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include(틀:다른 뜻1, from=중국 카트라이더, other1=카트라이더 중국을 기반으로 한 테마, rd1=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차이나, other2=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중국 서버, rd2=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중국 서버)] ||<-3> '''{{{#fff,#f5f5f5 {{{+1 {{{#ffffff CRAZYRACING}}} {{{#ffd200 跑跑}}}{{{#4dac25 卡}}}{{{#ffd200 丁车}}}}}}}}}'''[* Popkart][br]'''{{{#ffffff CRAZYRACING}}} {{{#ffd200 KART}}}{{{#4dac25 R}}}{{{#ffd200 IDE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국카트 상위포스터.jpg|width=100%]]}}} || ||<|3> '''{{{#ffd200 개발}}}''' ||<-2>[[로두마니 스튜디오]] ^^(2004년 ~ 2011년)^^ || ||<-2>[[넥슨 코리아]] ^^(2011년 ~ 2021년 1월)^^ || ||<-2>[[니트로 스튜디오]] ^^(2020년 9월 ~ )^^ || || '''{{{#ffd200 유통}}}'''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크기=23)] ||[[세기천성]] || || '''{{{#ffd200 플랫폼}}}''' ||<-2>[[Microsoft Windows|Windows]] || || '''{{{#ffd200 장르}}}''' ||<-2>[[캐주얼 게임|캐주얼]] [[레이싱 게임]] || || '''{{{#ffd200 엔진}}}''' ||<-2>자체 엔진[* C, C++ 기반 자체 개발 엔진으로 추정되며, [[크레이지레이싱 에어라이더|에어라이더]]가 카트라이더의 엔진을 개량해서 사용했었다. [[https://www.catch.co.kr/NCS/RecruitInfoDetails/294453|모집 공고]] ] || || '''{{{#ffd200 출시}}}''' ||<-2>[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크기=23)] [[2006년]] [[1월 10일]] || ||<|2> '''{{{#ffd200 후속작}}}''' ||<-2>[[크레이지레이싱 에어라이더]] ^^'''(2009 ~ 2012)'''^^ || ||<-2>[[카트라이더: 드리프트]] ^^'''(2023 ~ )'''^^ || || '''{{{#ffd200 한국어 지원}}}''' ||<-2>미지원 || || '''{{{#ffd200 관련 사이트}}}''' ||<-2>[[https://popkart.tiancit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popkart.tiancit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포럼)]] [[https://weibo.com/kartevent|[[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5]]]] [[https://space.bilibili.com/395882068|[[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5]]]] [[https://tieba.baidu.com/f?ie=utf-8&kw=%E8%B7%91%E8%B7%91%E5%8D%A1%E4%B8%81%E8%BD%A6|[[파일:바이두 로고.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중국 서비스에 대한 문서. == 상세 == 2005년 12월, [[중국]]의 게임 배급사 세기천성과 계약을 맺어 [[2006년]] [[3월 17일]], Popkart(跑跑卡丁车[* ‘카트를 타고 달린다’라는 뜻으로 ‘KartRider’의 중국어 번역이다.])라는 이름으로 카트라이더 중국판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국판 카트라이더도 오픈 당시 동시 접속자 수 50만 명을 돌파하는 등 한국판 카트라이더보다 더욱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참고로 이전에 카트라이더의 표절 게임 카트레이서를 중국에서 서비스하기도 했는데 '''진짜''' 중국 카트라이더가 나오자 모두 버로우타고 서비스를 종료한 적이 있다.] 