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Sangan-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4>'''크리터'''|| || 일어판 명칭 ||<-4>'''クリッター'''|| || 영어판 명칭 ||<-4>'''Sangan'''|| ||<-5> 일반 몬스터[br]효과 몬스터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3.] || 어둠 || 악마족 || 1000 || 600 || 원작 DEATH-T 편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카이바 세토]]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수비 표시로 소환된 후 별 활약 없이 원작의 [[어둠의 에너지(유희왕)|어둠의 에너지]]로 파워업한 [[어둠의 어릿광대|어둠의 어릿광대 사기]]에게 격파당하는 벽 몬스터였을 뿐이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도 1화에서 같은 역할로 잠시 등장했으나, 이후 오리지널 에피소드들을 통해 OCG판으로 재등장함으로써 [[검은 숲의 마녀]]와 함께 [[레베카 홉킨스]]를 비롯하여 [[무토우 유우기]], [[어둠의 바쿠라]] 등 다양한 듀얼리스트들이 활용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Sangan-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크리터'''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クリッター'''|| || 영어판 명칭 ||<-4>'''Sanga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악마마족 || 악마족 || 1000 || 600 || ||<-5>세 눈의 소형 악마. 어둠 속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유희왕 마듀 메이트 크리터.jpg|width=100%]] >'''3개의 눈을 가진 작은 악마.''' >'''마계 / 현세 / 명계 등 다양한 세계를 돌아다니며, 파란만장한 여러 체험을 한 것 같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 설명 >'''"자, 나와라! 크리터!"''' >---- >[[어둠의 바크라(유희왕 듀얼링크스)|어둠의 바크라]],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미스테이크(유희왕)|차를 잘못 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어서오세요~ 크리터!"''' >----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효과도 그렇고 [[검은 숲의 마녀]]와 쌍을 이루는 카드. 검은 숲의 마녀와 융합하면 [[크릿치]]가 된다. 또한 [[크리보]]와 이름이나 생김새가 약간 비슷하다. 원래 이름과는 전혀 딴판인 영어명 'Sangan'은 초기 카드들에서 흔히 보이는 '일본어로 영어명 만들기'의 결과물. 눈이 세 개 있다고 해서 '三眼(삼안)'의 일본어 발음을 적은 것이다. 비슷한 카드로 필드 마법 [[종족 필드 마법|어둠]]이 있다. 이 경우는 '[[금빛 어둠|Yami]]'. 국내에선 [[듀얼리스트 세트]] 다크 리터너 발매가 크리터 금지 이후로 늦어지는 바람에, 원래 그대로 갖고 놀라고 만들어 놓은 구축 완료 덱에 금지 카드인 이 카드가 들어가 있어서 그대로 못 쓰는 황당한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 최초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20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크리터, 일어판명칭=クリッター, 영어판명칭=Sangan,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6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덱에서 공격력 1500 이하인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하지만 OCG로 등장한 이 카드는 [[유희왕]]의 등장 카드 중에서 [[검은 숲의 마녀]]와 함께 유언 계열 몬스터의 선두 주자로 알려져 있는 메이저 몬스터다. 공격력 1500 이하기만 하면 어떤 거라도 서치할 수 있고, 필드 위에 소환되면 일단 다른 몬스터의 소환에 발판이 되기 때문에 상당히 좋다. 강제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일이 없는지라 어드벤스 소환의 릴리스용이나 코스트, 또는 [[싱크로 소환]] 등으로 묘지로 가도 효과가 발동하기에 상당한 범용성을 자랑한다. 온갖 보통 비트다운 덱은 물론, 몬스터를 패로 불러오는 카드인 만큼 [[엑조디아]] 덱에도 투입 가능. 이 카드 이후로도 비슷한 효과의 카드들은 많이 나왔지만 대부분 임의 효과라 타이밍을 놓치기 쉽거나 전투 파괴 시 한정으로 되어있는 등 위력이 더 약하다. [[바이올렛 마녀]]나 [[고키폰]]처럼... 그나마 언데드 덱 한정으로 위력이 크리터에 맞먹는 [[고블린 좀비]]가 있다. 고블린 좀비와 같이 언데드 덱에 이 카드를 우겨넣고 서치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이 존재한다. [[언데드 월드]]와 함께라면 더더욱 말이 필요 없다. 혹은 [[정기를 흡수하는 골탑]] 서치용으로 우려먹거나. 특유의 효과는 처음 나왔을 때는 '''"필드 위에서"'''라는 텍스트가 빠져서 어떻게든 묘지로 보내면 됐지만, Metal Raiders에 재록되면서 2년도 안 돼 에라타됐다. 이로 인해 [[마인드 크러시]] 등으로 패에서 버려지거나, 묘지로 가기 전에 [[매크로 코스모스]] 등으로 제외되면 효과는 쓸 수 없다. 또,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사용한 후 나중에 효과 발동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질 경우에도 엑시즈 소재를 '필드 위의 카드'로 취급하지 않으므로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사실 이 조건이 붙은 것도 [[에라타]]. 비슷한 사례로 [[희생의 제물]], [[검은 숲의 마녀]]가 있다. 이후 이 카드와 능력치가 똑같은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가 나왔다. 본래 제한을 먹었었기에 꽤 오랫동안 노리고 서치해 쓰는 게 힘들어 그냥 패에 잡히는 대로 쓰는 정도였지만, 이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의 등장으로 인해 빠르게 서치해서 효과를 쓰는 게 굉장히 쉬워졌다. 때문에 [[레스큐 래빗|크리터를 쓰지 않으면]] [[메타모르 포트|서치하기가 난감한]] 카드들도 자연 사용 속도가 더 빨라졌고, 결과적으로 이들을 주축으로 삼는 덱들도 강해진 상태였다. 강력함 범용성과 데스가이드, 레스큐 래빗과의 연계 때문에 9년 만인 2013년 3월 1일에 다시 금지가 되고 위의 이야기는 전부 다 옛날이야기가 됐다. 