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불릿 클럽)] || [[파일:FXNItktVsAAbV0G.jpg|width=100%]] || || '''{{{+5 {{{#white <100 Proof> [br] Clark Connors}}} }}}''' || ||
[[파일:WILDCLUB.png|width=100%]] || || '''{{{#ffffff "100 Proof" Clark Connors}}} ''' || ||<-2>
[[파일:클락코너스프로필.png|width=100%]] || ||<-2> {{{#f81018 '''NJPW'''}}} || || '''링네임''' || '''[ruby(Clark Connors, ruby=クラーク・コナーズ)]''' || || '''본명''' || Connor Deutsch [br] (코너 도이치) || || '''별명''' || The Hybrid [br] [ruby(Wild Rhino, ruby=ワイルド・ライノ)] [br] '''100 Proof'''[* 불릿 클럽 가입 후 사용하는 별명. proof에는 증명하다라는 뜻도 있지만, [[미국]]의 과거 알콜 도수 단위(2 proof = 1도)이기도 하다. 즉 100 proof에는 100% 자신을 증명해냈다는 뜻도 있으면서, 자신을 [[와일드 터키]] 101 (50도) 등 미국에서 자주 마시는 [[버번 위스키]]에 빗대어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거친 이미지를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 || '''생년월일''' || 1993. 10. 6. ([age(1993-10-06)]세) || || '''신장''' || 173cm || || '''체중''' || 92kg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워싱턴주]] [[https://www.google.com/maps/place/%EB%AF%B8%EA%B5%AD+98038+%EC%9B%8C%EC%8B%B1%ED%84%B4+%EB%A9%94%EC%9D%B4%ED%94%8C+%EB%B0%B8%EB%A6%AC/@47.3688242,-122.0732719,13z/data=!3m1!4b1!4m6!3m5!1s0x54906011c401012d:0xf2e18c3173574e6c!8m2!3d47.3903403!4d-122.0453589!16zL20vMDEwcmxf?entry=ttu|메이플 밸리(Maple Valley)]] || || '''성장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워싱턴주]] [[https://www.google.com/maps/place/%EB%AF%B8%EA%B5%AD+%EC%9B%8C%EC%8B%B1%ED%84%B4+%EC%8A%A4%EB%85%B8%ED%80%84%EB%AF%B8/@47.5272467,-121.8563164,14z/data=!3m1!4b1!4m6!3m5!1s0x549079b40263c9cb:0x6fb5d8496ad743dc!8m2!3d47.5287132!4d-121.8253906!16zL20vMDEwcnJ0?entry=ttu|스노퀄미(Snoqualmie)]] || || '''학력''' ||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 {{{-2 (운동학/학사, 미식축구팀)}}} || || '''시그니쳐 무브''' || 코너 텐카운트 너클파트[* 상대를 코너에 몰아넣고 세컨 로프 위에 올라선 다음 상대 머리에 10번 너클 파트를 먹인다. [[마카베 토우기]]의 상징기로도 유명.] [br] 익스팅션 엘보[* Extinction Elbow. 백 엘보 드랍으로, [[텐류 겐이치로]]가 애용하던 기술. 코너에 재빠르게 올라가 상대를 아예 바라보지 않으면서도 반동까지 주면서 엘보 드랍을 정확히 적중시키는 능력을 보여준다.][br] [[스피어(프로레슬링)|스피어]][* 크지 않은 키에도 미식축구 엘리트 출신 다운 훌륭한 임팩트와 속도를 보여주며, 신일본 내 스피어로는 최고로 꼽힌다. 클락이 왼손잡이라 왼쪽으로 들이받는다.] [br] 지프 플립[* Jeep Flip. 파운스와 동형기.] [br] 파워밤 핀 [br] '''파워슬램'''[* 반격기로도 사용하나, 다른 사용자들과 다르게 [[릭 스타이너]] 식으로 자신이 직접 달려가 사용하는 경우도 꽤 있다. 주로 트로피 킬의 셋업기로 쓰인다.] || || '''피니쉬 무브''' || [[스피어(프로레슬링)|스피어]] [br] 트로피 킬[* Trophy Kill. 스탠딩 히노타마 밤. 