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LB)] ||<-2>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모자 로고.svg|width=30%]] ||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width=50%]] || ||<-2> 모자 로고 || 구단 로고 || ||<-3> {{{+1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3> {{{+1 '''Cleveland Guardians'''}}} || || '''창단''' ||<-2>[[1894년]]^^([age(1894-01-01)]주년)^^|| || '''연고지''' ||<-2>[[오하이오]] [[클리블랜드]]|| || '''연고지 변천''' ||<-2>[[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 (1894~1899)[br]'''[[클리블랜드|{{{#00385d 클리블랜드}}}]] (1900~)'''|| || '''구단명 변천''' ||<-2>그랜드래피즈 러슬러스 (Grand Rapids Rustlers, 1894~1899) [br] 클리블랜드 레이크 쇼어스 (Cleveland Lake Shores, 1900) [br] 클리블랜드 블루버즈 (Cleveland Bluebirds, 1901) [br] 클리블랜드 브롱코스 (Cleveland Bronchos, 1902) [br] 클리블랜드 냅스 (Cleveland Naps, 1903~1914) [br]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Cleveland Indians, 1915~2021) [br] '''{{{#00385d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Cleveland Guardians, 2022~)'''|| || '''소속 변천''' ||<-2>'''{{{#00385d 아메리칸 리그}}} (1901~)''' [br] - [[아메리칸 리그/동부 지구|동부 지구]] (1969~1993) [br] '''- [[아메리칸 리그/중부 지구|중부 지구]] (1994~)'''|| || '''홈 구장''' ||<-2>리그 파크 (League Park, 1901~1932, 1934~1946)[* 37, 42, 44~45년까지 [[NFL]] [[LA 램스|클리블랜드 램스]]와 공용] [br] 클리블랜드 스타디움 (Cleveland Stadium, 1932~1933, 1937~1993)[* 39년부터 41년까지 [[NFL]] [[LA 램스|클리블랜드 램스]], 46년부터 95년까지 [[NFL]] [[클리블랜드 브라운스]]와 공용] [br] '''[[프로그레시브 필드|{{{#00385d 프로그레시브 필드}}}]] (Progressive Field, 1994~)'''|| || '''구단주''' ||<-2>래리 돌란 (Larry Dolan) & 폴 돌란 (Paul Dolan)[* 래리 돌란과 폴 돌란은 부자지간이다. 래리 돌란의 또 다른 아들인 맷 돌란 (Matt Dolan)도 구단의 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래리 돌란의 조카이자, 폴 돌란의 사촌인 제임스 돌란은 [[NBA]] [[뉴욕 닉스]]의 구단주이다.]|| || '''사장'''[* 공식 직함은 'President of Baseball Operations'.] ||<-2>크리스 안토네티 (Chris Antonetti)|| || '''단장''' ||<-2>마이크 션오프 (Mike Chernoff)|| || '''감독''' ||<-2>[[스티븐 보트]] (Stephen Vogt) || || '''역대 한국인 메이저 선수''' ||<-2>'''[[추신수]] (2006~2012)''' || || '''역대 한국인 마이너 선수''' ||<-2>[[최향남]] (2006) [br] [[추신수]] (2007~2008, 2010~2011) || || '''역대 한국계 마이너 선수''' ||<-2>미치 브라운[* (Mitch Brown). 한국계 미국인.] (2012~2018) || || '''로컬 경기 중계''' ||<-2>[[Bally Sports|Bally Sports Great Lakes]]|| || '''약칭''' ||<-2>'''{{{#e50022 {{{+1 CLE}}}}}}'''|| ||<-3> [[https://www.mlb.com/indians|[[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height=25]]]] | [[https://www.facebook.com/CLEGuardia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leGuardians,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cleguardia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com/c/clevelandguardia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3> '''우승 기록''' || ||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br](2회) ||<-2>'''[[1920년 월드 시리즈|1920]]''', '''[[1948년 월드 시리즈|1948]]'''[* [[시카고 컵스]]의 