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스톤 빌라 FC/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24-LANGLET.jpg |width=100%]]}}} || ||<-3> '''{{{#fff 아스톤 빌라 FC No. 17}}}''' || ||<-3> '''{{{#650932 {{{+1 클레망 랑글레}}}[br]Clément Lenglet}}}''' || ||<-2> {{{#fff '''본명'''}}} ||클레망 니콜라 로랑 랑글레[* [[프랑스어]] 발음: /klemɑ̃ lɑ̃ɡlɛ/][br]Clément Nicolas Laurent Lenglet || ||<-2><|2> {{{#fff '''출생'''}}} ||[[1995년]] [[6월 17일]] ([age(1995-06-17)]세) || ||{{{-2 [[프랑스]] [[오드프랑스]] [[레지옹]] 우와즈 도 [[보베(도시)|보베]]}}}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 {{{#fff '''신체'''}}} ||[[키(신체)|키]] 186cm / [[체중]] 81kg || ||<-2> {{{#fff '''포지션'''}}} ||[[센터백]] || ||<-2> {{{#fff '''주발'''}}} ||왼발 || ||<|2> {{{#fff '''소속'''}}} || {{{#fff '''유스'''}}} ||몽쉐브레유 (2001~2007) [br] US 샹티이 (2007~2010) [br] [[AS 낭시]] (2010~2013) || || {{{#fff '''선수'''}}} ||AS 낭시 B (2013~2014) [br] [[AS 낭시]] (2014~2017) [br] '''[[세비야 FC]] (2017~2018)''' [br] [[FC 바르셀로나]] (2018~ ) [br] → {{{-1 [[토트넘 홋스퍼 FC]] (2022~2023 / ^^임대^^)}}} [br] → {{{-1 [[아스톤 빌라 FC]] (2023~ / ^^임대^^)}}} || ||<-2> {{{#fff '''국가대표'''}}} ||15경기 1골[* 2022년 6월 13일 기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2019~ )^^|| ||<-2> {{{#fff '''SNS''' }}} ||[[https://www.instagram.com/clement_lengle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lement_lenglet, 크기=24)]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fff 역대 등번호}}}'''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19번, 5번[* [[유로 2020]]][br][[AS 낭시]] - 2번[br][[세비야 FC]] - '''5번'''[br][[FC 바르셀로나]] - 12번, 15번[br][[토트넘 홋스퍼 FC]] - 34번[br][[아스톤 빌라 FC]] - 17번 || ||<-2> '''{{{#fff 가족}}}''' ||'''배우자''' 에스텔 랑글레[br]'''아버지''' 세바스티앙 랑글레[br]'''남동생''' 코랑탱 랑글레[* 클레망과 마찬가지로 축구선수이다.] || ||<-2> '''{{{#fff 종교}}}''' ||[[기독교]] || ||<-2> '''{{{#fff 에이전트}}}''' ||[[파일:WASSERMAN.svg|width=100]][* 미국 LA에 본사를 둔 스포츠 에이전시로, 같은 소속의 유명 선수로는 [[페데리코 발베르데]], [[에므리크 라포르트]], [[찰라르 쇠윈쥐]] 등이 있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국적의 [[아스톤 빌라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클레망 랑글레/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67049283.jpg.0.jpg|width=100%]]}}} || 2019년에 [[FC 바르셀로나]]에서 [[사뮈엘 움티티]]를 밀어내고 주전을 차지하자 국가대표팀에서도 주전 자리를 차지해 [[라파엘 바란]]의 파트너로 꾸준히 기용되고 있다. 