 서치하는 만능 카드지만 반대로 '''이 카드가 파괴되면 클리포트의 흐름의 8할이 박살난다.''' 운용법이 정립이 안 된 시절엔 어떻게든 툴을 서치하려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까지 넣었을 정도였다. 클리포트에선 이 카드를 제외한 서치 수단은 새클리포트 정도밖에 없고, 그 새클리포트로 또 툴을 서치하는 식으로 진행해서 이 카드만 집중적으로 요격한다면 클리포트는 패가 말라서 박살난다. 때마침 툴이 발매된 지 얼마 안 되어서 [[유령토끼]]가 나오는 바람에 더욱 요격당하기 쉬워졌다. 포지션은 [[클리포트의 나무]]에서 6i번째 클리파인 '''타기리온(Thagirion, 오열하는 그들)'''과 그 관리자인 벨페고르를 상징한다. 이름은 전반적인 도구를 뜻하는 tool. 또한 다른 프로그램을 만들 때 쓰는 [[컴파일러]]나 [[디버그|디버거]] 등의 [[프로그래밍]] 도구의 의미도 있다. 영문판 이름 Scout는 정찰대란 뜻으로, 제일 먼저 펜듈럼 존에 세팅되어 다른 클리포트를 서치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듯.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실제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정찰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정찰기]]와도 묘하게 닮았다. 생김새를 보면 거대하기 그지없는 클리포트들 중에서 가장 작은 편에 속한다. 코어가 몸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인페르노이드#s-8.2|각성하는 연옥]]과 [[섀도르]]의 셰키나가, 네피림, 네페섀도르 퓨전 등의 일러스트로 간접비교 해보면 [[푸른 눈의 백룡]] 정도의 크기인 듯. [[유희왕 마스터 듀얼]] 출시 이후, 유희왕을 시작한 뉴비들이 [[클리포트 어셈블러]]와 이 카드의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고 놀라며 버그가 난 것 같다며 커뮤니티에 찾아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넥스트 챌린저스]] || NECH-KR021 || [[레어#s-1.1.1]]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2nd wave]] || 20AP-KR098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링크 브레인즈 팩]] || LVP1-KR062 || [[노멀#s-2]] || 한국 || || || [[넥스트 챌린저스|NEXT CHALLENGERS]] || NECH-JP021 || [[레어#s-1.1.1]]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 20AP-JP098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 LVP1-JP062 || [[노멀#s-2]] || 일본 || || || [[넥스트 챌린저스|The New Challengers]] || NECH-EN02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5 Mega-Tin Mega Pack || MP15-EN144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펜듈럼 에볼루션|Pendulum Evolution]] || PEVO-EN057 || [[슈퍼 레어]] || 미국 || || == 설정 및 떡밥 ==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언뜻 보기에는 [[DOS]]가 떠오르는, [[후코의 마포석]] 뺨치는 기계적인 텍스트. 그런데 그 안에 함축된 의미가 남다르다. *일단 처음에 실행하려던 파일 [[세피로트의 나무|sefiroth]].exe가 들어있는 폴더의 이름이 '''[[창성신 sophia|sophia]]'''다.[* 영문판에서는 종교적인 의미인 sefiroth를 그대로 쓰기 어려웠는지 zefra라는 조어로 변경됐다. 이 zefra는 영문판 [[세피라]] 카테고리의 이름이기도 하다.] *세피로트의 나무의 완성은 카발라에서 곧 "[[신세계]]의 완성"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를 리셋시키려 든 소피아의 행적과도 일치하는 부분. *2기 스토리 막바지에 소피아는 [[세이크리드 솜브레스|두]] [[벨즈 케르키온|전사]]에 의해 제거당했는데, 그 sophia 폴더의 "세피로트 파일" 실행에 실패한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다. *반면, 클리포트 파일의 경로에 쓰인 tierra(티에라)는 스페인어로 대지라는 뜻을 지닌 '''여성''' 명사로, 지혜라는 뜻을 지닌 여신 소피아와 대치된다. 클리포트와 세피로트의 대칭관계를 고려하면, 곧 소피아와 관련된 요소로 "세피로트"가 존재하고, 반대로 클리포트의 배후에는 "티에라"라 불리는 신적 존재가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클리포트가 땅 속성인 것 역시 티에라가 지니는 의미와 관계가 있다. 그리고 후에 티에라는 [[인페르노이드]]로서 한 번 강림한 다음, [[창성신 tierra|다른 클리포트들의 코어까지 집어삼켜서...]] *정리하자면, 누군가가 소피아의 "세피로트"를 실행시키려 했으나 소피아가 이미 죽었기에 실패했고, 이를 대신하여 티에라의 "클리포트"가 실행됐다. 또한 시스템이 자립 모드로 기동됨에 따라, 클리포트 몬스터들이 자율적인 활동을 개시했다는 얘기가 된다. *또 다른 의문점은, '''누가 선택지에서 Y를 선택했냐는 거다.''' 일단 일러스트의 시간 순서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미도라시가 나츄르의 신성수에 간섭하고(엘섀도르 퓨전) *신성수의 밑으로부터 클리포트의 나무가 출현했다.(아포클리포트) *그 후 에그리스타의 코어 10개가 클리포트의 나무로 이동하더니(새클리포트) *가장 먼저 노란색 코어로부터 이 클리포트 툴이 모습을 드러냈다.(클리포트란) 이러한 인과관계를 보면, 플레이버 텍스트의 내용은 다름 아닌 미도라시가 신성수에 손을 쓰면서 나타난 문장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즉, 범인은 매우 높은 확률로 미도라시. 여기로부터 한층 더 나아가면 나츄르들의 생명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신성수는 세피로트의 나무에 해당될 것이란 추측도 있었고 세피라가 나츄르의 신성수가 힘을 나눠준 것으로 드러났기에 사실로 드러났다. *언급된 두 가지 모드인 '레플리카 모드'와 '자립 모드'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는데, '레플리카 모드'는 세피로트란 정의에 반대되는 일종의 악의 본보기였다는 의견이 있고, '자립 모드'는 [[삼사신(유희왕)|삼사신]] 마냥 세피로트 및 그 휘하의 창조물이 잘못됐을 때 이들을 말살하고 리셋하기 위한 안티테제였다는 의견이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엘섀도르 미도라시]]가 클리포트를 작동켰다가(엘섀도르 퓨전) 되려 역공을 당한(네페섀도르 퓨전) 걸 보면, 클리포트라는 악을 실행시킨 것 자체가 자립 모드의 제거 대상으로 판단되는, 일종의 [[판도라의 상자]] 같은 것이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추후 마스터즈 가이드에서 밝혀지길 클리포트의 정체는 [[창성신 tierra]]가 주관하는 Qilipoth 시스템의 생명 에너지의 균형을 조절하는 일종의 백신이었고, 툴은 클리포트의 활동을 개시하는 시동 열쇠였다. 미도라시가 신성수 시스템에 접속하면서 깨어나 육체는 sefiroth면서 영혼은 qliphoth인 섀도르를 이물질로 판정하고 구축하던 도중 이 녀석이 신의 파동을 갖고 있던 미도라시를 [[클리포트 어셈블러|흡수하면서...]] 이후 다른 클리포트와 함께 tierra 부활의 제물이 됐으며 tierra가 파멸한 뒤 함께 소멸했다. 정발판에서는 플레이버 텍스트의 qlip'''h'''oth.exe가 qlipoth.exe로 오타가 났고, 이후 재록에서도 수정되지 않았다. == 관련 카드 == === [[창성신 sophia]] === === [[창성신 tierra]] === [[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