양 손으로 상대 하체를 잡고 들어올린 후 한 손을 상대 가랑이 사이로, 한손을 상대 허리에 얹은 후 상대를 잡고 거꾸로 뒤집은 다음 원 핸드 스탠딩 파워밤으로 내려꽂는 기술. '불덩이 애송이' 키쿠치 츠요시가 쓰던 히노타마 밤에서 싯아웃을 뺀 버젼이다.] [br] '''No Chaser'''[* 싱글 암 트랩 리프팅 DDT. 변형 블러디 선데이로, 블러디 선데이 준비자세에서 상대 팔을 자신의 목에 얹는 대신 상대 왼팔을 밑으로 두고 자신의 왼팔로 잡은 후 사용한다. 불릿 클럽 가입 후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30]]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피니셔. [[체이서#s-10]]란 서양권에서 위스키 등 독한 술을 마신 후 마시는 물 혹은 음료를 말하며, 이게 필요 없단 소리이다. 사용 직전 위스키 샷을 마시는듯한 포즈를 취하는 것이 특징.] || || '''테마곡''' || [[https://youtu.be/CJpsaNqA0eg|Clark's Theme]] - [[에디 소프|칼 프레드릭스]] (2021 - 2023.5)[* DJ 활동도 겸하고 있는 친한 동료 칼 프레드릭스가 만들어준 입장곡. 칼 프레드릭스가 신일본과 약간의 문제 끝에 갈라서서인지 몰라도 정식 제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br] '''[[https://www.youtube.com/watch?v=EOFRoFh0ETw|The Proof]] - [Q]Brick (2023.5 - )''' || || '''데뷔''' || 2017년 4월 15일 (23세) [br] [[오리건]] 허미스턴 [[https://www.google.com/maps/place/Eastern+Oregon+Trade+and+Event+Center/@45.8253998,-119.2568383,17z/data=!4m14!1m7!3m6!1s0x54a2b895aeb3eb81:0x2e0e50568d91febe!2sEastern+Oregon+Trade+and+Event+Center!8m2!3d45.8251868!4d-119.2566988!16s%2Fg%2F11c564j29p!3m5!1s0x54a2b895aeb3eb81:0x2e0e50568d91febe!8m2!3d45.8251868!4d-119.2566988!16s%2Fg%2F11c564j29p|이스턴 오리건 트레이드 앤 이벤트 센터]] [br] '''PCW'''[* Prestige Championship Wrestling.] 1 [br] vs 닉 도슨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larkconnors,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clark.connor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 '''주요 커리어''' ||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2020 NJPW 라이온스 브레이크 크라운 우승 || [youtube(_NoCrQtowoU)] [목차] == 개요 == [[파일:FYq-UcvXwAMQFQB.png]]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불릿 클럽]] 소속 선수. == 커리어 == 마운트 시 고등학교에서 [[러닝백]]과 [[코너백]]으로 대활약하며 킹 카운티 내 스타 [[미식축구]] 플레이어였던 클락은, 2013년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의 미식축구팀인 칼 폴리 머스탱에 입단하여 활동하면서 운동학을 전공한 후 대학을 졸업하고 프로레슬링계에 뛰어들어 2017년 4월에 데뷔하였다. === LA DOJO === 미국의 몇몇 단체를 포함해 [[ROH]]에서 잠깐 활동하며 자기어필을 했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정식 입단하여 영 라이온 생활을 이어오다 코로나 사태 때 LA 도장으로 넘어가, [[알렉스 코글린]] & [[에디 소프|칼 프레드릭스]] & [[가브리엘 키드]]와 함께 빅 4로 엮이며 활동하고 있다. [[TJP]]와도 태그팀을 형성하고 함께 활약하나 2021년 9월 26일에 [[윌 오스프레이]]가 새 멤버로서 TJP를 지명하고, 그가 자신을 공격하고 가입하면서 적으로 마주하게 되었다. 2022년에 [[AEW(프로레슬링)|AEW]]에 출연하게 되면서 AEW 다크에서 [[알렉스 코글린]] & 칼 프레드릭스 & 케빈 나이트 & 우에무라 유야와 팀을 이뤄 [[QT 마샬]]이 이끄는 더 팩토리 & 브릭 알드릿지 & 브레이크 일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포비든 도어 2022]]에서 [[이시이 토모히로]]의 부상으로 인해 대신 참가하면서 [[PAC]], [[미로(프로레슬러)|미로]], [[맬러카이 블랙]]을 상대로 AEW 올-아틀란틱 챔피언십 매치를 가졌다. 