이렇듯 중국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자 넥슨에서는 중국판 카트라이더를 위한 업데이트를 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로 한국 판에서 2008년 7월 24일 업데이트됐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차이나|차이나 테마]]를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2주 먼저 공개해 중국에서의 인기에 보답했으며, 이후에도 중국 시장을 겨냥한 행보를 계속해서 보여 왔다. 치파오를 입은 중국풍 캐릭터를 출시한다던가,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빨간색, 금색[* 골든 코튼, 골든 세이버, 골든 파라곤 등. 이중 골든 세이버 시리즈는 SR시절부터 중국에 있었다.]으로 떡칠한 카트 시리즈를 출시한다던가, 일부 카트 시리즈를 중국에서 먼저 출시한다던가. JIU엔진의 경우 아예 엔진 이름을 9의 중국어 발음에서 따왔을 정도니 말 다했다. 코리아 테마 출시 전까진 분명 한국 게임인데도 중국풍 아이템이 훨씬 많았을 지경이니 '''역차별'''이라는 소리까지 나 왔을 정도다. 과거에는 한카보다 중카 쪽 운영이 더 낫다는 이유로 한카에서 중카로 옮겨간 유저도 상당했었다. 그러나 중국은 한국에 코리아테마가 출시하자 '''출시를 거부하고 자체적인 차이나 테마 맵을 출시하는 등''' 뒤 통수를 쳤다. 2021년 시점에 와서는 거의''' 섭종 일보 직전 수준'''으로 망해가고 있다.[* [[카트라이더 러쉬 플러스]]출시로 인해 기존 PC카트 유저들이 모바일로 대개 옮겨간 것이 큰 것으로 보인다.] 플레이를 하려 해도 방을 찾기가 힘들고, 그나마 있는 방도 대부분 비번 방에 공방은 정상적인 방이 없고 죄다 핵을 파는 방이다. 2020년 말까지만 해도 그나마 무부에는 방이 있었으나 이젠 그마저도 줄어들었다. 어느 정도였냐면 이벤트를 통해 카트바디를 획득했다면 상단에 "누구가 무슨 카트바디를 획득했습니다." 라고 문구가 보여주는데, 정말 하루종일 끊이지 않았다. 게임 중에도 계속해서 문구가 보였는데, 지금은 문구가 나오지도 않는다. 이렇게 섭종 수준으로 망해 가고 있는데도 [[골든 파라곤 X]]같은 중국 시장 겨냥 카트바디가 나온 것이 신기할 지경.[* 어쩌면 코리아 테마가 출시된 것도 이 중카에서의 부진이 한몫 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후, 유저가 사실상 없던 2서버를 1서버와 통합한다고 공지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국 서비스 종료 사건|한국 서버의 서비스 종료]]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살아 남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과금이다. 당장 중국 카트라이더를 보면 플로터 시스템이 살아남아 있으며, [[에스토크 V1]], [[티탄 마라톤 V1]], [[어벤저 V1]]등, 1대장 카트바디들을 전부 과금으로 출시했으며, 중국 서버 유저의 대부분은 출탈변 333을 달고 있다.[* 한카에서 플로터를 만들어본 적이 있으면 잘 알겠지만, 출탈변 333을 만들기 위해 깨지는 캐시, 플로터 등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애당초 한카에서 플로터를 폐지한 이유 역시 과도한 과금이었다.] 게다가 기존에 빠름, 매우빠름, 무한부스터와 같이 채널 속도가 여러개 분포해 있어 유저들이 따로 플레이했던 반면 통합속도로 개편 뒤 어느 정도 사람이 1곳으로 모여 비교적 쉽게 정상적인 유저와 플레이할 수 있게 되어 완전히 못할 정도는 아니게 됐다. 한국 카트와 달리 플로터 시스템이 폐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V1엔진에 출탈변 333강화를 하고 가장빠름 속도로 타임어택을 하면 차가 제어가 안될 정도로 빠르다. 이후 2022년 1월에 중국에도 통합 속도로 채널이 개편된 뒤에야 비로소 출탈변 333 강화된 V1 엔진 카트바디 및 X 엔진 유니크 카트바디가 매우 빠름 속도 정도로 너프됐다. 여담으로 [[일본]], KT 공유기를 사용할 경우 VPN이나 가속기 없이 접속이 되고, 정상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다. 