덕분에 데스가이드를 쓰는 덱은 안정성이 매우 떨어졌으며, [[암흑계|암흑계의 사냥꾼 브라우]]나 [[마굉신 레이븐]] 서치용으로 애용하던 [[암흑계]] 역시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레스큐 래빗]]을 주축으로 쓰는 덱들 역시 마찬가지. 결투의 의식편에서 유우기의 영혼에서 듀얼할 때 그 카드가 나와 그 효과로 패에서 넣고 섞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카드에 설명이 안 나와있지만 덱을 셔플하는 효과가 있는 듯하다.] 거기다 데스가이드에서 이어지는 버스 시리즈에선 진짜 [[동족 감염 바이러스|다른]] [[야타 까마귀|금지]] [[마도 사이언티스트|카드]]들과 [[고인드립]]을 당했다. 코나미가 작정하고 크리터의 금지 자체를 네타화한 것 같았다. '''그리고...''' ==== 에라타(2016/4/1~) ==== [[파일:クリッ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크리터, 일어판명칭=クリッター, 영어판명칭=Sangan,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6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공격력 1500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턴에\, 자신은 이 효과로 패에 넣은 카드 및 그와 같은 이름의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유희왕 퍼펙트 룰북 2016에서 에라타된 크리터가 동봉되고, 2016년 4월 1일에 제한으로 풀렸다. 본의 아니게 2번이나 대폭 에라타된 카드. 에라타 전과 달라진 점은, 효과 사용에 명칭 지정으로 1턴에 1번이 붙었고, 서치한 카드 & 같은 이름의 카드에 발동 제약이 걸렸다는 것이다. 제약 부분에서 굳이 "몬스터"가 아니라 "카드"라고 된 것은 [[펜듈럼 몬스터]] 때문. 아래의 특정 케이스를 제외하면, 그 턴 동안에 서치한 펜듈럼 몬스터를 펜듈럼 존에 놓는 것(=발동하는 것)도 당연히 불가능하다. 단,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혜안의 마술사]]와 같이 서치한 or 동명 펜듈럼 몬스터를 발동하는 것으로 취급하지 않는 행위로 펜듈럼 존에 놓는 것, 서치한 or 동명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 소환한 몬스터의 지속 효과가 적용되는 것엔 제약이 없다. 효과는 아니지만 [[효과 외 텍스트]] 또한 적용된다. 이후 OCG에선 2016년 7월에 준제한, 2016년 10월에 무제한으로 풀려났다. TCG에선 2017년 3월 31일에 바로 무제한으로 풀려났다. 후에 17년 1월 금제로 [[검은 숲의 마녀]]도 같은 형식으로 에라타되어 복귀하였다. [[크릿치]]를 정규 융합할 수 있게 된 건 덤... [[암령신 오블미라지]]는 에라타 전의 크리터의 효과를 사용할 수 있는 [[령신]]이다. 최신 분기의 얼터가이스트는 크리터와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를 이용해 제한을 먹은 멀티페이커를 서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원 포 원]]의 준제한으로 크리터는 [[얼터가이스트]]에서 빠지게 되었고, 신수의 [[파라디온]]은 효과 발동이 아니어서 이 카드로 서치하고 바로 특수 소환해서 하리파이버로 이어가는 전개가 발견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드라군솔라스 덱이 발명되었다. 크리터의 붐이 다시 온 것이다. 과거에는 마법사족을 지원하는 카드의 벨류가 상대적으로 나아서 검은 숲의 마녀가 더 좋았지만, 이 카드가 레벨 3, 악마족, 공격력 1000 이하라는 점에서 현대에 발매된 각종 서포트를 다 받아 크리터의 활약이 가능해진 것이다. 데스가이드와 피안을 채용하는 가구 축 라뷰린스에서도 한 장 투입된다. 보통 초반에 데스가이드의 효과로 나와 케루비니를 소환한다. 후공돌파가 필요할 경우 DDD 다리우스->DDD 데스 마키나 혹은 아제우스로 연결하는 것 도 가능하다.[* 다만 후술한 대로 크리터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로서 묘지에 보내지면 발동하지 않으므로, 크리터보다는 스칼라마리온이나 퍼파렐을 꺼내서 소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크리터로는 상황에 맞는 패트랩, 다음 턴을 위한 데스가이드, 후속 혹은 패 코스트를 위한 스토피와 샹드라, 레라뷰 소환 후 함정을 바로 격발시키기 위한 쿠클락, 마찬가지로 패 코스트로 쓸 수 있고 퍼미션을 마련해주는 퍼파렐 등을 찾아오는 다재다능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크리터가 패에 잡혀도 크리터 일반 소환 후 알미라지를 소환해 전술한 몬스터들을 챙겨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는데,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 발동으로 묘지로 간 것은 ①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공격명은 '크리터 춉'으로 밝혀졌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볼륨(유희왕)|Vol.6]]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METAL RAIDERS-]] || ME-08 ||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城之内編-]] || JY-18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海馬編-]] || KA-18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 KA-18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4 || DL4-009 ||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遊戯編- Volume.2]] || SY2-016 || [[노멀]] || 일본 || 절판 || || 公認大会賞品(2004年7月) || PC4-003 || [[노멀]][br][[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비매품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BE2-JP042 || [[레어]] || 일본 || 절판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 GS01-JP006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 || [[데블즈 게이트|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デビルズ・ゲート-]] || SD21-JP019 || [[노멀]] || 일본 ||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第7期)]] || BE02-JP034 || [[슈퍼 레어]] || 일본 || || || デュエリストボックス2012 || DB12-JP006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2|スターターデッキ(2012)]] || ST12-JP016 || [[노멀]] || 일본 || 절판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06 || [[골드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デュエリストセット Ver.