비록 맬러카이에게 암바를 당하던 사이 PAC의 450 스플래시를 팔에 맞고 큰 데미지를 입은 후 PAC의 브루탈라이저 연계가 이어져 팔의 데미지를 버티지 못하고 탭아웃 패했지만 날카로운 스피어로 미로가 링 바깥 코너에 세로로 설치해 놓았던 테이블에 미로를 역으로 쳐박았고, 블랙을 파워슬램으로 제압했으며 PAC에게 피니셔 트로피 킬까지 성공시키는 등 특유의 돌진력과 파워로 신일본 이외의 팬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기면서 LA도장 출신 중 원래 필두였던 칼 프레드릭스를 제치고 첫번째 겟아웃을 이루어 냈다. 선수 활동을 이어나가던 중 허리 부상을 당하면서 [[릭 플레어 라스트 매치]]에서 열린 나리타 렌과의 경기에 불참하면서 대타로 우에무라 유야가 참가하게 된다. NJPW에서 열린 44번 거리의 럼블에서 [[스즈키 미노루]]와 맞붙지만 패한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023]]에서는 [[트레이 미겔]], [[프랭키 카자리안]], [[리치 스완]], [[록키 로메로]], 케빈 나이트를 상대로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지만 트레이 미겔이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 [[불릿 클럽|100 Proof]] === 4월 15일, 캐피탈 콜리전 2023에서 불릿 클럽의 새로운 리더인 [[데이비드 핀레이]]의 소개로 등장하는데, 추후 핀레이가 코너스를 불릿 클럽 멤버로 인정하며 더 DKC를 공격하고 LA도장 탈퇴와 동시에 불릿 클럽의 멤버가 되었다. [youtube(m_B1xXRwy3g)]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30]]에 B블록으로 출전. 스페셜 PV까지 부여받고 매경기마다 게도가 세컨드를 서며 기대를 받았으나, B블럭 최후의 4인인 [[마스터 와토]], [[엘 데스페라도]], [[YOH]], [[로비 이글스]]와의 대전에서 전부 패배하며 일찌감치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도미니온 2023에서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쉽이 끝난 이후 갑자기 홀로 나와 도전을 표명하고 빈 입장로를 가르킨다. 시선이 집중된 순간 [[UNITED EMPIRE]]의 일원인 [[댄 몰로니]]가 TJP와 [[프란시스코 아키라]]의 등을 기습공격하고 배신하여 불릿클럽의 일원이 되면서 주니어 태그팀 타이틀 전선에 합류하였다.[* 자신이 전에 TJP에게 당했던 일을 똑같은 방법으로 간접 복수를 이룬셈.] 7월 4일에 열린 [[신일본 인디펜던스 데이]]에서 드릴라 몰로니와 같이 비샤몬을 꺾고 UNITED EMPIRE의 Catch 2/2(TJP & 프란시스코 아키라)를 꺾고 새로운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처음으로 챔피언 벨트를 만져본다. 2일차에서 결정된 즉석 타이틀매치에서 첫방어에 성공한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데이비드 핀레이 &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 & KENTA & 알렉스 코글린 & 클락 코너스가 팀을 이뤄 [[조쉬 알렉산더]] & [[PCO]] & [[엘 판타즈모]] &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 THE DKC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그 전날 펼쳐진 올 스타 주니어 페스티벌 USA 대회의 토너먼트에서 자신을 롤업으로 꺾은 [[케빈 나이트]]와 파트너 [[KUSHIDA]]를 상대로 방어전을 갖게 되었다. == 기타 == * [[랜스 스톰]]의 제자이다. NJPW LA 도조에서 가장 유망한 유망주 중 1명으로 꼽혀 LA의 [[시바타 카츠요리]]에게서도 트레이닝을 받았다.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93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킹 카운티(워싱턴 주) 출신 인물]][[분류: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