다만, 어느정도 핑은 감수해야한다. 중국 카트라이더의 디렉터는 [[https://www.jobplanet.co.kr/contents/news-3302|최우철]]이다.[* 카트라이더 라이브실 프로그래밍 유닛에서 일하고 있으며 한국, 중국, 대만 서버 모두에서 컨텐츠 개발과 라이브 서비스를 운영했다고 한다. 조재윤 사단의 직원들이 한국, 대만 서버의 서비스 종료 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로 넘어가서 개발과 운영에 집중하고 있어서 그런지 자연스레 중국 서버의 디렉터직도 담당하여 지금까지도 니트로 스튜디오에서 중국 카트라이더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원작]] 서비스 종료 이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아닌 이 곳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많다. 인터넷 뉴스에 기사가 뜰 정도로 이주하는 유저가 꽤나 많은 편.[[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310140027|#]] PC IP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PC 버전이 남아있긴 하지만 거기선 원작의 재미를 느낄 수 없는데다 한국 카트라이더 서버는 부활될 확률이 0%라 봐야 하니 유일하게 남아있는 이 곳으로 이주해오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한국 서비스 종료 사건|한국 서버 서비스 종료]] 발표 이후 === 한국, 대만 서버가 잇따라 서비스 종료를 걷게 되면서 중국 서버의 미래도 불안했는데, 12월 11일 공지로 '''중국 서버는 계속 업데이트가 진행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혀, 2023년 4월부터 유일하게 중국 서버에서만 카트라이더를 즐길 수 있게 됐다. [[https://popkart.tiancity.com/homepage/article/2022/12/11/62608.html|#]] 이 때문에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출시에 선택과 집중을 하기 위해서 한국 서버를 서비스 종료 시켜놓고 중국 서버를 놔두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으나, 사실은 중국의 게임 출시의 복잡한 절차 때문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바로 [[카트라이더 러쉬 플러스]]인데 카러플은 해외 게임의 판호 발급이 막힌 상태에서 출시하기 위해 중국판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모바일 게임#카트라이더 러쉬+|카트라이더 러쉬+]]를 '대규모 업데이트' 한다는 꼼수로 출시[[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07000459|#]]를 했었다. 즉, 해외 게임의 판호 발급이 여전히 막혀있는 상태에서 드리프트를 출시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위와 같은 꼼수가 필요한 상태이고, 그 대상이 바로 기존 카트라이더라는 것이다. 허나, [[https://www.catch.co.kr/NCS/RecruitInfoDetails/294453|니트로스튜디오 채용 공고에서 중국 카트라이더 인력 모집 공고가 올라온 것]]으로 보아, 판호 발급과 상관없이 계속 서비스를 진행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이 때문에 리버스 채널의 유현호는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는 인력 모집 공고까지 올라오고, 유저들에게 의견을 듣고 싶다고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며, 실제 패치의 결과물도 굉장히 좋은 것이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비교된다면서 [[https://youtu.be/0ggFuR6-7eI?si=1c9z717oBt16icVC|비판 영상]]을 남기기도 했다. 오해하면 안되는 것은 '드리프트의 운영'과 '중국 카트의 운영'의 차이를 비교하며 드리프트를 비판한 것으로, '중국 카트'에 대한 비판 의도는 전혀 없다.] 