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 세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SSG 랜더스 외국인 선수)] ---- ||
'''크리스 세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ffffff 2013 KBO 리그 다승왕}}}''' || ---- ||<-5> '''{{{#C9C0BB [[마이애미 말린스|{{{#C9C0BB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59번}}}''' || || [[기예르모 모타]][br](2004~2005) || → || '''{{{#FFFFFF 크리스 세든[br](2007)}}}''' || → || [[브렛 헤이스]][br](2009)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2번}}}''' || || [[카를로스 실바]][br](2008~2009) || → || '''{{{#ffffff 크리스 세든[br](2010)}}}''' || → || 챈스 러핀[br](2011)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44번}}}''' || || 댄 휠러[br](2012) || {{{+1 →}}} || '''{{{#FFFFFF 크리스 세든[br](2012)}}}''' || {{{+1 →}}} || [[미키 캘러웨이]][br](2013) || ||<-5>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fff 등번호 10번}}}''' || || [[조동화]][br](2007~2012) || {{{+1 →}}} || '''{{{#fff 세든[br](2013)}}}''' || {{{+1 →}}} || 박상현[br](2014) || ||<-5> '''{{{#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49번}}}''' || || 매니 아코스타[br](2013) || {{{+1 →}}} || '''{{{#ffffff 세든}}}[br]{{{#ffffff (2014)}}}''' || {{{+1 →}}} || 아론 포레다[br](2015~2016) || ||<-5> '''{{{#ffffff [[라쿠텐 몽키스|{{{#ffffff 라미고 몽키스}}}]] 등번호 23번}}}''' || || 우쥔이[br](2013~2014) || {{{+1 →}}} || '''{{{#05253e 선둔[br](2015)}}}''' || {{{+1 →}}} || [[코리 리오단|레이뚠]][br](2015) || ||<-5>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fff 등번호 54번}}}''' || || [[박상현(야구)|박상현]][br](2015~2015.7.) || {{{+1 →}}} || '''{{{#fff 세든[br](2015.7.15.~2016.6.20.)}}}''' || {{{+1 →}}} || [[유서준]][br](2017) || ||<-5> '''{{{#ffffff [[푸방 가디언스|{{{#ffffff 푸방 가디언스}}}]] 등번호 23번}}}''' || || 린잉치에[br](2013~2016) || {{{+1 →}}} || '''{{{#005295 선둔[br](2017)}}}''' || {{{+1 →}}} || 양친하오[br](2018~) ||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052164_455828268133714_8584148519433011200_n.jpg|width=100%]]}}} || ||<-2> '''{{{+2 크리스 세든}}}[br]Chris Seddon''' || || '''본명''' ||크리스토퍼 존 세던 / Christopher Jon Seddon || ||<|2> '''출생''' ||[[1983년]] [[10월 13일]] ([age(1983-10-13)]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노스리지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캐니언 고등학교 || || '''신체''' ||193cm / 9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01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39번, [[탬파베이 레이스|TBD]]) || || '''소속팀''' ||[[플로리다 말린스]] (2007)[br][[시애틀 매리너스]] (2010)[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2)[br]'''[[SK 와이번스]] (2013)'''[br][[요미우리 자이언츠]] (2014)[br][[라미고 몽키스]] (2015)[br][[SK 와이번스]] (2015~2016)[br][[푸방 가디언스]] (2017) || || '''지도자'''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s-7.3.2|인랜드 엠파이어 식스티식서스]] 투수코치 (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출신의 야구코치이자 前 야구선수, 현역시절 포지션은 [[투수]]이며 좌완이다. ==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선수 경력]] == ||
