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유희왕/OCG]]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rimsonSentry-DL3-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크림슨 여수호병'''|| || 일어판 명칭 ||<-4>'''[ruby(紅蓮, ruby=ぐれん)]の[ruby(女守護兵, ruby=おんなしゅごへい)]'''|| || 영어판 명칭 ||<-4>'''Crimson Sentry'''||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화염]] || [[유희왕/종족|전사족]] || 1500 || 1200 || ||<-5>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제물로 바친다. 이 턴에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자신의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 1장을 덱의 맨 아래로 되돌린다.|| 자신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이 턴에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를 덱 맨 밑으로 되돌리는 [[기동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그 턴에 전투로 파괴된 몬스터 1장을 덱의 맨 아래로 되돌리는 효과가 들어가있지만, 그럴바에는 그냥 [[탐욕의 항아리]]같은거 쓰는게 훨씬 더 낫다. 전사족이라 [[증원(유희왕)|증원]]이나 [[전사의 생환]]으로 쉽게 서치 할 수 있지만,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파괴된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는 의미는 다시 한 번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인데, 그게 또 하필 덱의 맨 아래로 가버려서 사용하기 더더욱 힘들어진다. 셔플 하면 덱의 맨 아래는 벗어나지만, 굳이 그렇게까지 해서 쓸 필요는 없다. 이 카드와 비슷한 카드로는 레이디 팬서가 존재한다. 그 카드는 덱의 맨 아래가 아닌 덱의 맨 위로 올리는건데, 둘 중 하나를 사용할거면 차라리 레이디 팬서를 사용하는게 더 효과적이다. [[검투수]] 덱에서 다시 퍼올려와 써먹을 수 있긴 하지만... ~~절레절레~~ == 관련 카드 == === [[레이디 팬서]] === === [[성녀 잔느|자비심 깊은 수도녀]] === 항목 참조. 위의 둘을 쌈싸먹는 [[상위호환]]인 녀석이다. 제물로 바친 후에 바로 패로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속성, 종족, 스테이터스 등이 다르니까 그걸로 차별화를 하겠다고 한다면 할 수는 있을 것이다. === [[픽시 가디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