우승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가장 오랜기간 우승하지 못한 팀이 되었다. ([age(1949-01-01)]년 간)]|| || '''[[아메리칸 리그|{{{#ffffff 아메리칸 리그}}}]]'''[br](6회) ||<-2>1920, 1948, 1954, [[199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5]], [[199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7]], [[2016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6]]|| || '''지구'''[br](11회 / 최다 우승) ||<-2>1995, 1996, 1997, 1998, 1999, 2001, 2007, 2016, 2017, 2018, 2022|| || '''와일드카드'''[br](2회) ||<-2>2013, 2020|| ||<-3> '''포스트시즌 진출'''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 ||<-2>'''[[1920년 월드 시리즈|1920년]]''', '''[[1948년 월드 시리즈|1948년]]''', [[1954년 월드 시리즈|1954년]], [[1995년 월드 시리즈|1995년]], [[1997년 월드 시리즈|1997년]], [[2016년 월드 시리즈|2016년]] || || '''[[챔피언십 시리즈|{{{#ffffff 챔피언십 시리즈}}}]]''' ||<-2>'''[[1995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5년]]''', '''[[199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7년]]''', [[1998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8년]], [[200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07년]], '''[[2016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6년]]''' || || '''[[디비전 시리즈|{{{#ffffff 디비전 시리즈}}}]]''' ||<-2>'''[[1995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1995년]]''', [[1996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1996년]], '''[[1997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1997년]]''', '''[[1998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1998년]]''', [[1999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1999년]], [[200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1년]], '''[[2007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7년]]''', '''[[2016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6년]]''', [[2017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7년]], [[2018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8년]], [[202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22년]] || || '''[[와일드카드 시리즈|{{{#ffffff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2>[[2013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2013년]], [[2020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2020년]], '''[[2022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2022년]]''' || }}}}}}}}}}}} || ||<-3> '''팀 컬러 / 유니폼'''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ffffff 팀 컬러}}}''' || || 네이비블루{{{+5 {{{#00385d ■}}}}}} 빨강색{{{+5 {{{#e50022 ■}}}}}} 흰색{{{+5 □}}} || || '''{{{#ffffff 유니폼[* ALT1 유니폼에는 선수의 이름이 없이 등번호만 새겨져 있다.]