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크린키 전투'''}}}[br]''' '''[*우 우크라이나어][br]''' '''[*러 러시아어][br]'''Battle of Krynky'''}}} || ||<-2> {{{#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 [[2023년]] [[6월 26일]] ~ '''진행중''' || ||<-2> '''{{{#fff 장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include(틀:지도, 장소=우크라이나 헤르손주, 높이=200, 너비=100%)]}}}주요 격전지 :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크린키 일대 || ||<-2> '''{{{#fff 교전국}}}'''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3)]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크기=23)] || ||<-2> '''{{{#fff 병력}}}''' || || [[우크라이나군]][br]제46공중강습여단 || [[러시아 연방군]][br][[제810근위해군보병여단]] || ||<-2> '''{{{#fff 피해규모}}}'''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br]'''집계 중'''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br]'''집계 중''' || ||<-2> '''{{{#fff 결과}}}''' || ||<-2> '''진행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TiAkPB7uz-w)] 2023년 6월 26일부터 헤르손주 크린키 일대에서 벌어지는 전투이다. 우크라이나군의 자포리자 공세와 함께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우크라이군이 다치 지역을 확보했고 교두보 여러 개를 설치했으며 6월 27일에는 올레쉬키 외곽 지역까지 도달했지만 8월이 되도록 별다른 진격을 하지 못하고 소강상태에 놓여있는 상태였는데 10월 중순에 우크라이나가 다시 크린키 지역일대에 상륙해서 교두보를 확보했다.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은 역시 2개월이 지난 12월말까지 크린키를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악전고투하고 있다 == 경과 == === 6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0626 헤르손 전선.jpg|width=100%]] }}} || || '''06.26.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가 [[드니프로강]]을 도하하여 올레쉬키 앞의 야지에 상륙하는데에 성공하였다. * 6월 27일, 우크라이나가 올레쉬키 시내 앞까지 도달하여 M-14/M-17국도와 P-57 국도 분기점을 경계로 러시아군과 대치 중이다. * 6월 30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측 안토노우스키 대교 잔해에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명중시켰다. === 7월 === * 올레쉬키 시내로 진입하는 도로에서 러시아군이 공격받았고. 이들은 후퇴했다. [[https://twitter.com/NOELreports/status/1680567955560570881|#]] 해당 지역의 지리 좌표는 [[https://www.google.com/maps/place/46%C2%B038'24.9%22N+32%C2%B043'22.1%22E/@46.649085,32.7099811,13.54z/data=!4m4!3m3!8m2!3d46.6402411!4d32.7228031?entry=ttu|이곳]]이다. === 8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F3HdPV9WEAASbo6.jpg|width=100%]] }}} || || '''08.09. 기준 피드스텝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의 소규모 특수부대가 드니프로 강을 건너 헤르손주 카자치 라헤리 서쪽 지역에 상륙해서 교전중이다. * 8월 12일, 친우 오신트에 의하면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 건너에 있는 코자차 라헤리 외곽에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한다.[[https://t.me/operatyvnii/11248|#]] === 10월 === 산발적으로 전투가 지속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11여단이 전과를 올리기도. [[https://twitter.com/bayraktar_1love/status/1708443899222544795|#]]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0.01.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0.01.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10월 18일, 친러 성향 공개정보 소식통 '라이바'가 우크라이나 병력 일부가 도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https://www.mk.co.kr/news/society/8897755|#]]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1021_003244.jpg|width=100%]] }}} || || '''10.20.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러시아 소식통들은 이번 주 초 우크라이나가 드니프로 강을 건넜다는 보도를 적어도 두 곳에서 부분적으로 확인했다. * 우크라이나는 이전에도 러시아군이 점령한 강가에 있는 진지를 급습하기 위해 건널목을 설치한 적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1021_003248.jpg|width=100%]] }}} || || '''10.20. 