'''{{{#000 크리스 세든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 '''통합 선수 경력''':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 || ||<-4> [[MLB|[[파일:MLB 로고.svg|width=45]]]]''' / '''[[MiLB|[[파일:MILB 로고(1999~2007).svg|width=45]][[파일:MILB 심볼(2008~2021).svg|width=45]]]]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30%, #0c2c56 35%, 65%, #e31937 70%)"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s-1|'''{{{#c9c0bb 미}}}{{{#c4ced4 국}}} {{{#ffffff 시절}}}''']]}}} || ||<-4>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s-2|'''{{{#white 2013년}}}''']] ||<-2>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2015년|'''{{{#white 2015년}}}''']] ||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2016년|'''{{{#white 2016년}}}''']] || ||<-4>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45]]]] || ||<-4>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s-3|{{{#fe5a1d '''2014년'''}}}]]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477a 45%, #005295 55%)" [[대만 프로야구 리그|[[파일:CPBL 로고.svg|width=60]]]]}}} || ||<-2>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s-4|{{{#FFFFFF '''2015년'''}}}]] ||<-2> [[크리스 세든/선수 경력#s-6|{{{#FFFFFF '''2017년'''}}}]] || }}}}}}}}} || == 은퇴 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리스 세든 시구.jpg|width=100%]]}}} || [[2017년]]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 에인절스]] 산하 하이싱글A 팀인 인랜드 엠파이어 식스티식서스의 투수코치로 새 야구 인생을 시작했다. 한 시즌 동안 지도를 하다가 타격코치인 브라이언 베탄코트와 함께 팀에서 퇴단했다. 2023년 3월 19일 캐니언 컨트리 리틀 리그 60주년을 맞이해 개막전 시구를 했다. 세든은 캐니언 고등학교에서 활약한 바 있고 2001년 드래프트 5라운드에서 템파베이 레이스의 지명을 받기도 했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든 삼진.gif|width=100%]]}}} || || '''126km/h 패스트볼이 아니고 슬라이더다'''[* KBO 리그 1기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구속이 꽤나 나왔으나 NPB 진출 이후로 구속이 하락하기 시작했고, 결국 커리어를 마감할 때 까지 회복에는 실패했다.][br]vs [[최형우]] (2015년 9월 2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든 커브.gif|width=100%]]}}} || || '''119km/h 커브'''[br]vs [[박석민]] (2015년 9월 25일) || 최고구속 140km 중반의 속구를 뿌리며[* [[2014년]]에는 투구폼 수정과 부상으로 밸런스가 무너져 패스트볼 구속이 떨어졌고, [[2015년]]에 SK로 복귀하고 나서도 2013년 시절의 구위, 구속을 회복하지는 못한 모습이다. 하지만 시즌 후로 갈수록 구위를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 재계약에는 성공.] 정교한 제구력을 바탕으로 변화각이 예리한 커브나 슬라이더로 타이밍을 승부하는 컨트롤형 투수다. SK 시절에는 K/BB가 3에 육박하는 좋은 제구력을 지녔으며 탈삼진 능력도 수위급에 들어갔다. 이닝 이팅 능력도 상당해서 동료 좌완 용병 [[조조 레이예스]]와 함께 이닝 1, 2위를 책임졌다. 투구 동작에 들어가기 전에 글러브를 팔랑거리는 버릇이 있다. 2013 시즌 초반에는 여러모로 역대급 용병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하필이면 함께 영입된 용병 조조 레이예스가 개막전에서 엄청난 임팩트를 뿜어내며 극강의 에이스라는 평가를 받았고, 본인은 그 다음 경기에서 영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던지라 상대적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덜 받았다. 6월 이후로는 레이예스가 부진하면서 팀 내 에이스로 반등하여 평균자책점이나 승리, 탈삼진 등 각종 지표에서 선두권을 달리며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되었고 리그 수위급 에이스로 