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설 == [[파일:The_Great_Stone_Face.jpg]] [[주홍 글자|주홍글씨]]로 유명한 [[너새니얼 호손]]이 1850년 발표한 단편소설. 원제는 Great Stone Face. 가상의 마을과 사람의 얼굴 모양을 하고 있는 바위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3차 ~ 5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3학년 2학기 마지막 단원으로 실리기도 했다.([[피천득]] 번역이고, 1975~1983년 발행된 교과서는 저자를 '호오도온'으로 표기하였다.) === 줄거리 === 미국에 있는 작은 마을. 이곳에는 큰 바위 얼굴이라 불리는 거대한 얼굴 모양의 바위산이 있다. 이 마을에 사는 평범한 주인공인 어니스트는 어린 시절부터 이 바위산을 보고 자랐으며, 어머니로부터 언젠가 저 바위산과 닮은 얼굴의 위대한 인물이 등장할 것이라는 전설[* 아메리카 원주민들 때부터 조상 대대로 전해지던 전설로 바람이 알려주고 자연이 알려줬다고 전해진다.]을 굳게 믿고 어린 시절부터 청년, 장년, 그리고 노년에 이르기까지 평생을 살면서 큰 바위 얼굴과 닮은 인물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는데 결과적으로 네 명을 만나게 된다. 어니스트가 소년기에 만난 첫 번째 인물은 개더골드(Gather Gold, 금을 긁어 모으다)[* 80년대 말엽까지만 해도 중학교 교과서에서 개더 고울드라는 이름으로 표기되기도 했었다.]라는 별명의 재력가. 영악하고 탐욕스러운 인상에다 구걸하는 거지에게 동전을 던져주는 모습을 보고 어니스트는 스캐터 코퍼(Scatter Copper, 동전을 뿌리는 자)가 어울릴 거라 생각했다. 실망한 어니스트는 큰 바위 얼굴을 바라보는데 그 얼굴은 실망하지 마라, 그는 반드시 나타난다! 라고 말해주는 거 같아서 다시 용기를 낸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 개더골드는 망해서 초라하게 몰락했고 비참하게 객사한다. 이는 [[수전노]]를 뜻한다. 세월이 흘러 청년 어니스트는 마을 내에서 목수로 지내면서 일을 돕고 있었는데 그가 만난 두 번째 인물은 올드 블러드 앤드 선더(Old Blood And Thunder, 유혈낭자한 노인)[* 과거 중학교 교과서에선 오울드 블럿 앤드 던더로 표기된 적이 있다.]라는 유명한 장군이었다. 어니스트는 그에게 강한 의지와 힘은 볼 수 있었지만, 그에게서 자애로움과 지혜는 볼 수 없었음을 깨닫는다. 하지만 큰 바위 얼굴은 '실망하지 말거라. 언젠가 때는 다시 올 것이다.'라며 말없이 위로한다. 이는 [[전쟁광]]을 뜻한다. 다시 세월이 흘러서 장년 어니스트는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며 목수로 일을 계속 하고 있었는데 그가 만난 세 번째 인물은 올드 스토니 피즈(Old Stony Phiz, 늙은 바위 얼굴)[* 과거 오울드 스토우니라고 표기했었다.]라는 성공한 정치가였다. 어니스트는 그가 큰 바위 얼굴처럼 당당하고 힘찬 외모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게서 큰바위 얼굴의 장엄함이나 위풍, 신과 같은 위대한 사랑과 같은 표정보다는 권력과 명예욕에 찌든 인상이 가득함을 알고 또 다시 실망한다. 큰 바위 얼굴은 '반드시 나타날 것이니 용기를 가지거라.'라며 말을 하는 듯 하다. 이는 정치꾼을 뜻한다. 어느덧 노년기에 들어선 어니스트가 만난 네 번째 인물은 시인이었다. 나이가 들어 노년기에 접어든 어니스트는 목수일을 자녀들에게 맡긴 뒤 목수 일에서 은퇴하고 사람들을 깨우치는 설교가가 되었고, 이번에는 그저 시인이라고 나오는 어느 유명한 시인의 시를 보고 감탄하며 큰 바위 얼굴을 보며 '이 사람이야말로 당신을 닮은 거 아닌가요?'라고 외치는데 얼굴은 미소짓는 거 같지만 대답하지 않은 느낌이었다. 그리고 그 시인을 우연히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던 어니스트는 이 사람이 그 시인임을 알게 되고 ~~얼굴이 큰바위와 달라서~~ 실망해한다. 하지만 시인은 그를 탓하지 않고 자신도 그러지 못해 미안하다고 말해준다. 시인 본인도 시를 쓰며 훌륭한 이상을 꿈꿨지만, 빈약하고 천한 현실 속에서 살기를 택하게 되고, 항상 신념을 지키지는 못한 채 현실과 타협하며 살아 왔음을 인정한다. 그래도 둘은 친하게 지낸다. 마지막에 어니스트의 설교를 들으러 온 시인은 어니스트가 곧 큰 바위 얼굴과 닮은 인물임을 알게 된다. 놀란 시인이 사람들에게 "보시오! 어니스트 씨야말로 저 바위 얼굴이랑 비슷하지 않은가요!?"라고 외치고 사람들이 비로소 닮은 사람이 나타났음을 알고 놀라지만 하지만 어니스트 본인은 자신보다 더욱 훌륭한 인물이 큰 바위 얼굴을 닮은 인물일 것이라고 말하며 그런 사람이 반드시 나타날 것이라고 차분하게 말을 끝내며 내려온다. 그리고 큰 바위 얼굴은 어니스트의 말처럼 말없이 어니스트가 그리는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 === 평가 === 호손의 다른 작품처럼 상당히 교훈적인 성향이 강하다. 현실의 부, 권력, 명예 등을 가진 자들 보다 끊임없는 자기 반성과 성찰을 바탕으로 사람들에게 사랑과 지혜를 가르치는 인물이 더 큰 인물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여담 === 호손이 직접적인 모델로 삼은 얼굴 모양의 바위산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선 여러 장소가 후보로 올라 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곳은 [[버몬트]] 주와 [[뉴햄프셔]] 주의 경계에 위치한 캐논 산맥의 정상 부근에 있는 The old man view이다. 이 바위 얼굴상은 미국에서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으나 2003년 5월에 무너져 없어졌다.[[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8/Old_Man_of_the_Mountain_overlay_2.jpg|현재 사진과 무너져 없어진 얼굴같은 바위를 덧입힌 사진.]] [[큰 머리|머리가 큰 사람]]을 놀리는 말투로도 쓰인다. ~~[[대탈출/악령감옥|대탈출]]에도 나온다.~~ == 가수 == 천민찬, 김일곤, 장제화가 결성한 남성그룹, 큰 바위 얼굴. == [[러시모어 산]]에 있는 대통령 조각상의 별칭 == 항목 참조. 큰 바위 얼굴 소설이 나온지 한참 후인 1927년에 착공, 1941년 완공된 조각상이므로 소설의 모티브가 이 장소라고 하면 안 된다. 반대로 대통령 조각상의 모티브는 이 소설에서 착안했다고 할 수 있다. [[분류:미국 단편소설]][[분류:19세기 문학작품]][[분류:3인조 음악 그룹]][[분류:1941년 건설]][[분류:1941년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