허나, 20-21시즌 안 좋은 폼을 보여주면서 [[프레스넬 킴펨베]]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고, [[다요 우파메카노]]도 성장 중이기에 기량 회복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중. 20-21시즌에 최악의 시즌을 보냈음에도, 우파메카노 또한 폼이 떨어졌고, 왼발잡이 센터백이라는 희소성 덕분에 [[UEFA 유로 2020]]에는 [[다요 우파메카노]]를 제치고 명단에 승선하는 데에 성공했다.[* [[쥘 쿤데]]가 이번 대표팀에 5번째 센터백으로 승선함에 따라서, 우파메카노는 U-23 대표팀에 뽑혔다.] 유로 2020 조별리그 3경기에서는 벤치를 지켰으나 수비진의 줄부상으로 인해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와의 16강전에서는 3백의 중앙 수비수로 선발 출전했다. 하지만 전반 15분 [[하리스 세페로비치]]가 골문 바로 앞에서 서전트 점프 후 헤더 슈팅을 할때 어떠한 제지도 하지 못하면서 손쉽게 선제 실점을 허용하는 데 원흉이 되었고 결국 하프타임에 프랑스 선수 중 첫 번째로 교체 아웃되었다. [[망했어요|그리고 프랑스는...]] 2021년 9월 월드컵 예선에서는 명단에 제외되었지만 우파메카노가 부상으로 하차하면서 대체발탁되었다. 2021년 11월 월드컵 예선에서도 제외되었지만 킴펨베가 부상으로 하차하면서 다시 대체발탁되었다. 2022년 토트넘으로 임대 이적후 나쁘지 않은 폼을 보여주어 [[카타르 월드컵]] 승선에도 기대를 모았지만 결국 쟁쟁한 후보들에게 밀려 최종 명단에 들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sQWcUb5zEvM)] === 장점 === 빌드업 능력이 좋은 센터백으로, 세비야 시절에도 수비력보다 '''빌드업 능력'''에서 각광을 받는 센터백이었다. 자신의 주발인 왼발을 이용한 양질의 패스를 찔러주는데, 전진패스에 있어서는 바르셀로나의 어느 자원들과 겨루어도 꿀리지 않는 패싱력을 보여준다. 특히 짧은 패스 뿐만 아니라 뛰어난 롱패스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순간적으로 침투하는 공격수를 향해 전방으로 찔러주는 데 능하며, 그가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했을 때에는 [[부스케츠]], [[피케]]와 함께 팀내에서 90분당 가장 많은 롱패스를 성공시켰다.[* 20-21 시즌엔 3.3개, 21-22 시즌엔 5.3개를 기록하며 두 시즌 연속 부스케츠 다음으로 2위를 차지했다.] 22-23시즌에 토트넘에 임대를 와서도 기존의 센터백 자원들과는 결이 다른 빌드업 능력을 선보이는 중이다. 수비 시에는 상대방을 강하게 압박하는 전진수비를 시도하는 등 전진성이 돋보이는 선수로 콘테 체제에 이후 아예 다른 선수로 바뀐 [[벤 데이비스]]와는 다른 수비 스타일을 보여준다.[* 벤 데이비스도 전진수비를 보여주지만, 상대를 1대1로 강하게 압박하는 대인 수비보다는 위치를 선점하는 지역 수비를 한다.] === 단점 === 다만, 빌드업 능력을 제외한 다른 능력치가 아쉽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 단점들이 상당히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큰 단점은 주력. 주력이 빠른 편이 아닐 뿐더러 민첩성도 별로여서 높은 수비라인을 구축해서 커버해야 할 뒷공간이 많은 바르셀로나에서는 약점을 자주 드러냈다. 또한 수비 스킬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라서, 파이팅 넘치는 저돌적인 수비로 공을 끊어내는 것을 선호하지만 동시에 카드 수집량도 많다. 이게 특히 문제가 되는 건, 랑글레는 수비 시 발이 느리다 보니 손으로 잡아 끄는 것처럼 손을 이용한 수비를 하다가 카드를 수집한다. 단순히 카드를 많이 받는다 수준이 아니라 뜬금없이 불필요한 파울을 저질러 경기를 던져버리고, 본인의 도전적인 성향을 전혀 억제하지 못하는 듯한 모습이 너무나 많이 나온다.