각광받았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00a3e0 연도}}} || {{{#00a3e0 소속팀}}} || {{{#00a3e0 경기수}}} || {{{#00a3e0 이닝}}} || {{{#00a3e0 승}}} || {{{#00a3e0 패}}} || {{{#00a3e0 세}}} || {{{#00a3e0 홀}}} || {{{#00a3e0 승률}}} || {{{#00a3e0 ERA}}} || {{{#00a3e0 피안타}}} || {{{#00a3e0 피홈런}}} || {{{#00a3e0 4사구}}} || {{{#00a3e0 탈삼진}}} || {{{#00a3e0 실점}}} || {{{#00a3e0 자책점}}} || {{{#00a3e0 WHIP}}} || || 2007 || [[마이애미 말린스|FLA]] || 7 || 17⅓ || 0 || 2 || 0 || - || 0.000 || 8.83 || 29 || 2 || 6 || 10 || 19 || 17 || 1.962 || || {{{#c4ced4 연도}}} || {{{#c4ced4 소속팀}}} || {{{#c4ced4 경기수}}} || {{{#c4ced4 이닝}}} || {{{#c4ced4 승}}} || {{{#c4ced4 패}}} || {{{#c4ced4 세}}} || {{{#c4ced4 홀}}} || {{{#c4ced4 승률}}} || {{{#c4ced4 ERA}}} || {{{#c4ced4 피안타}}} || {{{#c4ced4 피홈런}}} || {{{#c4ced4 4사구}}} || {{{#c4ced4 탈삼진}}} || {{{#c4ced4 실점}}} || {{{#c4ced4 자책점}}} || {{{#c4ced4 WHIP}}} || || 2010 || [[시애틀 매리너스|SEA]] || 14 || 22⅓ || 1 || 0 || 0 || - || 1.000 || 5.64 || 21 || 4 || 10 || 16 || 14 || 14 || 1.38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2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CLE]] || 17 || 34⅓ || 1 || 1 || 0 || - || 0.500 || 3.67 || 35 || 2 || 14 || 18 || 15 || 14 || 1.39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3 || [[SK 와이번스|SK]] || 30 || '''187⅓'''[br](4위) || {{{#red,#ff0000 '''14'''}}}[br](1위) || 6 || 0 || 0 || '''0.700'''[br](5위) || '''2.98'''[br](3위) || 169 || 14 || 84 || '''160'''[br](2위) || 65 || 62 || 1.29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4 ||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10 || 52 || 4 || 5 || 0 || 0 || 0.444 || 4.67 || 58 || 5 || 20 || 37 || 27 || 27 || 1.500 || || {{{#fe5a1d 연도}}} || {{{#fe5a1d 소속팀}}} || {{{#fe5a1d 경기수}}} || {{{#fe5a1d 이닝}}} || {{{#fe5a1d 승}}} || {{{#fe5a1d 패}}} || {{{#fe5a1d 세}}} || {{{#fe5a1d 홀}}} || {{{#fe5a1d 승률}}} || {{{#fe5a1d ERA}}} || {{{#fe5a1d 피안타}}} || {{{#fe5a1d 피홈런}}} || {{{#fe5a1d 4사구}}} || {{{#fe5a1d 탈삼진}}} || {{{#fe5a1d 실점}}} || {{{#fe5a1d 자책점}}} || {{{#fe5a1d WHIP}}} || || 2015 || [[라미고 몽키스|라미고]] || 10 || 55⅔ || 4 || 1 || 0 || 0 || 0.750 || 3.56 || 61 || 5 || 14 || 56 || 26 || 22 || 1.35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5 ||<|2> [[SK 와이번스|SK]] || 14 || 74 || 7 || 5 || 0 || 0 || 0.583 || 4.99 || 77 || 12 || 33 || 67 || 42 || 41 || 1.420 || || 2016 || 12 || 62 || 5 || 5 || 0 || 0 || 0.500 || 5.37 || 76 || 8 || 18 || 43 || 52 || 37 || 1.5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7 || [[푸방 가디언즈|푸방]] || 12 || 65⅓ || 2 || '''9'''[br](2위) || 0 || 0 || 0.182 || 5.92 || 81 || 10 || 36 || 53 || 47 || 43 || 1.81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38 || 74 || 2 || 3 || 0 || - || 0.400 || 5.47 || 85 || 8 || 30 || 44 || 48 || 45 || 1.527 || ||<-2> '''[[KBO 리그|KBO]] 통산'''[br](3시즌) || 56 || 323⅓ || 26 || 16 || 0 || 0 || 0.619 || 3.90 || 322 || 34 || 135 || 270 || 155 || 148 || 1.33[* 16년 시즌 미반영.]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br](1시즌) || 10 || 52 || 4 || 5 || 0 || 0 || 0.444 || 4.67 || 58 || 5 || 20 || 37 || 27 || 27 || 1.500 || ||<-2> '''[[대만 프로야구 리그|CPBL]] 통산'''[br](2시즌) || 22 || 121 || 6 || 10 || 0 || 0 || 0.375 || 4.83 || 148 || 15 || 50 || 109 || 73 || 65 || 1.600 || ||<-3>