당장 1월 12일 패치로 출시된 빙고 카트바디인 [[드래곤 세이버 V1]]도 캐시로 잘 팔아먹는 걸 보면.. 2023년 3월 31일 한국 카트라이더 서비스 종료 후에도 [[드래곤 세이버 V1]], [[스프린트 V1]], [[스토커 V1]] 등의 독자적인 카트바디들을 시즌패스 카트바디와 캐시빙고 카트바디를 연이어 출시하고 있다. 동년 6월 29일에 완전한 해상도 패치[* 한국 카트라이더에서 진행한 해상도 패치는 완전한 패치가 아닌 반패치라고 봐도 무방했다. 1920x1080에 맞지 않는 게임 컨텐츠와 기본적인 메인 인터페이스는 바뀌지 않았다.]를 진행한다고 공식 홈페이지에 공지가 올라왔다. 4월 20일 업데이트로 실명 인증을 도입했다. 세기천성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명, 주민번호, 전화번호를 입력해 인증하면된다. 그렇다고 꼭 인증을 안해도 되지만 일부 기능에서 제약이 생길 수 있다. 게임방에서 채팅을 입력할 수 없거나[* 단, 인게임에서는 채팅을 입력할 수 있다.], 방 만들기에서 방 제목을 변경할 수 없게된다. 원래 중국 카트라이더는 [[김택환(프로게이머)|김택환]], [[한상현]]을 비롯한 일부 방송인을 제외하고는 한국 유저들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그러나 2023년부터 한국 카트라이더의 서비스 종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문제점|드리프트의 처참한 완성도와 흥행]], [[조재윤(게임 개발자)|디렉터]]와 [[니트로 스튜디오|개발사]]의 [[그건 원작을 경험해 보신 분들의 기준인 거고요|망언과 안하무인한 태도]] 등이 연달아 터지자 이에 환멸감을 느낀 유저들이 중국 카트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고 2023년 6월 말부터 [[형독]], [[동호형]], [[코튼좀믿어줘]], [[문호준]], [[신종민]], [[박도현(2001)|박도현]], [[김상수(프로게이머)|김상수]] 등의 방송인들이 중국 카트라이더를 방송하자 한국인들의 유입이 더욱 박차를 가해지고 있다.[* 물론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에 출전하는 선수들처럼 중카로 넘어갈 생각이 없는 방송인들도 있다. [[이재혁]]은 중카로 넘어갈 의향이 없다고 밝혔고, [[박현수]]는 시즌4에서 사이렌이 추가된 이후로는 드리프트가 더 재미있다고 했다. [[이중대]], [[이중선]]은 중카 리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드리프트를 메인으로 방송하고 있다. [[리버스(유튜브 채널)|리버스 채널]]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비판 콘텐츠를 장기 연재하면서 점진적으로 드리프트의 문제점을 고쳐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기 위해 채널 구성원 모두가 중국 카트라이더로 넘어가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https://youtu.be/dN7TgUCCmaA?t=2426|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들 중 이중선도 최근에 홍기 V1이 있는 아이디를 빌린 후에는 한동안 중카를 꾸준히 방송하겠다고 밝혔다는 점, 카드맆 컨텐츠의 비중을 줄이고 [[폴가이즈]] 컨텐츠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는 점을 보아 그나마 남아있는 방송인들도 오래가지 못할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2021년 로스트아크 이주 대란|로스트아크 이주 대란]] 등 특정 게임 유저들의 타 게임 이주 현상이 카트라이더 버전으로 일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이점이라면 해당 사건들은 게임에서 큰 사건이 터진 뒤 아예 IP 자체가 다른 게임으로 이주했다는 점인데,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중국 카트는 같은 IP 게임임에도 이주 현상이 일어났다. 드리프트를 원작 카트라이더의 후속작이자 카트라이더 IP의 어엿한 게임으로 인정할 수가 없다는 것을 대변하고 있는 현상이다. 드리프트에 환멸을 느낀 유저들에게 있어 한국 카트라이더와 동일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중국 카트는 문자 그대로 제 2의 고향이나 다름 없는 셈이다.] 