기준 포이마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1021_003250.jpg|width=100%]] }}} || || '''10.20.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0 24 헤르손.jpg|width=100%]] }}} || || '''10.24.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0 24 포이마.jpg|width=100%]] }}} || || '''10.24. 기준 포이마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드니프로 강의 남쪽 제방에서 추가 위치를 차지했다. === 11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1110_231228.jpg|width=100%]] }}} || || '''11.09.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드니프로 강 동안에 위치를 잡고 크린키에서 지배권을 확장했다. * 11월 15일,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 안드리 예르막은 우크라이나군이 드니프로강 동쪽 기슭에 주둔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그러면서 크림 반도로 진격하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하지만 막상 기사를 작성한 가디언지는 사실상 실패한 우크라이나의 대반격과 지진부진한 전쟁 상황에 대해 서방의 지원을 유지하려고 노력의 일환으로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더구나 우크라이나 관리들이 밝히기론 불과 수십 명에서 수백 명의 병력만이 주둔하고 있으며 그들은 러시아 포병과 드론의 강력한 포격에 직면하고 있다고 한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nov/15/ukrainian-foothold-over-dnipro-at-kherson-as-zelenskiy-says-avdiivka-costly-to-russian-war-effort|#]]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1.19. 기준 크린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1.19. 기준 크린키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크린키 정착지 내 드니프로강 남쪽 강변을 따라 통제권을 확장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1.26. 크린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1.26. 크린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이 크린키에서 교두보 통제를 계속 유지하면서 드니프로강 남쪽 기슭의 회색지대로 통제권을 확장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비록 크린키의 강변의 통제권을 확장하고 있지만 전력적으로 가치가 전혀 없는 지역이고 무엇보다도 전진을 전혀 못하고 있다. == 12월 == * 푸틴 대통령이 12월 14일 기자회견에서 게라시모프 참모총장에게 크린키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지 말라고 지시했다.우크라이나군이 더 많은 병력을 투입해 소모시키는 것이 러시아에게 유리하다는 것이다.[[ https://blog.naver.com/paxeurasia/223292935456|#]] * 뉴욕타임스가 16일에 드니프로 강을 건너 크린키 전투에 참여한 우크라이나 해병대원 6명과 인터뷰한 내용을 보도했는데, 우크라이나 정부 당국자들의 긍정적인 전황 보고와는 달리 드니프로강의 전투는 잔혹하고 끔직한 자살임무였다고 한다.[[https://v.daum.net/v/20231217182338920|#]] == 기타 정보 == === 올레쉬키 진격의 이유 === 올레쉬키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중 하나이다. [[올레쉬키]]는 [[크림반도]]의 아르미얀스크와 직결되는 고속도로가 있는 곳으로, 러시아 입장에서는 크림반도와 연결되는 우크라이나 방향 고속도로는 M-17 고속도로와 M-18 고속도로밖에 없다. 올레쉬키의 M-17 고속도로를 따라 브릴리우카와 칼란차크를 지나면 그대로 크림반도와 직결되어 있는 곳이라 이곳이 뚫리면 우크라이나군이 [[드니프로강]]을 지나 크림반도에 진입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드니프로 강이 바닥을 보일 정도로 말라버려서 도하 난이도가 매우 낮아졌다.[[https://www.themoscowtimes.com/2023/06/13/russian-shelling-kills-ukraine-priest-in-churchyard-a81496|#]],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5963403|#]] 하지만 12월이 다 되도록 우크라이나군은 상륙지점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잇다. === 진격이 더딘 이유 === 원래 [[2023 우크라이나 대반격]] 작전의 공격 루트는 자포리자와 도네츠크 방면이고 헤르손 지역은 처음부터 공세 지역이 아니었다. 더구나 심각한 병력부족때문에 헤르손 지역으로 병력을 재배치해서 대규모 공세를 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래서 우크라이나군의 헤르손 지역에 대한 공세는 어디까지나 소규모 병력을 투입한 시선분산용 공격에 불과하고 처음부터 진지하게 크림 반도로 진격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었다.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2023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