}}}''' || || [[파일:MLB-ALC-CLE-Uniform.png|width=60%]] || }}}}}}}}}}}} || ||<-3>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1920년 월드 시리즈|{{{#ffffff 1920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1919[br][[신시내티 레즈]] || →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1921[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뉴욕 자이언츠]] || ||<-5> '''[[1948년 월드 시리즈|{{{#ffffff 1948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1947[br][[뉴욕 양키스]] || →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1949[br][[뉴욕 양키스]] || }}}}}}}}}}}} || ||<-3> '''프랜차이즈 팀 기록''' || || '''최고 승률''' ||<-2>'''.721''' - (1954년 156경기 111승 43패)|| || '''최다 승''' ||<-2>'''111승''' - (1954년 156경기 111승 43패)|| || '''최다 패''' ||<-2>'''105패''' - (1991년 162경기 57승 105패)|| || '''최다 관중''' ||<-2>'''3,468,456명''' - 1999년|| || '''최고 계약''' ||<-2>'''$124,000,000''' - 2022년 [[호세 라미레즈]]|| [목차] [clearfix] == 개요 == [[MLB]]의 프로야구단. [[아메리칸 리그/중부 지구]] 소속. 연고지는 [[클리블랜드]]. [[1954년 월드 시리즈]] 패배 이후 다시 플레이오프 진출하는데에만 41년이 걸린 어둠의 역사가 있었다. 그러다 1990년대 후반, 엄청난 타선을 구축하여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2006~2012년까지 [[추신수]]가 활약하던 시기의 성적은 바닥을 기었기 때문에 국내 팬들에게는 약체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혔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다시 꾸준히 중부지구 우승을 놓고 경쟁하고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강팀이 되었다. 낙후된 도시[* 보통 중부지구 팀들이 호황을 누리던 산업들(예를 들어 클리블랜드는 석유와 철강 산업)이 시대가 바뀌며 쇠퇴하거나 몰락하여 도시 경제 기반도 함께 가라앉았기 때문이다. 쇠퇴한 곳으로 잘 알려진 [[디트로이트]]도 여기다.]의 스몰마켓[* 관중이 정말 적다. 최근 연이어 중부지구를 제패하고 우승권 팀이었음에도 관중 순위 20위 안에 든 적이 없다.]이어서 돈을 쓰는 데에도 한계가 있지만 나름 똘똘한 운영과 육성을 보여주고 있는 중. 현재까지 가장 오랜기간 월드시리즈 우승을 못한 팀이다. 마지막으로 우승한 것이 1948년이므로 2023년 기준으로 무려 75년 동안 우승이 없는 것이다. [[2016년 월드 시리즈]]에서 100년이 넘도록 우승을 못했던 [[시카고 컵스]]와 붙었는데 패하면서 1위 자리를 승계(?)받았다.[* 물론 월드시리즈 우승이 아예 없는 팀들도 있다. 다만 1948년 이후에 창단한 팀들이라 햇수로는 클리블랜드가 가장 오래 되었다.] 2022년부터는 팀명을 인디언스[* [[인디언]]이 차별적 용어라는 여론이 있었고 이를 수용해 팀명을 바꿨다.][* 인디언스 시절 별명은 부족이라는 뜻의 The Tribe 였다. 스페인어로도 역시 애칭은 'Tribu'였다.]에서 가디언스로 바꿨다.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클리블랜드 가디언스/역사)] === 로고 변경 === ||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width=100]] ||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width=150]] ||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워드마크.svg|width=200]] ||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5 (2022~ )}}} 로고'''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5 (2022~ )}}} 엠블럼'''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5 (2022~ )}}} 워드마크''' || || [[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1928).gif|width=150]][[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1933~1938).png|width=150]][[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1946~1948).png|width=150]][[파일: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엠블럼(1986~2013).svg|width=150]]|| || 팀 창단 이후 '와후 추장' 로고의 변천사 || 팀 이름을 반영하여 우스꽝스러운 인디언이 그려져 있는 로고를 사용했다. 이 마스코트의 이름은 와후 추장(Chief Wahoo)으로, [[와후추장의 저주|인디언스가 오랫동안 우승하지 못하는 것을 와후 추장의 원혼의 노여움을 샀기 때문]]이라고 하기도 한다. 초기 로고는 그런대로 준수하게 그려져서 큰 논란은 없었지만, 1951년에 로고를 우스꽝스럽게 변경한 뒤로는 우승을 해본적이 없어서 저주라는 얘기가 나오는 것. 한편 와후 추장이 실존 인물이었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 실존 모델이라고 할 만한 사람은 없다. 