최근에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해상도 및 UI 패치를 하면서 한글 채팅도 어느정도 가능해졌었다.[* 이는 한국 카트라이더에서 사용하던 Noto Sans CJK KR과 같은 계열인 Noto Sans SC라는 중국어 전용 폰트에 한글 초성이 들어 있어서 가능했던 것이다.][* 단, 자음과 모음을 따로 입력해야 한글로 채팅이 출력이 되며 자음과 모음이 합쳐진 문자는 지원하지 않아 [[tofu|￿]]로 출력된다.] 하지만 7월 13일 패치로 한글 초성 채팅 입력을 막으며 다시 원점으로 회귀했다.[* 한글 입력 자체가 안 되도록 패치했다. 복사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하면 초성도 [[tofu|￿]]로 출력된다. 한글 매크로도 유니코드를 이용한 입력까지 막혀 더 이상은 한글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페이스 리프트 테마 이후 중국 카트라이더에서 다음테마는 '용의 계승[* [[파일:용의_계승_로고.png]]]'이라고 한다.[* 2008년 차이나(용의 땅) 테마를 바탕으로 새로운 테마를 개발했다고 하며, 겨울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현재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PC 버전을 제외할 시 '''유일하게 존재하고 있는''' 카트라이더 PC 매체로 자리하고 있다. == 한국 서버와의 차이점 == * 테마 및 트랙 * '''코리아 테마 미출시''' 상술했듯이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는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코리아 테마]]가 출시되지 않고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차이나|차이나 트랙]] 3종으로 대신하여 출시했다. * '''일부 트랙의 부재''' 포레스트 통곡의 절벽을 비롯한 다수의 맵들이 출시되지 않았다.[* 주로 리버스 맵들이 많이 누락되어 있다.] * '''중국 카트라이더 전용 트랙''' 중국 카트라이더 전용 트랙으로 차이나 청명한 하늘의 서호, 차이나 다가오는 어둠, 차이나 용의 성지 등 차이나 테마 트랙과 [R] 문힐시티 조심조심 기찻길 등 일부 리버스 트랙이 있다. 이후 '용의 계승' 패치로 차이나 트랙의 개수가 더 추가될 예정이며, 동시에 기존 차이나 트랙들의 페이스리프트 작업도 진행된다. * 기타 * '''완벽한 해상도 패치''' 한국 카트라이더에서 진행된 반쪽짜리 해상도 패치와는 다르게 상점, 준비화면, 마이룸 등 많이 바뀌었다. 다만 일부 화면[* 업그레이드 기어, 상자깡 인터페이스 등.]은 변경되지 않았으나 추후 패치로 변경된다고 한다. * 카트바디 * '''한국 카트라이더와 다른 카트 수치''' 한국 서버와 미묘하게 스텟이 다른 카트바디는 물론, 같은 모델링을 사용하지만 한국 서버와 엔진 등급을 다르게 배정받은 카트바디들이 X엔진 이전까지 자주 등장했다. [[골머리(카트라이더)|골머리]][* 한국 서버는 뉴엔진이지만 중국과 대만 서버에선 지우엔진으로 출시함.], [[멘티스 Z7|뉴 멘티스]][* 한국 서버에선 멘티스 Z7 BE로 출시했으나 중국 서버에선 뉴 엔진을 탑재하여 출시했다.], [[흑기사 9]][* 한국 서버보다 드리프트 탈출력이 낮다.]가 대표적인 예시로, X엔진 이후로는 엔진이 다르게 출시하는 카트바디는 사라졌지만 일부 카트바디들의 스텟이 한국 서버와 다른 점은 여전한 편. [[플라즈마 X EXT]]는 한국 서버에서만 일반 부스터 고정[* 중국과 대만 서버는 레어 부스터 고정으로 출시했다.]으로 출시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 V1엔진에 와서도 한국 카트라이더와 다르게 통합 속도 패치가 늦게 적용된 중국 서버의 상황을 반영하여 그에 따른 기간 동안 출시된 카트바디들의 수치가 일부 다르게 적용됐는데, 대표적으로 게충이 560으로 출시된 [[로디 크로스 GT]]의 경우 610, 580으로 출시된 [[폭스 V1]]이 620으로 출시되기도 했다.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분류:게임별 서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version= 2914)]