ダークリターナー]] || DS13-JPD22 || [[노멀]] || 일본 || || || パーフェクトルールブック2016 付属カード || RB03-JP001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에라타[br]절판 || || [[스타터 덱 2017|STARTER DECK(2017)]] || ST17-JP013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2018)]] || ST18-JP015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 2019|STARTER DECK(2019)]] || ST19-JP017 || [[노멀]] || 일본 || 절판 || || [[정령술의 마스터|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精霊術の使い手-]] || SD39-JP020 || [[노멀]] || 일본 || ||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 DR02-JPA11 || [[노멀]] || 일본 || ||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 DR02-JPC11 || [[노멀]] || 일본 || ||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 DR02-JPD10 || [[노멀]] || 일본 || ||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 MRD-069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Starter Deck: Joey]] || SDJ-019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Evolution]] || SYE-018 || [[노멀]] || 미국 ||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 DB2-EN042 || [[레어]] || 미국 || || || Hobby League 2 || HL2-EN003 || [[울트라 레어|울트라]] [[패러렐 레어]] || 미국 || 비매품 || || Retro Pack || RP01-EN036 || [[슈퍼 레어]] || 미국 || || || Dark Legends || DLG1-EN037 || [[슈퍼 레어]] || 미국 || || || Gold Series 2009 || GLD2-EN001 || [[골드 레어]] || 미국 || || || Turbo Pack: Booster Six || TU06-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비매품 || || [[데블즈 게이트|Structure Deck: Gates of the Underworld]] || SDGU-EN017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Xyz Symphony]] || YS12-EN016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 LCYW-EN120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Rivals of the Pharaoh]] || DPRP-EN038 || [[노멀]] || 미국 || 에라타 || || Legendary Decks II || LDK2-ENY21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7|Starter Deck: Link Strike]] || YS17-EN013 || [[노멀]] || 미국 || 절판 || || Toon Chaos || TOCH-EN026 || [[레어]] || 미국 || ||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 LDS3-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강철의 습격자]] || MRD-K06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조이 편 -]] || SDJ-KR019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에볼루션]] || SYE-KR018 || [[노멀]] || 한국 ||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 BP2-KR042 || [[레어]] || 한국 || ||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1]] || ESP1-KR003 || [[노멀]] || 한국 || || || [[데블즈 게이트|스트럭처 덱 - 데블즈 게이트 -]] || SD21-KR019 || [[노멀]] || 한국 || ||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X-세이버 - 스페셜 에디션 -]] || XS12-KR010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2]] || ST12-KR016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듀얼리스트 세트 Ver.다크리터너]] || DS13-KRD22 || [[노멀]] || 한국 ||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6 Vol.1]] || AE09-KR001 || [[시크릿 레어]] || 한국 || 에라타[br]비매품[br]절판 || || [[스타터 덱 2017]] || ST18-KR013 || [[노멀]] || 한국 || 절판 || || [[스타터 덱 2018]] || ST18-KR015 || [[노멀]] || 한국 || 절판 || || [[스타터 덱 2019]] || ST19-KR017 || [[노멀]] || 한국 || 절판 || || [[정령술의 마스터|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 SD39-KR020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검은 숲의 마녀]] === === [[크릿치]] === ===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 === [[암령신 오블미라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리터, version=62)] [[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