소칼렉시스의 별명이 추장이긴 했지만 원주민 최초라는 점 외에는 한없이 듣보에 가까웠다. 2010년부터는 와후 추장의 로고를 최대한 안 쓰려고 하는 모습이 역력해 보인다. 2010 시즌 중반부터 레트로 스타일로 새로 만든 홈 얼트 유니폼을 입기 시작하더니, 2011년 역시 레트로 스타일로 바꾼 원정 유니폼과 모자에 와후 추장 로고 대신에 클리블랜드의 C를 메인 로고로 썼다. 이것과는 별개로 원주민을 새빨간 피부의 [[홍인종]]으로 묘사한 와후 추장 로고는 미국 현지에서 [[인종차별]] 논란도 일으킨 적이 있었고, 급기야 오하이오 주 상원의원이 인디언스 창단 100주년인 2015년을 기해 와후 추장을 마스코트에서 공식적으로 은퇴시키자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마스코트 교체 운동에 가장 극심하게 반대하는 세력이 바로 그 [[아메리카 원주민]] 야구팬이었다는 것이 아이러니. 결국 이 로고는 전술된 인종차별 이슈로 인해 2018년까지만 사용하고, 2019년부터는 유니폼을 포함하여 그라운드에서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되었다. 명예의 전당 명판 역시 2018년 헌액자 [[짐 토미]]를 시작으로 와후 추장 로고를 쓰지 않기로 했다.[* [[짐 토미]] 본인이 명예의 전당 입성 확정 후 와후 추장 로고 대신 C자 로고를 새겨달라고 요청했고, 베테랑 위원회의 허가까지 받는 데에 성공했다.] === 팀명 교체 ===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가 격화되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인해 황인종이 차별받는 등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 여론이 많아지면서, 인종차별적인 팀명이라고 비판받던 [[워싱턴 레드스킨스]]가 결국 레드스킨스 팀명 사용을 중단하고 [[워싱턴 커맨더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그리고 인디언스도 팀명 교체 압력을 더 강력하게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팀은 반대로 구단 측도 팀명 교체를 원하는 케이스다. 이미 2018년부터 모자에 추장 로고를 빼는 등 '인디언스' 색채를 지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는데 구단 입장에서는 이 논란이 오히려 와후 추장의 저주가 서린 팀명의 변경 기회가 된 것이다. 인디언스 측 역시 [[https://www.instagram.com/p/CCMz27Hnw0C/|팀명을 교체하겠다]]는 의견을 밝혔고, 2020년 12월 13일에 [[뉴욕 타임스]]가 클리블랜드 구단이 팀명 교체를 공식적으로 결정했다는 보도를 했다.[[https://www.nytimes.com/2020/12/13/sports/baseball/cleveland-indians-baseball-name-change.html|#]] 새로운 구단명은 과거 클리블랜드를 연고로 했다가 사라진 스파이더스가 유력해 보이지만, 온라인 상에서는 '클리블랜드 베이스볼팀'이라는 명칭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2021년 2월, 지역사회의 시민이나 지도자와 영향력 있는 인물, 구단 스태프 등과 [[브레인스토밍]]을 한 결과 약 '''1,200개'''의 명칭 후보가 나왔다고 한다. 예상대로 스파이더스가 있었고,[* 이게 채택되었다면 전 세계 프로야구 1군에서 유일한 절지동물 구단이 되었을 것 이다. 왜 '1군'이냐면 마이너리그에 새우, 게, 말벌, 모기(...), 꿀벌 등이 있기 때문. 참고로 NBA에 샬럿 호네츠(말벌)가 있다..] 그 외에 유력한 명칭으로 가디언스(Guardians)[* [[푸방 가디언스]]라는 선례가 있는 이름이다. 그리고 Indians와 Guardians는 철자가 상당히 많이 겹치기 때문에 팀명을 교체해도 그나마 위화감이 적은 편. 단, 한자 표기 시엔 푸방과는 달리 한장(悍將)이라고 쓰지 않는다.]와 어벤저스(Avenger)가 나왔다가, 최종적으로 가디언스가 새 이름으로 결정되었으며 2022 시즌부터 '''클리블랜드 가디언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이는 [[1915년]] '인디언스'를 채택한 이후 106년 만의 팀 명 변경이다. 유래는 호프 메모리얼 브릿지에 있는 교통의 수호자 조각상이다. [[파일:가오클.jpg]] 팀명 교체 이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가디언즈 오브 클리블랜드]]라는 농담이 매우 흥하고 있다. --[[로켓(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켓]]으로 합성된 [[에디 로사리오]]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이적한 게 함정----[[호세 라미레스|스타로드]]에게는 초염가 계약...-- == 이모저모 == === 홈 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로그레시브 필드)] === 영구결번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영구결번)] '''3. [[얼 애버릴]](Earl Averill)''': 1930년대 인디언스에서 활약하면서 중견수를 책임진 선수. 27세로 늦게 메이저리그에 데뷔해서, 화재로 화상을 입기도 했지만 모두 극복하고 통산 타율 0.318, 238홈런의 기록을 남긴 명예의 전당 멤버. 