{{{#ffffff 완투, 완봉 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2013 || 1완투 || 0완봉 || || 2015 || 1완투 || 1완봉 || || 통산 || 2완투 || 1완봉 || == 여담 == 세든의 아버지는 미국 정부에서 일했던 경력이 있는데, 이 덕분에 미국 대사관에 아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세든은 아버지를 통해 한국의 상황과 정보를 알아냈고, 같은 팀의 [[조조 레이예스]]에게 전쟁이 날 가능성은 적다고 알려줘 레이예스가 가족들을 안전하게 한국으로 데려올 수 있게 했다.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는데 도움을 준 셈이다. 슬하에 딸이 한 명 있다. 2013년 올스타전을 관전하기도 했다. 이름은 Faith라고 하는데, 한국어로 Faith는 "믿음"이란 뜻이라 세든의 글러브엔 信(믿을 신)자가 새겨지게 되었다. 항목 첫 번째 사진의 글러브를 보면 믿을 신자가 보인다. 인성도 좋다. 팬들의 사인 요청에도 흔쾌히 응해 주던 편이었고, 2016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된 뒤 이번엔 2013년처럼 자기가 나간것이 아니라 방출을 당했음에도 선수들과 웃으며 작별인사를 나누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zqQPdLBlKs|영상]] 헌데 마냥 순할 것만 같지만 [[배트 플립]]은 학을 띌 정도로 싫어해서 상대 타자가 배트 플립을 할 때마다 고래고래 욕설을 퍼붓는 게 일상이었다. [[유튜브]]의 한국 프로야구 배트 플립 영상에서도 욕하는 선수는 전부 세든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3al7RWXijgY|외국인 투수에게 빠던을하면 일어나는 일]] 이 영상에 무려 두 번이나 출연한다. === 훈남 ===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306271730771111_51cbf83c0208b.jpg|align=center]] [[파일:external/comingtoamericabaseball.com/Screen-Shot-2013-07-24-at-1.42.54-AM.png|align=center]] 키 193cm의 우월한 기럭지의 소유자이며 몸매도 늘씬하게 잘 빠진데다 결정적으로 무슨 영화배우가 시구하는 듯한 용모의 소유자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아예 전광판에 뜨는 선수별 별명들 중 세든의 별명은 대놓고 핸섬 가이일 정도. 몇년 동안 [[김광현]] 혼자 독식하던 SK 얼빠 지분에 경쟁자가 나타났다는 평을 들었다. 실제로도 마운드 위건 벤치에 앉아있건 간에 세든이 카메라에 클로즈업 되면 해설진이 잘생겼다는 말을 한번씩은 한다. 찰랑거리는 머리결이 외모를 더욱 돋보이게 해 주는데, 가족 중에 헤어 스타일 관리 종사자가 있어서 절대 미용실에서 머리를 깎지 않는다고 한다. 게다가 목소리도 지린다. 그러나 품위 유지 규정이 있는 요미우리로 들어가면서 장발은 다 사라져 버렸다. 심지어 원래도 잘 나지 않던 수염이었지만 그거마저 싹 사라졌다고. 여담이지만 정작 세든의 아내는 긴 머리를 싫어해서 교진에 입단하며 머리를 자를 때 기뻐했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크리스 세든/미남계.jpg]] 6월 27일 넥센전에서 [[강정호]]를 2삼진 포함 4타수 무안타로 완전히 틀어막았고, 특히 2번의 만루 위기에서 삼진-병살타로 처리했는데[* 세든이 내려간 후 [[박희수]]를 상대로 만든 9회 만루 상황에서도 2루수 뜬공으로 물러나며 [[강정호]]는 이날 넥센의 만루상황 3번을 모두 망쳐 버렸다.], 출중한 외모 덕에 게이에게 [[미인계|타릭]](…)가 통했다는 드립이 흥했다. [[최훈]]까지 웹툰에 써먹음으로써 확인사살.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 [[야구 관련 인물(기타 리그)]]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83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2017년 은퇴]][[분류:노스리지(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라쿠텐 몽키스/은퇴, 이적]][[분류:쥔궈 베어스-싱농 베어스-싱농 불스-이다 라이노스-푸방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KBO 다승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