[* 경고를 한 장 받은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거칠게 플레이하다 퇴장당하거나 클리어링 과정에서 걷어차듯 발을 높이 들어올려 PK를 헌납하는 등 지능적으로 반칙을 저지르는 것이 아니고 아무런 생각 없이 플레이하는 느낌이다.] 느린 주력+거친 수비 성향이 맞물려 파울을 자주 범하고, 심하면 퇴장을 당하거나 PK까지 내주며 경기를 말아먹으니, 잘 하고 있어도 항상 시한폭탄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21-22시즌 19R 마요르카전이 좋은 예로, 81분경에 우측면 뒷공간으로 흐르는 공을 쫓아 먼저 출발했지만 뒤에서 뛰기 시작한 상대 선수에게 2초만에 추월당하자 팔로 밀어버리고 프리킥을 내주는 장면은 랑글레의 느린 주력에서 비롯되는 거친 수비를 잘 보여준다.[* 참고로 이때 랑글레는 코로나를 제외하면 부상에서 막 회복했거나 체력적으로 지친 상황도 아니었고, 교체된 지 5분 남짓 지난 시점이었다. 그냥 '''많이 느리다'''. 2월 초에는 왼쪽 햄스트링 부상까지 당했는데, 다행히 3주 후 회복했지만 앞으로 재발한다면 원래도 느린 속력이 더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제공권''' 능력도 생각보다 좋은 편이 아니다. 좋은지 아닌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나 일단 아라우호와 피케에 비해 공중볼 경합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확실하다.[* 둘 다 평균 70% 이내의 공중경합 승리율을 기록하는 데 반해 랑글레의 승리율은 50% 후반대~60% 초반대로 약 10% 정도 낮다.] 세트피스에서 위협적인 선수라는 인식이 있지만 바르셀로나에서 주전으로 활약한 두세 시즌 동안 머리로 넣은 골은 4골이 전부며, 심지어 21-22 시즌엔 출장 수가 많진 않지만 39%에 불과한 승리율을 기록하며 제공권에 큰 의문부호가 달리게 되었다. 작은 공격수들을 상대할 때는 당연히 이런 약점이 잘 드러나지 않지만 장신에 건장한 체격을 가진 타깃맨들을 만나면 바로 몸싸움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단적인 예로 [[유로 2020]] 스위스전에서 [[하리스 세페로비치]]에게 밀려 점프조차 하지 못하고 헤더 선제골을 지켜만 보는 장면을 들 수 있다.] 그래도 토트넘에선 이 부분이 많이 향상된 것으로 보이는게, 코너킥 상황 헤더를 자주 따냈고 마르세유와의 챔스 경기에서 헤더로 동점골을 넣기도 했다. 거기다가 위 단점들을 쌈싸먹고도 남을 가장 큰 문제는 바로 경기 중 집중을 제대로 못하고 실책을 범한다는 것. 그것도 수비수로써 하지 말아야 할 실수를 많이 한다. '''자책골이나 위험지역에서의 패스미스는 물론 대인마크 상황에서의 마크맨 방치, 패널티킥 헌납, 퇴장 등 하나같이 팀의 패배와 직결되는 실책들'''이 많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AS 낭시]] (2014~2017) * [[리그 2]]: 2015-16 * [[FC 바르셀로나]] (2018~) * [[라리가]]: 2018-19 * [[코파 델 레이]]: 2020-21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8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네이션스 리그]]: 2020-21 == 여담 == == 같이 보기 == [include(틀:아스톤 빌라 FC)] [각주] [[분류:1995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우아즈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축구선수]][[분류:AS 낭시/은퇴, 이적]][[분류:세비야 FC/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은퇴, 이적]][[분류:FC 바르셀로나/은퇴, 이적]][[분류:아스톤 빌라 FC/현역]][[분류:프랑스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