참고로 명예의 전당은 베테랑 위원회의 추천으로 들어갔다. '''5. [[루 보드로]](Lou Boudreau)''': 유격수 겸 감독으로 맹활약하며 1948년 리그 MVP 및 그 해 팀의 월드시리즈 우승을 이끌어낸 주역. [[테드 윌리엄스]] 상대로 유명한 윌리엄스 시프트 수비를 만들기도 했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한 시대를 풍미한 선수 겸 감독. '''14. [[래리 도비]](Larry Doby)''': 아메리칸 리그 최초의 흑인 선수이자 두 번째로 메이저리그에 등장한 흑인 선수. 외야수로 준수한 실력을 자랑하며 7번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948년 팀의 우승 멤버이기도 하다. 베테랑 위원회의 추천으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뛴 경력도 있다. '''18. [[멜 하더]](Mel Harder)''': 클리블랜드에서만 20년을 뛰며 팀의 주축 투수로 큰 공헌을 한 투수. 통산 223승을 모두 클리블랜드에서만 기록했다. 그 후 팀의 투수 코치로서 내야수였던 밥 레몬을 성공적으로 투수로 전향시키는 등, 최고의 투수 코치로 명성을 떨쳤다. '''19. [[밥 펠러]](Bob Feller)''': 클리블랜드 역사상 최고의 투수. 무적의 강속구로 팀을 이끈 선수로 1948년 팀 우승의 주역 중 한 명. 통산 266승을 거뒀으며, 당대 따라올 선수가 없을 정도로 위력적인 투구를 선보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 자진 입대해서 4시즌을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거둔 성적이라 더 대단하다. 다른 유명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밥 펠러는 전방에 자원 배치되어 무공훈장만 8개를 받았을 정도. 아울러 흑인을 차별하는 야구계의 문화를 맹비난하고, 흑인 야구에 대한 절대적인 지지자로 유명하다. 실제로 그의 우상은 니그로리그의 전설 [[사첼 페이지]]였다. 후에 사업도 성공해서 풍족하게 산 편이니 그야말로 [[인생의 승리자]]. '''20. [[프랭크 로빈슨]](Frank Robinson)''': Mr. MVP. 메이저리그에서 유일한 양대리그 MVP 수상자. 신인왕, 정규시즌 MVP, 올스타게임 MVP, 월드시리즈 MVP를 모두 수상한 유일한 선수. 당연히 명예의 전당 헌액선수이며 타자로서 받을 수 있는 웬만한 상들은 모두 수상한 위대한 선수. 감독으로서는 올해의 감독상도 수상했다. 2017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그의 등번호 20번을 영구결번했으며 이로써 3구단(신시내티 레즈, 볼티모어 오리올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영구결번 선수가 되었다. 3구단 영구결번은 [[놀란 라이언]]에 이어서 두 번째. 다만 로빈슨은 전성기는 레즈와 오리올스에서 다 보내고 인디언스에서는 선수로서도 감독으로서도 각각 선수 3년, 감독 3년씩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있으면서 미미한 성적밖에 거두지 못해(올해의 감독상도 오리올스 감독 시절에 탔다) 과연 로빈슨에게 영구결번을 주는 것이 맞느냐는 논란도 좀 있었는데, 그래도 메이저리그 최초의 흑인 감독이라는 상징성이 커서 영구결번을 주었다. '''21. [[밥 레몬]](Bob Lemon)''': 원래 내야수 출신으로 투수로 전향해서 싱커볼을 주무기로 1940년대 말 클리블랜드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투수. [[밥 펠러]], [[밥 레몬]], [[얼리 윈]], [[마이크 가르시아]]가 이끄는 클리블랜드의 투수진은 빅4로 불리며 한 시대를 주름잡았다. 통산 207승을 거두며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데 성공. '''25. [[짐 토미]](Jim Thome)''':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를 주름잡았던 거포 내야수. 비록 저니맨 인생이었지만 600홈런을 넘기고 [[스테로이드 시대|시대]]가 시대인 만큼 더욱 가치를 인정 받아 명예의 전당 후보 첫 해에 입성했다.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결번. '''455. [[팬]]''': 지금은 [[보스턴 레드삭스]]에 의해 경신되었지만, 1990년대 455경기 연속 매진 기록을 세우며 성원해준 팬들에게 보답하는 의미로 결번. 현역 선수 중에선 [[호세 라미레즈]](11번)의 영구 결번이 사실상 확정적이다. 2010년대부터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로써 활약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2022년에 충격과 공포의 염가 계약을 맺으며 팀의 원 클럽 맨이 될 의지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리고 은퇴한 선수 중에는 [[CC 사바시아]](52번)도 성적상으로는 영구결번감으로 여겨진다.[* 2023년 현재 [[닉 샌들린]]이 사용 중.] == 역대 감독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 감독)] ==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 === 트리플 A === [include(틀:콜럼버스 클리퍼스/로스터)] ||<-2> [[파일:콜럼버스 클리퍼스 엠블럼.svg|width=250]] || ||<#062A78><-2> {{{#ffffff 콜럼버스 클리퍼스 }}} || ||<#72A0C1><-2> {{{#ffffff Columbus Clippers }}} || || 창단 || 1977년 || || 계약년도 || 2009년 || || 소속리그/지구 || 인터내셔널 리그 서부지구 || || 연고지 ||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오하이오)|콜럼버스]] || || 홈 구장 || [[헌팅턴 파크]] || || 감독 || [[앤디 트레이시]] || || 벤치코치 || 그렉 디센조 || || 타격코치 || 주니오르 베탄시스 || || 투수코치 || 오웬 듀 || || 피칭 전략가 || 코디 버켈 || === 더블 A === ||||<:> [[파일:애크런 러버덕스 엠블럼.svg|width=300]] || ||||<#000000> {{{#ff7518 애크런 러버덕스 }}} || ||||<#0b60ad> {{{#ffcc00 Akron RubberDucks }}} || || 창단 || 1980년 || || 계약년도 || 1989년 || || 소속리그/지구 || 이스턴 리그 서부지구 || || 연고지 || [[오하이오]] 주 [[애크런]] || || 홈 구장 || 커널 파크 || || 감독 || 러글러스 오도어 || || 벤치코치 || [[대니얼 로버트슨(1985)|대니얼 로버트슨]] || || 타격코치 || 마이클 머겐타러 || || 보조타격코치 || 이안 포스터 || || 투수코치 || [[브래드 골드버그]] || === 하이 싱글 A === ||||<:> [[파일:레이크 카운티 캡틴스 엠블럼.svg|width=220]] || ||||<#062a78> {{{#d4ae7c 레이크 카운티 캡틴스 }}} || ||||<#007dc3> {{{#ffffff Lake County Captains }}} || || 창단 || 1991년 || || 계약년도 || 1991년 || || 소속리그/지구 || 미드웨스트 리그 동부지구 || || 연고지 || [[오하이오]] 주 이스트레이크 || || 홈 구장 || 클래식 파크 || || 감독 || [[오미르 산토스]] || || 벤치코치 || 카일 린드퀴스트 || || 타격코치 || 조던 베커 || || 투수코치 || 케빈 어미니오 || === 로우 싱글 A === ||||<:> [[파일:린치버그 힐캐츠 엠블럼.svg|width=230]] || ||||<#0e2345> {{{#64bc46 린치버그 힐캐츠 }}} || ||||<#00b0aa> {{{#0e2345 Lynchburg Hillcats }}} || || 창단 || 1963년 || || 계약년도 || 2015년 || || 소속리그/지구 || 캐롤라이나 리그 남부지구 || || 연고지 || [[버지니아 주]] 린치버그 || || 홈 구장 || 캘빈 팰월 파크 || || 감독 || 조던 스미스 || || 벤치코치 || 얀 리베라 || || 타격코치 || 오르도마 발데스 || || 투수코치 || [[토니 아놀드]] || === 루키 === ||||<:>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width=230]] || ||||<#00385d> {{{#ffffff ACL 가디언스}}} || ||||<#e50022> {{{#ffffff Arizona Complex League Guardians }}} || || 창단 || 1967년 || || 계약년도 || 1967년 || || 소속리그/지구 || 애리조나 컴플렉스 리그 중부지구 || || 연고지 || [[애리조나]] 주 굿여 || || 홈 구장 || 굿여 볼파크 || || 감독 || [[T.J. 리베라]] || || 벤치코치 || 어린 세르다 || || 타격코치 || 크레이그 마소니 || || 투수코치 || 앤더슨 폴랑코 || ||||<:>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width=230]] || ||||<#00385d> {{{#ffffff DSL 가디언스}}} || ||||<#e50022> {{{#ffffff Dominican Summer League Guardians }}} || || 창단 || 1990년 || || 계약년도 || 1990년 || || 소속리그/지구 || 도미니카 섬머 북부지구 || || 연고지 || [[산토도밍고]] 주 보카 치카 || || 홈 구장 || 아카데미아 데 프로스펙토 컴플렉스 || || 감독 || [[헤수스 타바레스]](블루)[br]후안 데 라 크루즈(레드) || || 벤치코치 || 마크 멈퍼(블루)[br]카를로스 퍼민(레드) || || 타격코치 || 콜 니토(블루)[br]로날드 파라(레드) || || 투수코치 || 카를로스 얀(블루)[br][[헤수스 산체스(1974)|헤수스 산체스]](레드) || == 40인 로스터 목록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로스터)] ==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 1라운드 지명선수)] == 관련 링크 == * [[http://www.baseball-reference.com/teams/CLE/|역대 팀 성적]] [[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